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정도는 쉽게 이해돼시죠?
교양수준입니다.
고등학교 1학년 윤리수준입니다.
유교의 毒性(독성)을 이해하시여 잘못 된 유교적 삶의 지혜가 안되시기를 바랍니다
유교를 그대로 받아 들이지 마시고 국민통제용 정치적 유교적사관은 수정해서 따르시기 바랍니다.
시간부족으로(핑계) 글쓰기 귀찮아서(진실) 그냥 인용해왔습니다 이해바랍니다 🫠😊🤭🫣😂
『삼강행실도』에 대한 비판적 입장 고찰
A Study of Critical Views on 『Samganghaengsildo』
저널정보
새한철학회
철학논총 학술저널
철학논총 제82집
2015.10 349 - 373 (25page)
저자정보
윤미옥 (성균관대)
초록·키워드
본 논문은『삼강행실도』에 대한 비판적 입장에 섰던 몇몇 학자들의 연구를 검토하는 것이 목적이다. 첫째 에른스트 파버는 직설적이고 현실적인 비판으로 유교보다 기독교가 우위에 있다는 결론을 도출하려 하였다. 둘째 정약용은 효자·열부·충신에 대한 세 편의 논설을 통해 『삼강행실도』에서 강조하는 효·충·열이 과연 합리적인 권면이었는가. 관료들의 거짓임을 알고도 묵인한 태도와 일반 백성들의 효행의 표창으로 얻게 되는 가문의 영광 및 세금 감면 등의 혜택이라는 유혹 사이의 거래였다고 말한다. 셋째 강명관은『삼강행실도』가 약자에게 가해진 도덕의 폭력으로 효·열이라는 이름으로 죽음을 강요하면서 이러한 실천을 통해야만 한다고 강요함으로 성리학을 민간에 의식화시키고 실천시키기 위한 장치였다고 비판한다. 넷째 조은상은 왜 스스로의 삶을 파괴하고 죽음에 이르는 행동을 되풀이하는지. 자발성과 비자발성 사이에 조선조의 통치자들은 이러한 정신작용을 교묘히 통치논리에 이용하였다고 말한다. 다섯째 이영림은 유교의 통치 이념을 택한 조선의 지배층이 글을 익히지 못한 다수의 피지배층에게 유교적 윤리와 도덕을 주입시키고 강조하는 과정이 『삼강행실도』를 통하여 이루어졌다고 그 맥락을 읽었다.
에른스트 파버의 기독교 우위의 입장에서 유교 바라보기나 정약용의 권면의 공효와 그 공효로 얻게 되는 혜택 사이에 모종의 거래가 아니었느냐는 이러한 논조는 간과했던 사실에 대한 준엄한 비판이었다. 이후 21세기 『삼강행실도』에 관심을 가진 몇몇 학자들의 비판은 더 신랄하였다. 강명관의 ‘약자에게 가해진 도덕의 폭력’, 조은상의 ‘자기 파괴적 효행의 심리’, 이영림의 ‘유교 윤리의 강요와 모방’이었다는 논조들에서 『삼강행실도』에 국한된 비판이 아닌 유교에 대한 냉혹한 비판이었음을 확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iew the studies of several scholars who stood on the critical side against 『Samganghaengsildo』. First, Ernst Faber tried to draw a conclusion through blunt and realistic critics that Christianity is superior to Confucianism. Second, Jeong Yak-yong, in his three editorials about filial son, virtuous woman and loyal subject, questioned whether filial piety, loyalty and virtuousness emphasized by 『Samganghaengsildo』were indeed a reasonable encouragement, and claimed that they were just a deal between the attitude of officials to connive the falsehood and the temptation of the benefit such as family honor and tax reduction which could be given as an award for the filial piety of ordinary people. Third, Gang Myeong-gwan criticized that 『Samganghaengsildo』was a mechanism to conscientize and practice neo-Confucianism to the pubic by forcing weak person to death with the violence of morality under the name of filial piety and virtuousness. Forth, Jo Eun-sang questioned why people destroyed their own lives and repeated their behaviors leading to death, and criticized that the governors of Joseon Dynasty used cleverly such mental operation between spontaneity and non-spontaneity for their ruling logic. Fifth, Lee Yeong-rim read its context that the process of planting and engraving the Confucian ethics and morality into the heads of many illiterate subjugated class by the ruling class of Joseon Dynasty, who chose Confucianism as their ruling ideology, was achieved through 『Samganghaengsildo』.
접어두기
#삼강행실도
#삼강
#오륜
#효자도
#충신도
#열녀도
#Confucian phylosophy
#Samganghaengsildo
#paintings of filial piety
#paintings of loyalty
#paintings of virtuousness
목차
한글요약
Ⅰ. 서론
Ⅱ. 에른스트 파버와 정약용의 비판
Ⅲ. 21세기 『삼강행실도』비판 - 강명관과 조은상, 이영림의 비판을 중심으로
Ⅳ.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참고문헌
(17)
[기타자료] - / / 論語 google schola
[기타자료] - / / 茶山詩文集 google schola
[기타자료] - / / 孟子 google schola
[기타자료] - / / 三綱行實圖 google schola
[기타자료] - / / 東國新續三綱行實圖 google schola
현대 한국인의 〈논어〉 : 충효(忠孝)라는 독침
배병삼
동서인문
2015.04
고려 『효행록』과 세종조 『삼강행실효자도』 비교 연구
문호선
한국사상과 문화
2019.01
여말선초 효행 기록의 변화
김가람
韓國史學史學報
2021.01
효자전, 감성과 이성의 사이 - 조선 초 효관련 정책을 중심으로 -
김덕균
유학연구
2021.01
『三綱行實圖』효자편과 『진대방전』의 거리
신태수
우리말글
2014.09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윤미옥
성균관대학교
인문학 > 철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