//
한밭교육박물관(관장 정규남) 전시실에는 예로부터 글공부를 좋아했던 선비들 필방의 문방사우(文房四友)가 전시되어 있다. 문방사우란 종이, 붓, 벼루, 먹 등을 말하는데, 이것들을 친구처럼 가까이하라는 뜻이다. 그중 붓, 벼루, 먹은 백제와 신라 때의 유물이 남아 있을 정도로 오랫동안 사용해 왔다. 붓은 먹물을 묻혀 글씨를 쓰거나 그림을 그릴 때 쓴다. 처음에는 나뭇가지의 끝을 짓이겨 털처럼 부드럽게 만들어 쓰다가 나중에는 짐승의 부드러운 털을 묶어 썼다. 붓대는 반듯하고 가벼운 대나무를 썼다.
<관람객이 필방의 문방사우를 신기하게 바라보고 있다> 벼루는 보통 돌로 만들지만, 옥, 수정 같은 보석이나 백자, 청자 같은 도자기로 만들기도 한다. 용, 연꽃 등을 조각해서 아름다움을 살려 훌륭한 장식품이 되기도 했다. 먹을 갈 때, 물을 담아 두는 연적은 구멍이 두 개로 원하는 만큼 물을 따를 수 있어 청자나 백자로 만들었는데, 크기는 한 손에 잡힐 만큼 작았다. 조선 시대 아이들은 글 읽는 외에 붓글씨를 배웠다. 따라서 지필묵(紙筆墨)의 수요가 대단해 동네마다 필방이 하나씩 있게 마련이었다. 현재의 문방구와 같은 곳으로 신라와 백제의 도연(陶硯)이 발굴된 바 있고, 일본의 쇼서원에는 신라시대 붓과 먹이 소장되어 있어 삼국시대 때부터 문방구가 발달하였음을 알 수 있다.
<조선시대 아이들이 서당에서 공부하는 모습의 조형물> 기록상에 나타난 최초의 붓은 진의 몽염이 나무 붓대에 사슴 털과 양털로 붓촉을 만든 창호이다. 한국에서는 족제비 털로 만든 황모필이 유명하다. 먹은 위진대에 옻과 소나무 그을음으로 만든 둥근 형태의 묵환에서 비롯되었다. 한국에서는 유연묵과 송연묵을 제조하여 사용했다. 벼루는 진대에 묵환과 함께 사용된 요심연을 본격적인 벼루로 본다. 중국에서는 단계연이 가장 좋으며, 한국에서는 충청남도 보령시 성주산의 남포석과 자강도 위원군의 청석이 유명하다. 전통적인 문방구에는 지통(紙筒), 필갑, 묵대, 연적, 문갑, 벼루집, 분판 등 20여 종이 있다. |
첫댓글 요즈음 전통적인 인격도야 필수품인데 먹물 때문에 초중등학교에서 열외유 열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