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그릇 대(䈆)자는 대 죽(竹)자 아래에 어그러질 려(戾)자를 했습니다. 어그러질 려(戾)자는 지게문 호(戶)자 아래에 개 견(犬)자를 했습니다. 개는 집을 지키는 본분이 있습니다. 지게문 호(戶)자와 함께 개 견(犬)자가 있을 때에는 어그러지지 않습니다. 그러나 개 견(犬)자가 없어지면 어그러지게 됩니다. 어그러질 려(戾)자는 문을 지키는 개의 본분을 표시한 글자입니다. 여기서 어그러질 려(戾)자는 문 앞에서 본분을 지키는 개의 직분을 표시한 글자인 것처럼, 대나무는 대그릇에서 마땅히 대나무의 본분을 지킨다는 뜻으로 표시한 글자입니다.
+ = 䈆
가리 작(䈇)자는 의부(義符)로 대 죽(竹)자 아래에 성부(聲符)로 높을 탁(卓)자를 했습니다. 높을 탁(卓)자는 해를 표시하는 날 일(日)자를 열 십(十)자로 높이 받들었고, 그 맨 위에 사람이 있습니다. 너그러울 작(綽), 예쁠 작(婥), 밝을 작(焯)자들은 높을 탁(卓)자가 들어 있어서 ‘작’으로 읽습니다. 가리는 물고기를 잡는 기구의 하나입니다.
+ = 䈇
대 울타리 비(䈈)자는 대 죽(竹)자 아래에 살찔 비(肥)자를 했습니다. 살찔 비(肥)자는 살을 뜻하는 육달 월(月,肉)자에 큰 뱀 파(巴)자를 했습니다. 큰 뱀처럼 살쪘다는 뜻을 나타내는 글자이지요. 살찔 비(肥)자에서 큰 뱀 파(巴)자를 한 것은 큰 뱀처럼 그렇게 살이 쪘다는 표시입니다.
+ = 䈈
대그릇 첩(䈉)자는 의부(義符)로 대 죽(竹)자 아래에 성부(聲符)로 첩 첩(妾)자를 했습니다. 첩 첩(妾)자는 설 립(立)자 아래에 여자 여(女)자를 했습니다. 그러나 첩 첩(妾)자는 머리 장식이 간단한 여자입니다. 아내 처(妻)자는 머리 장식이 화려한 여자지요.
+ = 䈉
대나무 이름 릉(䈊)자는 의부(義符)로 대 죽(竹)자 아래에 성부(聲符)로 언덕 릉(夌)자를 했습니다. 언덕 릉(夌)자는 흙 토(土)자 아래에 여덟 팔(八)자를 하고 그 밑에 천천히 걸을 쇠(夊)자를 했습니다. 땅(土)이 언덕처럼 생긴 글자 여덟 팔(八)자로 비탈진 아래에서 위로 천천히 걸어 올라간다(夊)는 표시입니다.
+ = 䈊
대나무로 만든 덮개 답(䈋)자는 의부(義符)로 대 죽(竹)자 아래에 성부(聲符)로 유창할 답(沓)자를 했습니다. 유창할 답(沓)자는 물이 끓어 넘칠 답(沓)자로도 전주(轉注)되었습니다. 물이 끓어 넘칠 답(沓)자는 물 수(水)자 아래에 날 일(日)자를 해서 물을 햇볕으로 따뜻하게 데우는 모양을 했습니다. 또는 물흐르듯이 말을 유창하게 한다는 뜻도 가지고 있습니다.
+ = 䈋
대나무 이름 저(䈌)자는 의부(義符)로 대 죽(竹)자 아래에 성부(聲符)로 막을 저(沮)자를 했습니다. 또 차(且)자는 고기 덩어리를 그린 상형(象形) 글자입니다. 먹을 것이 또 있다는 표시입니다. 김치 담글 저(㸖), 누이 저(姐), 씹을 저(咀), 원숭이 저(狙)자들은 또 차(且)자가 들어 있어서 ‘저’로 읽습니다.
+ = 䈍
대나무 이름 맹(䈍)자는 의부(義符)로 대 죽(竹)자 아래에 성부(聲符)로 소경 맹(盲)자를 했습니다. 소경 맹(盲)자는 의부(義符)로 눈 목(目)자에 성부(聲符)로 망할 망(亡)자를 했습니다. 망할 망(亡)자는 죽어서 관 속에 누워 있는 사람을 표시한 글자입니다. 백성 맹(甿), 등에 맹(虻), 등에 맹(蝱)자들은 망할 망(亡)자가 들어 있어서 '맹'으로 읽습니다.
+ = 䈍
대껍질 약(箬)자는 의부(義符)로 대 죽(竹)자 아래에 성부(聲符)로 같을 약(若)자를 했습니다. 같을 약(若)자는 풀 초(艹)자 아래에 오른 우(右)자를 했습니다. 오른 우(右)자는 오른쪽 손을 표시한 지사(指事) 글자입니다. 같을 약(若)자는 풀을 뽑아도 뽑아도 자꾸 나오는 풀의 속성을 표시한 글자입니다. 아무리 뽑아도 여전히 풀밭임을 나타낸 글자입니다. 어떤 욕망의 표시 같기도 합니다. 생명의 강인함을 표시한 것 같습니다.
+ = 箬
화살 전(箭)자는 의부(義符)로 대 죽(竹)자 아래에 성부(聲符)로 앞 전(前)자를 했습니다. 앞 전(前)자는 달 월(月)자도 있고, 칼 도(刀,刂)자도 있지만 여기서는 배를 그린 글자입니다. 여기서는 달 월(月)자가 배를 그린 글자이고, 칼 도(刀,刂)자는 물이 흐르는 모양을 표시한 글자입니다. 앞 전(前)자는 배가 앞서 나아감을 표시한 글자입니다.
箭
대꽃 훤(箮)자는 의부(義符)로 대 죽(竹)자 아래에 성부(聲符)로 베풀 선(宣)자를 했습니다. 베풀 선(宣)자는 집을 뜻하는 집 면(宀)자 아래에 걸칠 긍(亘)자를 했습니다. 걸칠 긍(亘)자는 한 일(一)자 아래에 아침 단(旦)자를 했습니다. 아침 단(旦)자는 지평선이나 수평선에 해가 떠오르는 모양입니다. 그런데 전서(篆書)에서 날 일(日)자가 돌 회(回)자로 써 있는 것은 땅을 골고루 비치는 태양의 열을 그렇게 표시한 것입니다. 베푼다는 말은 집안 누구에게나 공평하게 나누어 준다는 뜻을 가진 글자입니다. 원추리 훤(萱), 의젓할 훤(喧), 따뜻할 훤(暄), 따뜻할 훤(煊), 여자 이름 훤(媗), 신골 훤(楦), 자조 훤(蝖), 잊을 훤(諠)자들은 베풀 선(宣)자가 들어 있어서 ‘훤’으로 읽습니다.
+ = 箮
가마 편(箯)자는 의부(義符)로 대 죽(竹)자 아래에 성부(聲符)로 편할 편(便)자를 했습니다. 편할 편(便)자는 사람 인(人,亻)자 변에 고칠 경(更)자를 했습니다. 사람에게 맞도록 고쳐서 사용한다는 뜻이지요. 사람에게 맞도록 고쳐서 사용하면 편하겠지요.
箯
죽순 순(箰)자는 죽순 순(筍)자 아래에 아들 자(子)자를 해서 바로 그것임을 나타냈습니다. 한자에서는 의자(倚子), 침자(針子), 족자(簇子), 액자(額子), 탁자(卓子), 책자(冊子) 등 아들자(子)자를 더 해서 바로 그것임을 표시했습니다. 지금 중국어에서도 아들 자(子)자를 이렇게 사용합니다. 부인을 妻子(qīzǐ)라고 하고, 의자를 椅子(yǐ‧zi)라고 합니다.
+ = 箰
상자 상(箱)자는 의부(義符)로 대 죽(竹)자 아래에 성부(聲符)로 서로 상(相)자를 했습니다. 서로 상(相)자는 나무 목(木)자에 눈 목(目)자를 해서 나무의 눈이 마주보고 나 있는 것을 표시해서 서로라는 뜻을 나타냈습니다. 서로 상(相)자는 회의(會意) 글자입니다.
箱
솔 선(箲)자는 의부(義符)로 대 죽(竹)자 아래에 성부(聲符)로 씻을 세(洗)자를 했습니다. 씻을 세(洗)자는 씻는 일은 물로 하니까, 물 수(水,氵)자 변에 먼저 선(先)자를 했습니다. 먼저 선(先)자는 앞서서 걸어가는 사람을 나타낸 글자입니다. 씻을 때에는 물이 앞서는 법이지요. 물이 없으면 씻을 수가 없습니다. 씻을 때에는 먼저 필요한 것이 물이라는 말입니다. 솔 선(箲)자는 먼저 선(先)자가 들어 있어서 ‘선’으로 읽습니다. 사람 이름 선(鍌)자도 씻을 세(洗)자가 들어 있어서 ‘선’으로 읽습니다.
+ = 箲
거적 병(箳)자는 의부(義符)로 대 죽(竹)자 아래에 성부(聲符)로 병풍 병(屛)자를 했습니다. 병풍 병(屛)자에서 주검 시(尸)자는 시체나 몸을 나타낸 글자가 아니라, 병풍의 모양을 상형(象形)한 글자입니다. 병풍 병(屛)자는 의부(義符)로 주검 시(尸)자 아래에 성부(聲符)로 어우를 병(幷)자를 했습니다. 어우를 병(幷)자는 사람 두 명의 발을 묶어놓은 그림입니다. 거적 병(箳)자는 수레에 씌우는 거적(짚으로 쳐서 자리처럼 만든 물건)을 뜻하는 글자입니다.
+ = 箳
바늘 잠(箴)자는 의부(義符)로 대 죽(竹)자 아래에 성부(聲符)로 다 함(咸)자를 했습니다. 다 함(咸)자는 혹시 혹(或)자와 매우 비슷합니다. 다 함(咸)자는 사람 인(人)자가 혹시 혹(或)자 보다 더 들어 있습니다. 다 함(咸)자는 모두 다 그렇다는 뜻입니다. 입 구(口)자는 생명을 뜻합니다. 창 과(戈)자도 목숨을 뜻합니다. 다 함(咸)자는 생명에 직결된 식량과 무기를 표시한 글자입니다. 누구에게나 다 중요한 것들이지요. 바늘 잠(箴)자는 다 함(咸)자가 들어 있어서 ‘잠’으로 읽습니다.
箴
종대래끼 성(箵)자는 의부(義符)로 대 죽(竹)자 아래에 성부(聲符)로 살필 성(省)자를 했습니다. 살필 성(䁞)자는 살필 성(省)자의 고자(古字)입니다. 살필 성(䁞)자는 눈으로 살피기에, 눈 목(目)자에 ‘𠈌’자를 하고, 아래에 ‘丆’자를 했습니다. ‘𠈌’자 아래에 ‘丆’자는 눈썹쯤에 손을 얹어서 살피는 모양을 나타낸 글자입니다. 눈썹 미(眉)자도 눈썹 미(睂)자로 사용했던 것과 같은 이치입니다.
+ = 箵
전동 호(箶)자는 의부(義符)로 대 죽(竹)자 아래에 성부(聲符)로 턱밑살 호(胡)자를 했습니다. 턱밑살 호(胡)자는 성부(聲符)로 예 고(古)자에 의부(義符)로 육달 월(月,肉)자를 했습니다. 복 호(祜), 산 호(岵), 믿을 호(怙)자들은 예 고(古)자가 들어 있어서 ‘호’로 읽습니다. 전동(箭筒)은 화살을 담아 두는 통입니다.
+ = 箶
횃대 이(箷)자는 의부(義符)로 대 죽(竹)자 아래에 성부(聲符)로 베풀 시(施)자를 했습니다. 베풀 시(施)자는 의부(義符)로 모 방(方)자 변에 성부(聲符)로 남쪽 오랑캐 이름 이(㐌)자를 했습니다. 깁 시(絁)자는 남쪽 오랑캐 이(㐌)자가 들어 있어서 ‘시’로 읽습니다. 횃대 이(箷)자는 남쪽 오랑캐 이름 이(㐌)자가 들어 있어서 ‘이’로 읽습니다.
+ = 箷
젓가락 저(箸)자는 의부(義符)로 대 죽(竹)자 아래에 성부(聲符)로 놈 자(者)자를 했습니다. 놈 자(者)자는 늙을 로(耂)자 아래에 가로 왈(曰)자를 했습니다. 여기서는 늙을 로(耂)자가 늙었다는 뜻으로 털을 그린 글자가 아니라, 쌀 미(米)자의 변형입니다. 가로 왈(曰)자는 입을 뜻하는 글자로 생명을 말합니다. 놈 자(者)자는 쌀을 먹는 사람이라는 뜻입니다. 분명할 저(著), 돼지 저(猪), 솜옷 저(禇), 닥나무 저(楮), 물가 저(渚)자들은 놈 자(者)자가 들어 있어서 ‘저’로 읽습니다.
箸
약 약(箹)자는 의부(義符)로 대 죽(竹)자 아래에 성부(聲符)로 묶을 약(約)자를 했습니다. 묶을 약(約)자는 실 사(糸)자에 구시 작(勺)자를 했습니다. 여기서 실 사(糸)자는 실로 묶는다는 뜻으로 의부(義符)이고, 구기 작(勺)자는 성부(聲符)입니다. 구기 작(勺)자는 술 같은 액체를 떠내는 국자 같이 생긴 도구입니다. 봄 제사 약(礿)자도 구기 작(勺)자가 들어 있어서 ‘약’으로 읽습니다.
箹
대나무 이름 준(箺)자는 의부(義符)로 대 죽(竹)자 아래에 성부(聲符)로 봄 춘(春)자를 했습니다. 봄 춘(春)자는 날 일(日)자 위에 식물의 자라는 싹을 그린 글자입니다. 봄에 해볕을 쬐어 식물이 자람을 표시한 글자입니다. 봄 춘(春)자는 회의(會意) 글자입니다. 꿈틀거릴 준(蠢), 어수선할 준(惷), 뒤섞일 준(踳)자는 봄 춘(春)자가 들어 있어서 ‘준’으로 읽습니다.
+ = 箺
새 쏘는 대 총 률(箻)자는 의부(義符)로 대 죽(竹)자 아래에 성부(聲符)로 법 률(律)자를 했습니다. 법 률(律)자는 의부(義符)로 조금 걸을 척(彳)자에 성부(聲符)로 붓 율(聿)자를 했습니다. 붓 율(聿)자는 붓을 손에 잡고 있는 모양을 표시한 회의(會意) 글자입니다. 흙구덩이 률(垏), 돌 위태할 률(硉)자는 붓 율(聿)자가 들어 있어서 ‘률’로 읽습니다. 법 률(律)자의 전서를 보면 사람을 끌고가는 뜻을 나타냈습니다. 법이란 것이 사람을 그리로 몰고 가거나 끌고 가는 것이지요.
+ = 箻
대가 빽빽한 모양 옥(箼)자는 의부(義符)로 대 죽(竹)자 아래에 성부(聲符)로 집 옥(屋)자를 했습니다. 집 옥(屋)자는 집을 나타내는 주검 시(尸)자 아래에 이를 지(至)자를 해서 집으로 돌아오는 표시를 했습니다.
+ = 箼
대그릇 동(箽)자는 의부(義符)로 대 죽(竹)자 아래에 성부(聲符)로 무거울 중(重)자를 했습니다. 무거울 중(重)자는 저울추를 그린 글자로 보입니다. 옛글자를 보면 사람의 모습을 한 글자 아래에 무거운 것을 달고 있어서 땅에 질질 끌리는 모양입니다. 움직일 동(動), 굳을 동(董), 흐리멍텅할 동(偅), 북소리 동(湩)자들은 무거울 중(重)자가 들어 있어서 ‘동’으로 읽습니다.
+ = 箽
음악 소(箾)자는 의부(義符)로 대 죽(竹)자 아래에 성부(聲符)로 깎을 삭(削)자를 했습니다. 깎을 삭(削)자는 닮을 초(肖)자에 칼 도(刀,刂)자를 했습니다. 닮을 초(肖)자는 작을 소(小)자 아래에 육달 월(月,肉)자를 해서 고기를 잘게 다진 표시를 했습니다. 고기를 잘게 다지면 그 조각들이 모두 서로 비슷비슷하게 닮았습니다. 창 삭(矟)도 닮을 초(肖)자가 들어 있어서 ‘삭’으로 읽습니다. 우거질 소(萷)자는 깎을 삭(削)자가 들어 있어서 ‘소’로 읽습니다. 또 음악 소(箾)자는 닮을 초(肖)자가 들어 있어서 ‘소’로 읽습니다. 사라질 소(消), 거닐 소(逍), 밤 소(宵), 없앨 소(捎), 활고자 소(弰)자들은 닮을 초(肖)자가 들어 있어서 ‘소’로 읽습니다.
箾
대그릇의 가장자리를 엮을 삽(箿)자는 의부(義符)로 대 죽(竹)자 아래에 성부(聲符)로 참소할 집(咠)자를 했습니다. 참소할 집(咠)자는 입 구(口)자 에 귀 이(耳)자를 해서 입을 귀애 딱 붙이고 속삭이는 모양입니다. 참소할 때 취하는 자세를 나타낸 글자입니다. 대그릇의 가장자리를 엮을 삽(箿)자는 참소할 집(咠)와 통운(通韻)입니다.
+ = 箿
대숲 황(篁)자는 의부(義符)로 대 죽(竹)자 아래에 성부(聲符)로 임금 황(皇)자를 했습니다. 임금 황(皇)자는 흰 백(白)자에 임금 왕(王)자를 했습니다. 여기서 흰 백(白)자는 우두머리라는 뜻이고, 임금 왕(王)자는 임금이라는 말입니다. 임금 중에 우두머리라는 뜻을 나타내는 글자가 임금 황(皇)자입니다. 황제(皇帝)라면 임금보다 한 지위 더 높은 직위로 인식했습니다.
篁
수레 대자리 성(篂)자는 의부(義符)로 대 죽(竹)자 아래에 성부(聲符)로 별 성(星)자를 했습니다. 별 성(星)자는 의부(義符)로 별처럼 빛나는 해를 나타내는 날 일(日)자 아래에 성부(聲符)로 날 생(生)자를 했습니다. 성품 성(性), 성 성(姓), 성성이 성(狌)자들은 날 생(生)자가 들어 있어서 ‘성’으로 읽습니다.
+ = 篂
대나무 이름 미(篃)자는 의부(義符)로 대 죽(竹)자 아래에 성부(聲符)로 눈썹 미(眉)자를 했습니다. 눈썹 미(眉)자는 눈 목(目)자 위에 눈썹을 그림으로써 눈썹을 나타낸 글자입니다.
+ = 篃
법 범(範)자는 대 죽(竹)자 아래에 수레 거(車)자를 하고 병부 절(㔾)자를 했습니다. 풀이름 범(范), 범할 범(犯), 넘칠 범(氾), 법 범(笵)자들은 병부 절(㔾)자가 들어 있어서 ‘범’으로 읽습니다. 법 범(範)자는 병부 절(㔾)자가 들어 있어서 ‘범’으로 읽습니다. 여기서 병부 절(㔾)자는 궤도를 그린 글자입니다. 수레가 궤도를 따라 굴러가는 것이 법입니다. 법은 누구에게나 공평하게 일정한 내용으로 마치 차가 궤도를 따라가듯 집행 되어야 하는 것입니다. 법 범(笵)자는 법 범(範)자에서 수레 거(車)자 대신에 물 수(水,氵)자를 했습니다. 수레가 궤도를 굴러가듯이 법이 집행 되어야 한다는 뜻을 물이 흘러가듯이 자연스럽게 흘러가야 한다고 표시한 것입니다. 모두 법의 정신을 잘 나타냈습니다.
範
대그릇 천(篅)자는 의부(義符)로 대 죽(竹)자 아래에 성부(聲符)로 시초 단(耑)자를 했습니다. 시초 단(耑)자는 산 산(山)자 아래에 말 이을 이(而)자를 했지만 한자의 원시적인 글자인 갑골문자를 보면 물방울을 그린 점 새 개에 밟는다는 뜻으로 발 지(止)자를 하고 아래에 나무 목(木)자를 했습니다. 가서 나무를 심고 물을 준다는 뜻입니다. 싹을 틔워 나무를 키운다는 뜻이지요. 둥근 대그릇 천(圌), 성씨 천(歂), 장딴지 천(腨), 통바퀴 수레 천(輲)자들은 시초 단(耑)자가 들어 있어서 ‘천’으로 읽습니다.
篅
전서 전(篆)자는 의부(義符)로 대 죽(竹)자 아래에 성부(聲符)로 판단할 단(彖)자를 했습니다. 판단할 단(彖)자는 고슴도치 머리 계(彑,彐)자 아래에 돼지 시(豕)자를 했습니다. 판단할 단(彖)자는 돼지 체(彘)자와 비교하여 비슷한 것을 구별 못하는 비유로 쓰입니다. 마치 “낫 놓고 기역자도 모른다.”는 말과 같이 “단(彖)자인지 체(彘)자인지 구별을 못한다.”고 씁니다. 제사 나머지 고기 선(禒)자와 판단할 단(彖)자는 통운(通韻)입니다. 홀에 아로새길 전(瑑), 새길 전(腞)자는 판단할 단(彖)자가 들어 있어서 ‘전’으로 읽습니다.
篆
전서(篆書)는 전서는 넓은 뜻으로는 예서(隷書) 이전에 있는 서체로 갑골문(甲骨文)·금문(金文)·석고문(石鼓文)·육국고문(六國古文)·소전(小篆)·무전(繆篆)·첩전(疊篆) 등이 모두 이에 속한다. 좁은 뜻으로는 대전(大篆)과 소전이 주축이 된다.-네이버 지식백과- 전서(篆書)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에서 인용. 전서는 중국 최초의 통일된 글자체라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
책 편(篇)자는 의부(義符)로 대 죽(竹)자 아래에 성부(聲符)로 넓적할 편(扁)자를 했습니다. 넓적할 편(扁)자는 지게문 호(戶)자 아래에 책 책(冊)자를 했습니다. 지게문도 넓적하고, 책도 넓적합니다. 모두 넓적한 물건을 합해서 만든 회의(會意) 글자입니다.
篇
대나무 봉(篈)자는 의부(義符)로 대 죽(竹)자 아래에 성부(聲符)로 봉할 봉(封)자를 했습니다. 봉할 봉(封)자는 홀 규(圭)자에 마디 촌(寸)자를 했습니다. 봉할 봉(封)자는 무덤을 다 만들고, 봉분(封墳)을 쌓아 마무리를 짓는 것을 나타낸 글자입니다.
+ = 篈
홈통 홍(篊)자는 의부(義符)로 대 죽(竹)자 아래에 성부(聲符)로 큰물 홍(洪)자를 했습니다. 큰물 홍(洪)자는 의부(義符)로 물 수(水,氵)자 변에 성부(聲符)로 함께 공(共)자를 했습니다. 함께 공(共)자는 두 손으로 받들고 있는 모양을 그린 글자입니다. 떠들썩할 홍(哄), 횃불 홍(烘), 날 밝으려할 홍(晎), 큰 골 홍(谼), 돌쇠뇌 홍(鉷), 클 골 홍(谼)자들은 함께 공(共)자가 들어 있어서 ‘홍’으로 읽습니다.
篊
상자 협(篋)자는 의부(義符)로 대 죽(竹)자 아래에 성부(聲符)로 상자 협(匧)자를 했습니다. 상자 협(匧)자는 상자임을 표시하는 의부(義符)로 상자 방(匚)자에 발음을 표시하는 성부(聲符)로 낄 협(夾)자를 했습니다. 낄 협(夾)자는 사람(大)이 옆구리 양편에 사람(人)을 하나씩 둘을 옆에 끼고 있는 표시입니다. 낄 협(夾)자는 회의(會意) 글자입니다.
篋
공후 후(篌)자는 의부(義符)로 대 죽(竹)자 아래에 성부(聲符)로 과녁 후(侯)자를 했습니다. 과녁 후(侯)자는 활을 쏠 때의 목표물인 과녁을 표시한 글자입니다. 과녁 후(侯)자에서 화살 시(矢)자는 활을 쏠 때의 과녁임을 표시한 글자입니다. 사람 인(人)자는 사람을 표시한 글자가 아니라, 그려서 세워 놓은 과녁을 표시한 글자입니다. 과녁에는 호랑이 등 짐승을 많이 그렸습니다. 과녁 후(侯)자는 물을 후(候)자와 구별합니다. 물을 후(候)자는 과녁 후(侯)자에서 사람 인(人)자 다음 뚫을 곤(丨)자를 더 한 글자입니다. 물을 후(候)자는 기후(氣候)라고 할 때에는 기후 후(候)자로 전주(轉注) 되었습니다.
+ = 篌
퉁소 추(篍)자는 의부(義符)로 대 죽(竹)자 아래에 성부(聲符)로 가을 추(秋)자를 했습니다. 가을 추(秋,秌)자는 벼 화(禾)자에 불 화(火)자를 했습니다. 가을이 되면 마치 불을 맞은 듯이 식물들이 마르고 누렇게 변합니다. 벼가 익어가는 것을 불을 맞은 것에 비유하여 벼가 익었다고 말합니다. 벼가 익는 계절이 가을입니다. 익는다는 말은 불에 곡식을 익힌다는 말입니다.
篍
세피리 묘(篎)자는 의부(義符)로 대 죽(竹)자 아래에 성부(聲符)로 애꾸눈 묘(眇)자를 했습니다. 애꾸눈 묘(眇)자는 눈 목(目)자에 적을 소(少)자를 해서 눈이 하나 적은 것을 나타냈습니다.
篎
땅 이름 감(篏)자는 의부(義符)로 대 죽(竹)자와 하품 흠(欠)자에 성부(聲符)로 달 감(甘)자를 했습니다. 단 것이 나는 땅인가 봅니다.
+ + = 篏
대그릇 잡(篐)자는 의부(義符)로 대 죽(竹)자와 나무 목(木)자에 성부(聲符)로 돌 잡(匝)자를 했습니다. 돌 잡(匝)자는 상자 방(匚)자 안에 수건 건(巾)자를 했습니다. 상자 방(匚)자처럼 생긴 그릇을 수건(巾)으로 두루 닦는 모습을 나타낸 것 같습니다. 대 죽(竹)자를 해서 대나무로 만든 그릇을 나타냈고, 나무 목(木)자를 해서 나무로 만든 그릇을 나타냈습니다.
+ + + = 篐
삼태기 궤(篑kuì)자는 삼태기 궤(簣)자의 簡體字입니다. 삼태기 궤(簣)자는 의부(義符)로 대 죽(竹)자 아래에 성부(聲符)로 귀할 귀(貴)자를 했습니다. 귀할 귀(貴,䝿)자는 가운데 중(中)자 아래에 한 일(一)자를 하고 조개 패(貝)자를 했습니다. 가운데 중(中)자 아래에 한 일(一)자를 한 글자는 손을 그려서 대상을 잡아당기는 모양을 했습니다. 귀할 귀(貴)자의 전서(篆書)를 보면 재물을 두 손으로 잡아당기는 모양을 했음을 볼 수 있습니다. 귀(貴)한 것은 내가 잡아당긴 나의 재물입니다. 천한 것((賤)은 그저 쌓여 있는 남의 재물입니다. 같은 재물이라도 내 것이면 귀(貴)하고 남의 것이면 천(賤)합니다. 무너질 궤(潰), 먹일 궤(饋), 궤 궤(鐀), 여자의 자 궤(嬇), 문드러질 궤(殨), 삼태기 궤(䕚), 심란할 궤(憒)자들은 함 궤(匱)자나 귀할 귀(貴)자가 들어 있어서 ‘궤’로 읽습니다.
+ = 簣
대 밥통 식(篒)자는 의부(義符)로 대 죽(竹)자 아래에 성부(聲符)로 밥 식(食)자를 했습니다. 밥 식(食)자는 사람 인(人)자 아래에 좋을 량(良)자를 했습니다. 좋을 량(良)자는 어긋날 간(艮)자 위에 점 주(丶)자를 해서 어긋날 간(艮)자와 상대적인 개념의 글자를 삼았습니다. 어긋날 간(艮)자는 밥을 앞에 놓고 외면을 한 글자입니다. 싫다, 나쁘다는 뜻을 나타냈습니다. 좋을 량(良)자는 어긋날 간(艮)자에서 발전한 글자입니다. 밥은 사람에게 아주 좋은 것입니다. 생명 유지의 수단입니까요.
+ = 篒
바구니 루(篓lǒu)자는 바구니 루(簍)자의 간체자입니다. 바구니 루(簍)자는 의부(義符)로 대 죽(竹)자 아래에 성부(聲符)로 별 이름 루(婁)자를 했습니다. 별 이름 루(婁)자는 여자의 치장한 머리를 그린 상형(象形) 글자입니다.
簍
대쪽 엽(䈎)자는 의부(義符)로 대 죽(竹)자 아래에 성부(聲符)로 나뭇잎 엽(枼)자를 했습니다. 나뭇잎 엽(枼)자는 나무 목(木)자 위에 나뭇잎을 그려서 나뭇잎을 표시하였습니다. 여기서 대 세(世)자는 나뭇잎을 그린 글자입니다.
+ = 䈎
대나무 이름 복(䈏)자는 의부(義符)로 대 죽(竹)자 아래에 성부(聲符)로 가득할 복(畐)자를 했습니다. 가득할 복(畐)자는 병을 그린 상형(象形) 글자입니다. 병이 가득 차면 행복하다는 뜻이지요.
+ = 䈏
수레 활대 괴(䈐)자는 의부(義符)로 대 죽(竹)자 아래에 성부(聲符)로 넓을 회(恢)자를 했습니다. 넓을 회(恢)자는 의부(義符)로 마음 심(心,㣺,忄)자에, 성부(聲符)로 재 회(灰)자를 했습니다. 재 회(灰)자는 왼손 좌(𠂇)자에 불 화(火)자를 해서, 불에 손을 올려놓아 물건을 태우는 표시를 한 글자입니다. 여기서 넓다는 것은 마음이 넓은 것을 뜻합니다. 구레 활대 괴(䈐)자는 넓을 회(恢)자와 통운(通韻)입니다.
+ = 䈐
얼레 과(䈑)자는 의부(義符)로 대 죽(竹)자 아래에 성부(聲符)로 와 입 삐뚤어질 와(咼)자를 했습니다. 입 삐뚤어질 괘(咼)자는 뼈 발라낼 과(冎)자에 입 구(口)자를 해서 입의 뼈가 잘못되어 삐뚤어짐을 나타냈습니다. 지날 과(過), 노구솥 과(鍋), 바를 과(剮), 도가니 과(堝), 앓을 과(瘑), 과(煱)자들은 입 삐뚤어질 괘(咼)자가 들어 있어서 ‘과’로 읽습니다.
+ = 䈑
어린 대나무 남(䈒)자는 의부(義符)로 대 죽(竹)자 아래에 성부(聲符)로 남녘 남(南)자를 했습니다. 남쪽 남(南)자는 식물이 햇빛을 잘 받아서 잘 자라는 남쪽을 표시를 한 글자입니다.
+ = 䈒
대 이름 갈(䈓)자는 의부(義符)로 대 죽(竹)자 아래에 성부(聲符)로 어찌 갈(曷)자를 했습니다. 어찌 갈(曷)자는 말한다는 뜻이 있는 가로 왈(曰)자 아래에 빌 개(匃)자를 했습니다. 빌 개(匃)자는 쌀 포(勹)자 안에 망할 망(亡)자를 한 글자입니다. 죽은 사람을 앞에 놓고 비는 빌 개(匃)자가 전주(轉注)되어 얻어먹느라고 비는 것도 뜻하게 되었습니다. 어찌 갈(曷)자는 죽은 사람을 앞에 놓고 어찌하느냐고 신에게 빌거나 한탄(恨歎)하는 글자입니다.
+ = 䈓
갈대 가(䈔)자는 의부(義符)로 대 죽(竹)자 아래에 성부(聲符)로 빌 가(叚)자를 했습니다. 빌 가(叚)자는 손을 여러 개 그려서 빌리려면 손이 여러 개 필요함을 나타냈습니다. 손이 여러 개 필요하다는 말은 그만큼 힘이 든다는 말입니다.
+ = 䈔
악기의 혀 시(䈕)자는 의부(義符)로 대 죽(竹)자 아래에 성부(聲符)로 이 시(是)자를 했습니다. 이 시(是)자는 태양을 그린 상형(象形) 글자인 날 일(日)자 아래에 발 소(疋)자를 했습니다. 낮이 되면 사람이 활동하는 것을 표시한 글자입니다.
+ = 䈕
대나무 이름 과(䈖)자는 의부(義符)로 대 죽(竹)자 아래에 성부(聲符)로 과정 과(科)자를 했습니다. 과정 과(科)자는 벼 화(禾)자에 말 두(斗)자를 했습니다. 말 두(斗)자는 곡식의 부피를 재는 도량형의 일종입니다. 말 두(斗)자는 도량형 기구인 말을 그린 상형(象形) 글자입니다. 벼를 생산하여 말로 부피를 측정해서 교환하는 것이 하나의 과정이겠지요. 벼를 말로 측량하지 않으면 아무런 의미가 없게 됩니다. 농사지은 벼를 말로 측정해서 서로 교환도 하고 두고 먹기도 하여 하나의 생활과정이 성립하게 됩니다.
+ = 䈖
대나무 이름 쇄(䈗)자는 대 죽(竹)자 아래에 준걸 준(俊)자를 했습니다. 준걸 준(俊)자는 사람 인(人,亻)변에 천천히 걷는 모양 준(夋)자를 했습니다. ‘준걸’하다는 말은 훤출하게 아주 뛰어난다는 말입니다. 천천히 걷는 모양 준(夋)자는 맏 윤(允)자 아래에 천천히 걸을 쇠(夊)자를 했습니다. 준(夋)자는 천천히 걷는 모양이지만 앞서 가는 것만은 틀림없습니다. 앞서가는 훤출하게 아주 뛰어난 사람이 준(俊)자입니다. 쇄(䈗)라는 대나무는 아주 뛰어난 훤출한 대나무인가 봅니다.
+ = 䈗
대나무 이름 자(䈘)자는 의부(義符)로 대 죽(竹)자 아래에 성부(聲符)로 이 자(玆)자를 했습니다. 이 자(玆)자는 검을 현(玄)자를 두 개 좌우(左右)로 배열했습니다. 검을 현(玄)자를 두 개 배열한 이 자(玆)자는 무더기로 낳아놓은 곤충의 알을 그린 상형(象形) 글자입니다.
+ = 䈘
대나무가 말라 죽을 주(䈙)자는 의부(義符)로 대 죽(竹)자 아래에 성부(聲符)로 껑거리끈 주(紂)자를 했습니다. 껑거리끈 주(紂), 진한 술 주(酎), 세울 주(尌)자들은 촌(寸)자가 들어 있어서 ‘주’라고 읽습니다.
껑거리끈이란 안장을 고정하는 끈의 한가지로, 뱃대끈[馬帶, 腹帶], 가슴걸이[馬鞅] ·껑거리끈 등이 있다. 짐을 실을 때는 언치 위에 길마를 얹고 꼬리 밑에 껑거리막대를 대고 양쪽 끝을 껑거리끈에 연결하여 수레나 쟁기를 끌기 위한 멍에를 얹는다. - 네이버 지식백과 - 마구(馬具) - 두산백과에서 복사
+ = 䈙
죽순 태(䈚)자는 의부(義符)로 대 죽(竹)자 아래에 성부(聲符)로 게으를 태(怠)자를 했습니다. 게으를 태(怠)자는 의부(義符)로 마음 심(心,㣺,忄)자에, 성부(聲符)로 별 태(台)자를 했습니다. 별 태(台)자는 별이 빛나는 모양을 상형(象形)한 글자입니다. 별은 사사 사(厶)자 모양으로 빛나기도 하고, 입 구(口)자 모양으로 빛나기도 합니다.
䈚
살대 괴(䈛)자는 의부(義符)로 대 죽(竹)자 아래에 성부(聲符)로 숨 쉴 괴(㕟)자를 했습니다. 숨 쉴 괴(㕟)자는 책 책(冊)자 위에 점 복(卜)자를 하고 글자 오른쪽에 또 우(又)자를 했습니다. 책을 잡고 공부를 하다가 잠시 쉬는 모양을 표시한 글자입니다. 참으로 열심히 공부하는 모습입니다.
+ + + = 䈛
먹자 침(䈜)자는 의부(義符)로 대 죽(竹)자 아래에 성부(聲符)로 침노할 침(侵)자를 했습니다. 침노할 침(侵)자는 사람 인(人,亻)변에 빗자루 추(帚)자에서 수건 건(巾)자 자리에 또 우(又)자로 바꾸었습니다. 빗자루 추(帚)자 만으로도 청소의 의미가 있는데. 또 우(又)자로 손(手)을 하나 더 했으니 싹 쓸어버린다는 뜻입니다. 침노하는 게 무엇입니까? 싹 쓸어버리는 것이지요. 청소하는 빗자루는 수건 건(巾)자가 있는데, 수건 건(巾)자 자리에 또 우(又)자를 해서 손(手)을 그려 넣었습니다. ‘먹자’란 목수가 나무에 먹으로 금을 그을 때 쓰는 'T'자 모양의 자를 뜻합니다.
+ = 䈜
대나무 이름 서(䈝)자는 의부(義符)로 대 죽(竹)자 아래에 성부(聲符)로 서로 서(胥)자를 했습니다. 서로 서(胥)자는 발 소(疋)자 아래에 육달 월(月,肉)자를 했습니다. 여기서 육달 월(月,肉)자는 개체를 뜻합니다. 개체가 서로 왕래한다는 뜻으로 발 소(疋)자를 했습니다. 사위 서(婿,壻)자는 딸을 시집보낸 처지임을 밝혀서 여자 여(女)자를 하거나 시집을 보냈으니, 달의 땅이 바뀌었다는 뜻에서 흙 토(土)자를 했습니다.
+ = 䈝
두터울 독(䈞)자는 대 죽(竹)자 아래에 누릴 향(亯)자를 했습니다. 누릴 향(亯)자는 지붕을 뜻하는 돼지해 밑 두(亠)자 아래에 입 구(口)자를 하고 가로 왈(曰)자를 했습니다. 여기서 입 구(口)자와 가로 왈(曰)자는 쌓아놓은 물건을 뜻합니다. 누릴 향(享)자와 닮았습니다. 누릴 향(享)자도 짐을 높이 쌓아 둔 것을 그렸는데, 이는 재물이 많은 것을 나타낸 글자입니다. 또 누릴 향(享)자에서 아래에 있는 아들 자(子)자는 전서(篆書)에 보면 양 양(羊)자로 되어 있습니다. 제사를 지낼 때 제물로 양 고기를 많이 쌓아놓은 형상입니다. 제사를 풍성하게 올리면 자손에게 복이 누려진다는 말입니다. 두텁다는 것이 바로 누리는 것이 후함을 뜻합니다. 두터울 독(䈞)자는 회의(會意) 글자입니다.
+ = 䈞
물건 자르는 소리 측(䈟)자는 의부(義符)로 대 죽(竹)자 아래에 성부(聲符)로 본받을 측(則)자를 했습니다. 본받을 측(則)자는 조개 패(貝)자에 칼 도(刀)자를 해서 재물을 나눈다는 뜻을 나타냈습니다. 예부터 인류는 희생(犧牲)과 자선(慈善)을 삶의 지혜로 삼았습니다.
+ = 䈟
대를 자를 원(䈠)자는 의부(義符)로 대 죽(竹)자 아래에 성부(聲符)로 이에 원(爰)자를 했습니다. 이에 원(爰)자는 물건을 두고 서로 다투는 모양을 그린 회의(會意) 글자입니다. 인간의 삶의 기초라고 할 수 있지요. 바로 이에 삶이 있다는 말입니다.
+ = 䈠
대나무 이름 총(䈡)자는 의부(義符)로 대 죽(竹)자 아래에 성부(聲符)로 바쁠 총(怱)자를 했습니다. 바쁠 총(怱)자는 바쁠 총(悤)자와 같은 글자입니다. 바쁠 총(悤)자는 성부(聲符)로 굴뚝 총(囪)자 아래에 의부(義符)로 마음 심(心)자를 했습니다. 굴뚝을 마라보는 마음이 바쁠 총(悤)자입니다. 집을 떠나 있다가 집 가까이 오면서 집의 굴뚝에서 연기가 나는 것을 보면 어서 집에 빨리 가야겠다는 마음이 앞서서 마음이 바빠집니다.
+ + + = 䈡
대나무 이름 새(䈢)자는 대 죽(竹)자 아래에 모시풀 시(枲)자를 했습니다. 모시풀 시(枲)자는 별 태(台)자 아래에 나무 목(木)자를 했습니다. 모시풀은 별처럼 빛나는 나무라는 뜻이겠지요. 모시풀은 수내기에 꽃이 핍니다. 여기서 별 태(台)자는 모시풀의 꽃을 나타낸다고 볼 수도 있습니다.
+ = 䈢
대나무 이름 정(䈣)자는 의부(義符)로 대 죽(竹)자 아래에 성부(聲符)로 정사 정(政)자를 했습니다. 정사 정(政)자는 정치(政治)를 뜻하는 글자입니다. 정치는 바르게 해야 한다고 해서 바를 정(正)자를 썼습니다. 바를 정(正)자는 한 일(一)자 아래에 발 지(止)자를 해서 일정한 선(線)에 바르게 서 있는 그림입니다. 바를 정(正)자는 획이 단순하고 바르기 때문에 숫자를 헤아릴 때에도 5의 단위로 사용합니다. 바르게 한다는 것은 무슨 뜻일까요? 나에게는 해가 되더라도 남에게 이익이 되도록 하는 것이 바르게 하는 것입니다. 종교마다 사랑을 부르짖는 것도 남을 배려하고 자기 이익은 고사하고 자기 손해를 감내하면서 남에게 이익이 되도록 하라는 뜻입니다. 바르다는 것은 바로 사랑입니다.
그런데 현실은 어떻습니까? 정치인(政治人)치고 자기 이익을 고사하고 자기 손해를 감내하면서 남의 이익을 도모하는 사람을 보지 못하였습니다. 이금 이 시대에는 정치가(政治家)가 하나도 없는 시대입니다. 작당을 해서 단체로 자기들 이익만을 꾀하는 것이 지금 정치인들의 현실입니다.
정사 정(政)자에 칠 복(攵)자를 한 것은 국민을 몰고 간다는 말입니다. 지금 정치인들은 국민을 모두 자기 이익을 꾀하는 길로 몰고 갑니다. 정치인이 가지고 있는 권리를 어디에 쓰느냐하면 국민을 자기 이익을 도모하는 길로 몰고 가는데 씁니다. 우리나라는 지금 정치인만 살고 국민은 힘들어하고 있습니다. 그 이유는 정치인이 자기 이익만을 꾀하는 그릇된 길로 국민을 몰고 가기 때문입니다.
+ = 䈣
재갈 겸(䈤)자는 의부(義符)로 대 죽(竹)자 아래에 성부(聲符)로 감자나무 감(柑)자를 했습니다. 재갈 겸(䈤)자는 재갈 겸(箝)자와 같은 글자입니다. 재갈 겸(箝)자는 의부(義符)로 대 죽(竹)자 아래에 성부(聲符)로 입 다물 겸(拑)자를 했고, 재갈 겸(䈤)자에서는 감자나무 감(柑)자를 했습니다. 여기서 감자나무 감(柑)자는 재갈 겸(拑)자의 변형 내지 대리 형태입니다. 이렇게 감자나무 감(柑)자가 재갈 겸(拑)자로 바꾸어 쓰이는 예가 바로 모사(模寫)입니다.
한자의 생성(生成) 원리에는 상형(象形) 지사(指事) 전주(轉注) 가차(假借) 회의(會意)가 있지마는 필자는 여기서 하나 더 첨가하여 모사(模寫)도 문자의 생성(生成) 원리(原理)에 포함 시키고자합니다.
+ + = 䈤
힘줄 근(䈥)자는 의부(義符)로 대 죽(竹)자 아래에 성부(聲符)로 힘줄 근(觔)자를 했습니다. 힘줄 근(䈥)자는 뿔 각(角)자에 힘 력(力)자를 했습니다. 힘줄 근(筋)자는 힘줄 근(䈥)자와 같은 글자입니다. 힘줄 근(筋)자에서 육달 월(月,肉)자 자리에 힘줄 근(䈥)자에서는 뿔 각(角)자를 했습니다. 근육에서도 힘이 나오지만 뿔에서도 힘이 나온다고 생각했습니다.
+ + = 䈥
대회초리 종(䈦)자는 의부(義符)로 대 죽(竹)자 아래에 성부(聲符)로 다리 오무릴 종(㚇)자를 했습니다. 다리를 오므릴 종(㚇)자는 흉악할 흉(兇)자 아래에 천천히 걸을 쇠(夊)자를 했습니다. 흉악할 흉(兇)자는 망했다는 뜻입니다. 다리를 오므린 것도 다리 입장에서 보면 뻗지 못했으니 망한 것이나 다름이 없습니다. 천천히 걸을 쇠(夊)자는 다리를 뜻합니다.
+ = 䈦
대껍질 위(䈧)자는 의부(義符)로 대 죽(竹)자 아래에 성부(聲符)로 할 위(爲)자를 했습니다. 할 위(爲)자는 손을 표시하여 잡아끄는 것을 뜻하는 손톱 조(爪)자 아래에 코끼리를 상형(象形)한 글자를 했습니다. 할 위(爲)자는 덩치가 큰 짐승인 코끼리를 잡아끄는 표시를 한 글자입니다. 할 위(爲)자는 인간의 능력을 보여주는 글자입니다.
+ = 䈧
쌓을 축(築)자는 의부(義符)로 나무 목(木)자 아래에 성부(聲符)로 악기 이름 축(筑)자를 했습니다. 어찌 보면 대 죽(竹)자나 장인 공(工)자나 튼튼할 공(巩)자는 모두 쌓아올리는 데 필요한 요소(要素)들입니다. 나무 목(木)자도 마찬가지 요소입니다. 쌓아 올리려면 대나무(竹)도 필요하고 나무(木)도 필요하고 쌓아올리는 솜씨(工)도 필요하고 튼튼하게 쌓아야 하는 기술(巩)도 필요한 것입니다. 쌓을 축(築)자는 쌓아올리는 데 필요한 요소들을 모두 합한 회의(會意) 글자이기도 합니다.
築
왕대 운(篔)자는 의부(義符)로 대 죽(竹)자 아래에 성부(聲符)로 수효 원(員)자를 했습니다. 수효 원(員)자는 입 구(口)자 아래에 조개 패(貝)자를 했습니다. 여기서 입 구(口)자는 소리를 내어 큰 소리로 재물을 센다는 뜻이고, 조개 패(貝)자는 재물입니다. 수효를 셈하는데 가장 중요한 것은 재물을 헤아리는 일입니다. 운 운(韻), 떨어질 운(隕), 죽을 운(殞), 노란 모양 운(熉)자는 수효 원(員)자가 들어 있어서 ‘운’으로 읽습니다.
+ = 篔
대자리 합(篕)자는 의부(義符)로 대 죽(竹)자 아래에 성부(聲符)로 덮을 합(盍)자를 했습니다. 덮을 합(盍)자는 그릇을 덮는 덮개를 뜻하는 글자이기에, 그릇 명(皿)자에 그릇의 뚜껑을 그린 갈 거(去)자를 했습니다. 여기서 갈 거(去)자는 그릇의 덮개를 그린 글자입니다. 덮을 합(盍)자는 회의(會意) 글자입니다.
+ = 篕
행당 당(篖)자는 의부(義符)로 대 죽(竹)자 아래에 성부(聲符)로 당나라 당(唐)자를 했습니다. 당나라 당(唐)자는 집을 뜻하는 집 엄(广)자 안에 붓이나 손을 뜻하는 ‘肀’자와 말을 뜻하는 입 구(口)자가 합하여 된 글자입니다. 당나라 당(唐)자는 황당하다는 뜻도 가지고 있습니다. 당나라 당(唐)자는 구성하고 있는 붓이나 손을 뜻하는 ‘肀’자와 말을 뜻하는 입 구(口)자는 모두 인문학적이고 문화적인 글자들입니다. 당나라는 중국에서 가장 문화가 발달했던 나라입니다. 행당(筕篖)이라는 말은 대나무 자리를 뜻합니다.
+ = 篖
얼레 확(篗)자는 의부(義符)로 대 죽(竹)자 아래에 성부(聲符)로 새 한 마리 척(隻)자를 했습니다. 새 한 마리 척(隻)자는 새를 나타내는 새 추(隹)자 아래에 잡았다는 뜻으로 손을 표시한 또 우(又)자를 했습니다. 얼레 확(篗)자에서 새 한 마리 척(隻)자는 자 확(蒦)자의 변형이거나 대신 쓰인 글자입니다. 자 확(蒦)자도 새 한 마리 척(隻)자가 들어 있어서 ‘확’으로 읽습니다.
+ = 篗
용수 추(篘)자는 의부(義符)로 대 죽(竹)자 아래에 성부(聲符)로 짐승의 먹이인 꼴 추(芻)자를 했습니다. 꼴 추(芻)자는 왼손 좌(屮)자를 쌀 포(勹)자로 에워싼 모양입니다. 여기서 왼손 좌(屮)자는 풀을 뜻합니다. 풀을 베어 짐승의 먹이로 사용하려고 싸서 갈무려 둔 것이라는 말입니다.
+ = 篘
상앗대 고(篙)자는 의부(義符)로 대 죽(竹)자 아래에 성부(聲符)로 높을 고(高)자를 했습니다. 높을 고(高)자는 높은 집을 그린 상형(象形) 글자입니다.
篙
대광주리 비(篚)자는 의부(義符)로 대 죽(竹)자 아래에 성부(聲符)로 대상자 비(匪)자를 했습니다. 대상자 비(匪)자는 의부(義符)로 상자 방(匚)자에 성부(聲符)로 아닐 비(非)자를 했습니다.
篚
대껍질 약(篛)자는 의부(義符)로 대 죽(竹)자 아래에 성부(聲符)로 약할 약(弱)자를 했습니다. 약할 약(弱)자는 아직 깃털도 다 잘 나지 않은 새의 새끼를 그린 글자를 두 개 해서 더욱 약함을 표시한 글자입니다.
+ = 篛
삼대 증(篜)자는 의부(義符)로 대 죽(竹)자 아래에 성부(聲符)로 김 오를 증(烝)자를 했습니다. 김 오를 증(烝)자는 의부(義符)로 불 화(火,灬)자 변에 성부(聲符)로 도울 승(丞)자를 했습니다. 도울 승(丞)자는 받들 승(氶)자 아래에 한 일(一)자를 했습니다. 받들 승(氶)자는 두 손으로 받들어 들고 있는 모양을 표시했습니다. 도울 승(丞)자에서 한 일(一)자를 더한 것은 도와 받든다는 뜻을 분명하게 한 것입니다. 찔 증(蒸), 증(烝)자는 받들 승(丞)자가 들어 잇어서 ‘증’으로 읽습니다.
+ = 篜
배롱 구(篝)자는 의부(義符)로 대 죽(竹)자 아래에 성부(聲符)로 짤 구(冓)자를 했습니다. 짤 구(冓)자는 ‘𠀎’글자와 나아갈 염(冉)자를 했습니다. 여기서는 짤 구(冓)자는 풀 초(艸,艹)자 아래에 얼개를 그린 글자를 한 것으로 보아서, 풀로 얼개를 만들어 짠다는 뜻으로 보는 것이 좋을 듯합니다.
篝
중피리 녈(篞)자는 의부(義符)로 대 죽(竹)자와 개흙 녈(涅)자를 했습니다. 개흙 녈(涅)자는 의부(義符)로 물 수(水,氵)자 변에 성부(聲符)로 막을 녈(圼)자를 했습니다. 막을 녈(圼)자는 날 일(日)자 아래에 흙 토(土)자를 해서 해를 흙무더기가 막고 있는 형상(形狀)을 나타냈습니다.
+ = 篞
대가 우거질 천(篟)자는 의부(義符)로 대 죽(竹)자 아래에 성부(聲符)로 예쁠 천(倩)자를 했습니다. 예쁠 천(倩)자는 의부(義符)로 사람 인(人,亻)자에 성부(聲符)로 푸를 청(靑)자를 했습니다. 나무 이름 천(棈), 붉은 비단 천(綪)자들은 푸를 청(靑)자가 들어 있어서 ‘천’으로 읽습니다.
+ = 篟
조릿대 소(篠)자는 의부(義符)로 대 죽(竹)자 아래에 성부(聲符)로 가지 조(條)자를 했습니다. 가지 조(條)자는 바 유(攸)자에 나무 목(木)자를 했습니다. 끈 조(絛), 피라미 조(鯈)자들은 바 유(攸)자가 들어 있어서 ‘조’로 읽습니다. 가지 조(條)자는 또는 사람 인(人)자 변에 곁가지 조(条)자를 했다고도 볼 수 있습니다. 날개 찢어질 소(翛), 가는대 소(筱)자들은 바 유(攸)자가 들어 있어서 ‘소’로 읽습니다.
+ = 篠
빼앗을 찬(篡)자는 의부(義符)로 공변될 공(公)자를 하고, 성부(聲符)로 셀 산(算)자를 했습니다. 모을 찬(纂)자도 셀 산(算)자 아래에 실 사(糸)자를 했습니다. 실과 같은 여러 갈래를 셈해서 모은다는 뜻이지요. 빼앗을 찬(篡)자도 셀 산(算)자가 들어 있어서 ‘찬’으로 읽습니다. 셀 산(算)자는 대 죽(竹)자 아래에 눈 목(目)자를 하고 받쳐 놓은 모습인 대 기(丌)자를 해서 대나무로 만든 산가지를 보고 셈하는 표기를 한 글자입니다.
篡
대삿갓 공(篢)자는 의부(義符)로 대 죽(竹)자 아래에 성부(聲符)로 바칠 공(貢)자를 했습니다. 바칠 공(貢)자는 성부(聲符)로 장인 공(工)자에 의부(義符)로 조개 패(貝)자를 했습니다. 재물을 바친다는 말이지요.
+ = 篢
키 방(篣)자는 의부(義符)로 대 죽(竹)자 아래에 성부(聲符)로 두루 방(旁)자를 했습니다. 두루 방(旁)자는 의부(義符)로 거리를 표시하는 글자(冂) 아래에 성부(聲符)로 모 방(方)자를 했습니다. 거리를 표시한 것은 두루 먼 범위까지를 포함한다는 뜻입니다. 여기서 설 립(立)자는 거리를 표시하는 글자(冂)의 변형입니다. 여기서 ‘키’는 곡식의 낱알을 고르는 연모를 뜻합니다. 키는 대나무를 얽어서 만듭니다.
+ = 篣
도타울 독(篤)자는 대 죽(竹)자 아래에 말 마(馬)자를 했습니다. 말 마(馬)자는 말의 특징인 갈기를 강조하여 그린 상형(象形) 글자입니다. 도탑다는 말은 후하고 관계가 두텁게 형성되어 있다는 말입니다. 대나무와 말의 관계를 나타내는 말입니다. 여기서 죽마고우(竹馬故友)라는 글귀가 도타울 독(篤)자를 잘 설명하고 있다고 봅니다. 대나무 막대기(竹)를 말(馬)이라하고 타면서 놀던 어린 시절부터 친한 친구를 일컫는 말입니다. 죽마고우(竹馬故友)란 돈독(敦篤)한 친구 사이를 가리키는 말입니다. 돈독할 독(篤)자는 대 죽(竹)자 아래에 말 마(馬)자를 해서 바로 대나무(竹) 말(馬)이라는 말입니다. 도타울 독(篤)자는 죽마고우(竹馬故友)의 관계를 뜻합니다.
篤
대 이름 률(篥)자는 의부(義符)로 대 죽(竹)자 아래에 성부(聲符)로 밤나무 률(栗)자를 했습니다. 밤 률(栗)자는 서녘 서(西)자 아래에 나무 목(木)자를 했습니다. 여기서 서녘 서(西)자는 밤나무의 열매 밤송이를 표시한 글자입니다.
+ = 篥
빗치개 비(篦)자는 의부(義符)로 대 죽(竹)자 아래에 성부(聲符)로 ‘𣬉’자를 했습니다. 평고대 비(媲), 아주까리 비(蓖), 진드기 비(螕), 비휴 비(貔), 비녀 비(鎞)자들은 ‘𣬉’자가 들어 있어서 ‘비’로 읽습니다. ‘𣬉’자는 의부(義符)로 정수리 신(囟)자에 성부(聲符)로 비할 비(比)자를 했습니다. ‘𣬉’자를 정수리 비(𣬉)자로 읽으면 좋을 듯싶습니다.
篦
가리 착(篧)자는 의부(義符)로 대 죽(竹)자 아래에 성부(聲符)로 새 높이 날 확(隺)자를 했습니다. 새 높이 날 확(隺)자는 덮을 멱(冖)자를 새 추(隹)자 위에 해서 새가 덮은 것을 뚫고 높이 날아오른다는 뜻을 표시했습니다. ‘가리’는 발처럼 생긴 물고기를 잡는 기구입니다. 가리 착(篧)자와 새 높이 날 확(隺)자는 통운(通韻)입니다.
+ = 篧 隹
대자리 저(篨)자는 의부(義符)로 대 죽(竹)자 아래에 성부(聲符)로 섬돌 제(除)자를 했습니다. 섬돌 제(除)자는 계단을 뜻하는 언덕 부(阜,阝)자 변에 나 여(余)자를 했습니다. 강 이름 저(滁)자도 섬돌 제(除)자가 들어 있어서 ‘저’로 읽습니다.
篨
체 사(篩)자는 의부(義符)로 대 죽(竹)자 아래에 성부(聲符)로 스승 사(師)자를 했습니다. 스승 사(師)자는 장수 수(帥)자에서 오른쪽에 한 일(一)자를 더 한 글자입니다. 스승 사(師)자나 장수 수(帥)자는 모두 거느린다는 뜻이 있습니다. 장수 수(帥)자는 깃발을 앞세워 거느린다는 표시를 한 글자입니다. 그런데 스승 사(師)자는 오른쪽에 한 일(一)자를 더하여 장수의 기상을 막아서 그저 거느리기만 하는 사람임을 표시하였습니다. 스승이란 아이가 자라는 것을 지켜보는 사람입니다.
+ = 篩
저 이름 지(篪)자는 의부(義符)로 대 죽(竹)자 아래에 성부(聲符)로 뿔 범 사(虒)자를 했습니다. 뿔 범 사(虒)자는 호랑이를 그린 상형(象形) 글자인 범 호(虎)자 위에 뿔을 더 그렸습니다. 서로 웃을 이(歋), 달팽이 이(螔)자는 뿔 범 사(虒)자가 들어 있어서 ‘이’로 읽습니다. 저 이름 지(篪)자와 서로 웃을 이(歋)자는 통운(通韻)입니다.
篪
손으로 쌓을 축(篫)자는 의부(義符)로 손 수(手)자에 성부(聲符)로 악기 이름 축(筑)자를 했습니다. 악기 이름 축(筑)자는 대 죽(竹)자 아래에 단단할 공(巩)자를 했습니다. 축(筑)이라는 악기는 거문고 비슷한, 대로 만든 악기입니다.
+ = 篫
대나무 이름 창(篬)자는 의부(義符)로 대 죽(竹)자 아래에 성부(聲符)로 창고 창(倉)자를 했습니다. 창고 창(倉)자는 물건을 많이 모아놓았다는 뜻으로 모을 집(亼)자 아래에 물건을 쌓아놓은 모습을 한 글자를 더해서, 창고에 물건을 쌓아놓은 모양을 그린 회의(會意) 글자입니다.
+ = 篬
대바구니 롱(篭)자는 의부(義符)로 대 죽(竹)자 아래에 성부(聲符)로 용 룡(竜)자를 했습니다. 용 룡(竜)자는 용 룡(龍)자의 약자(略字)입니다. 용 룡(龍)자의 간체자(簡體字)는 용 룡(龙lóng)자입니다. 용 룡(龍)자는 용을 그린 상형(象形) 글자입니다.
篭
바구니 람(篮lán)자는 바구니 람(籃)자의 간체자(簡體字)입니다. 바구니 람(籃)자는 의부(義符)로 대 죽(竹)자 아래에 성부(聲符)로 볼 감(監)자를 했습니다. 볼 감(監)자는 눈을 뜻하는 신하 신(臣)자 옆에 손을 표시한 또 우(又)자를 하고 그릇 명(皿)자는 했습니다. 제사상을 살피는 모양을 뜻하는 글자입니다. 또는 세수 대야에 물을 담아 놓고 세수하려다가 물에 비친 얼굴을 바라본다는 뜻으로 해석하기도 합니다. 다분히 나르시스(自己愛)적인 글자입니다. 퍼질 람(濫), 쪽 람(藍), 누더기 람(襤), 먹을 람(嚂)자들은 볼 감(監)자가 들어 있어서 ‘람’으로 읽습니다.
籃
성씨 전(篯jiān)자는 성씨 전(籛)자의 간체자(簡體字)입니다. 성씨 전(籛)자는 의부(義符)로 대 죽(竹)자 아래에 성부(聲符)로 돈 전(錢)자를 했습니다. 돈 전(錢)자는 의부(義符)로 쇠 금(金)자에 성부(聲符)로 쌓일 전(戔)자를 했습니다. 쌓일 전(戔)자는 창 과(戈)자를 상하(上下)로 두 개 배열하여 무기가 많이 쌓여 있음을 나타낸 회의(會意) 글자입니다.
+ = 籛
도롱이 사(簑)자는 의부(義符)로 대 죽(竹)자 아래에 성부(聲符)로 쇠할 쇠(衰)자를 했습니다. 쇠할 쇠(衰)자는 슬플 애(哀)자에 있는 입 구(口)자에 한 일(一)자를 더하여 너무 슬픔에 겨워 힘이 빠져 쇠한 것을 표시하였습니다. 쇠할 쇠(衰)자의 옛 글자를 보면 너무 울어서 쇠약한 모양을 표시했습니다.
+ = 簑
가시 대나무 륵(簕)자는 의부(義符)로 대 죽(竹)자 아래에 성부(聲符)로 굴레 륵(勒)자를 했습니다. 굴레 륵(勒)자는 가죽 혁(革)자 아래에 힘 력(力)자를 했습니다. 갈비 륵(肋), 나머지 륵(仂), 손가락사이 륵(扐), 물소리 륵(氻), 대나무 뿌리 륵(竻)자들은 모두 힘 력(力)자가 들어 있어서 ‘륵’으로 읽습니다. 굴레 륵(勒)자는 형성(形聲) 글자입니다. 소나 말의 행동을 제어하는 굴레는 가죽(革)으로 만듭니다.
+ = 簕
대광주리의 일종 격(䈪)자는 의부(義符)로 대 죽(竹)자 아래에 성부(聲符)로 막을 격(鬲)자를 했습니다. 막을 격(鬲)자는 솥 력(鬲)자로도 읽습니다. 솥의 모양을 그린 상형(象形) 글자입니다.
+ = 䈪
대 밧줄 납(䈫)자는 의부(義符)로 대 죽(竹)자 아래에 성부(聲符)로 바칠 납(納)자를 했습니다. 바칠 납(納)자는 의부(義符)로 실 사(糸)자에 성부(聲符)로 안 내(內)자를 했습니다. 고삐 납(軜), 기울 납(衲), 장가들 납(妠), 도룡뇽 납(魶)자들은 모두 내(內)자가 들어 있어서 ‘납’이라고 읽습니다.
+ = 䈫
대 그물 포(䈬)자는 의부(義符)로 대 죽(竹)자 아래에 성부(聲符)로 개 포(浦)자를 했습니다. 개 포(浦)자는 의부(義符)로 물 수(水,氵)자 변에 성부(聲符)로 클 보(甫)자를 했습니다. 클 보(甫)자는 보따리를 그린 상형(象形) 글자입니다. 사로잡을 포(捕), 포도 포(葡), 펼 포(鋪), 밭 포(圃), 포 포(脯), 먹을 포(哺), 길 포(匍), 달아날 포(逋)자들은 클 보(甫)자가 들어 있어서 ‘포’로 읽습니다.
+ = 䈬
대나무 이름 수(䈭)자는 대 죽(竹)자 아래에 귀신 귀(鬼)자를 했습니다. 귀신의 특징은 머리는 크고, 발은 없어 스르르 날듯이 다니는 것입니다. 이런 귀신의 특징을 잘 그린 상형(象形) 글자입니다. 대나무 밭에 바람이 불면 스산한 소리를 냅니다. 마치 귀신이 다니는 듯한 소리가 납니다. 대나무의 이런 특징을 잡아서 만든 글자가 아닌가 싶습니다.
+ = 䈭 귀신의 모양
대나무 이름 구(䈮)자는 의부(義符)로 대 죽(竹)자 아래에 성부(聲符)로 다듬을 구(竘)자를 했습니다. 다듬을 구(竘)자는 의부(義符)로 설 립(立)자에 성부(聲符)로 글귀 구(句)자를 했습니다. 구(䈮)라는 대나무는 잘 다듬은 대나인 듯합니다.
+ = 䈮
대나무 이름 진(䈯)자는 의부(義符)로 대 죽(竹)자 아래에 성부(聲符)로 참 진(眞)자를 했습니다. 참 진(眞,真)자는 눈 목(目)자에 눈 목(目)자 위에는 비수 비(匕)자를 했고, 눈 목(目)자 아래는 받쳐놓은 모양을 했습니다. 여기서 비수 비(匕)자는 사람을 표시한 글자입니다. 모두 눈을 받들고 본다는 뜻이 있는 글자들로 눈 목(目)자를 위아래에서 설명하고 있습니다. 참이란 보태거나 빼지 않고 바로 눈으로 보는 것 그것만을 말한다는 글자입니다.
+ = 䈯
솔 소(䈰)자는 의부(義符)로 대 죽(竹)자 아래에 성부(聲符)로 없앨 소(捎)자를 했습니다. 없앨 소(捎)자는 의부(義符)로 손 수(手,扌,才)자 변에 성부(聲符)로 닮을 초(肖)자를 했습니다. 닮을 초(肖)자는 작은 고깃덩어리들은 모두 모양이 비숫비슷 닮았다는 뜻입니다. 사라질 소(消), 거닐 소(逍), 밤 소(宵)자들은 닮을 초(肖)자가 들어 있어서 ‘소’로 읽습니다.
䈰
마소의 구유 도(䈱)자는 의부(義符)로 대 죽(竹)자 아래에 성부(聲符)로 퍼낼 요(舀)자를 했습니다. 옥 이름 도(瑫), 물 넘칠 도(滔), 감출 도(韜), 칼전대 도(幍), 여자 이름 도(嫍)자들은 퍼낼 요(舀)자가 들어 있어서 ‘도’로 읽습니다. 퍼낼 요(舀)자는 손을 뜻하는 손톱 조(爪)자 아래에 절구 구(臼)자를 해서 절구 확에 들어 있는 곡식을 퍼내는 모양을 했습니다.
+ = 䈱
통발 반(䈲)자는 의부(義符)로 대 죽(竹)자 아래에 성부(聲符)로 돌 반(般)자를 했습니다. 돌 반(般)자는 배 주(舟)자에 창 수(殳)자를 해서 창과 같은 몽둥이로 상앗대를 삼아 배를 노 젓는 모양을 표시한 글자입니다. 배를 상앗대로 저으면 배가 돌기도 하고 앞으로 나아가기도 할 것입니다. 옮길 반(般)자로 전주(轉注)되기도 합니다.
+ = 䈲
창 가리개 탑(䈳)자는 의부(義符)로 대 죽(竹)자 아래에 성부(聲符)로 ‘𦐇’자를 했습니다. ‘𦐇’자는 날 일(日)자 아래에 깃 우(羽)자를 했습니다. 걸상 탑(榻), 답답할 탑(傝), 떨어질 탑(塌), 베낄 탑(搨), 담요 탑(毾), 젖을 탑(溻), 성 탑(禢), 얽을 탑(䌈), 큰 배 탑(䑽), 갈 탑(遢), 다락문 탑(闒), 가자미 탑(鰨)자들은 ‘𦐇’자가 들어 있어서 ‘탑’으로 읽습니다.
+ = 䈳
바구니 겸(䈴)자는 의부(義符)로 대 죽(竹)자 아래에 성부(聲符)로 겸할 겸(兼)자를 했습니다. 겸할 겸(兼)자는 겸하여 모은다는 뜻이 있는 모을 집(亼)자 아래에 나무 목(木)자를 두 개하고 그 나무 두 그루를 묶어놓았습니다.
+ = 䈴
대나무가 무성한 모양 옹(䈵)자는 의부(義符)로 대 죽(竹)자 아래에 성부(聲符)로 늙은이 옹(翁)자를 했습니다. 늙은이 옹(翁)자는 의부(義符)로 깃 우(羽)자에 성부(聲符)로 공변될 공(公)자를 했습니다. 늙을 로(老)자가 털을 그린 상형(象形) 글자임을 생각할 때 깃 우(羽)자가 의부(義符)인 뜻을 알 수 있을 것입니다. 독 옹(瓮)자도 공변될 공(公)자가 들어 있어서 ‘옹’으로 읽습니다.
+ = 䈵
대나무 무늬 용(䈶)자는 의부(義符)로 대 죽(竹)자 아래에 성부(聲符)로 얼굴 용(容)자를 했습니다. 얼굴 용(容)자는 얼굴의 모양을 상형(象形)한 글자입니다. 집 면(宀)자는 머리고, 골 곡(谷)자는 눈과 입을 상형(象形)했습니다. 웃을 소(笑)자는 웃는 얼굴을 그린 상형(象形) 글자입니다. 웃을 소(笑)자에서 대 죽(竹)자는 웃고 있는 눈이고, 어릴 요(夭)자는 웃고 있는 입입니다. 웃으면 입고리가 올라가지요. 어릴 요(夭)자는 입고리가 올라간 모양을 그린 글자입니다.
+ = 䈶
울타리 락(䈷)자는 의부(義符)로 대 죽(竹)자와 나무 목(木)자에 성부(聲符)로 각각 각(各)자를 했습니다. 각각 각(各)자는 천천히 뒤져올 치(夂)자 아래에 입 구(口)자를 해서 사람의 동작과 말은 모두 제 각각이라는 뜻을 표시하였습니다. 떨어질 락(落), 강 이름 락(洛), 헌솜 락(絡), 구슬 목걸이 락(珞), 진한 유즙 락(酪), 지질 락(烙), 낙타 락(駱), 산 모양 락(峈), 산 위의 바위 락(硌), 깎을 락(鉻), 수리부엉이 락(雒), 작은 다랑어 락(鮥)자들은 각각 각(各)자가 들어 있어서 ‘락’으로 읽습니다.
+ = 䈷
대의 서판 부(篰)자는 의부(義符)로 대 죽(竹)자 아래에 성부(聲符)로 거느릴 부(部)자를 했습니다. 거느릴 부(部)자는 성부(聲符)로 침 부(咅)자에 의부(義符)로 읍 읍(邑,⻏)자를 했습니다. 읍 읍(邑,⻏)자는 언덕을 뜻합니다. 거느릴 부(部)자는 언덕에 사람이 줄을 지어 가는 모습을 상상하게 합니다. 대의 서판이란 옛날 죽간(竹簡) 밑에 넣어 글씨를 쓸 때 삐뚤어지지 않게도 하고 글씨를 바르게 쓰도록 도움을 주는 널빤지를 뜻합니다.
+ = 篰
대 조리 리(篱)자는 의부(義符)로 대 죽(竹)자 아래에 성부(聲符)로 산신 리(离)자를 했습니다. 산 신 리(离)자 는 짐승의 발자국을 그린 상형(象形) 글자입니다. 또는 산신 리(离)자는 산에 있는 신이겠지요. 그래서 산 산(山)자 아래에 무서운 얼굴(凶)을 하고, 산에는 짐승들이 사니까, 짐승 발자국을 그린 발자국 유(禸)자를 했습니다. 조리는 물에 일러이며 사용하는 도구로 곡식 중에 섞여 있는 돌을 고르는데 사용했습니다.
+ = 篱
비 수(篲)자는 대 죽(竹)자 아래에 비 혜(彗)자를 했습니다. 비 혜(彗)자는 빗자루를 표시한 글자입니다. 예쁠 봉(丰)자 두 개는 빗자루의 쓰레기를 쓰는 부분을 나타낸 글자이고, ‘彐’자는 손을 나타낸 글자입니다. 빗자루를 사용하려면 손으로 잡아야 합니다. 비 수(篲)자는 대나무로 만든 비입니다.
+ = 篲
울타리 필(篳)자는 의부(義符)로 대 죽(竹)자 아래에 성부(聲符)로 마칠 필(畢)자를 했습니다. 마칠 필(畢)자는 밭 전(田)자에 꽃 화(華)자에서 풀 초(艸,艹)자를 뺀 아랫부분과 같은 글자를 했습니다. 마칠 필(畢)자는 곡식이 꽃이 피어 열매를 맺어서 추수하게 된 것을 표시한 글자입니다. 싹이 나서 자라서, 꽃이 피어 열매를 맺어 추수하게 되었으니, 곡식의 일생을 마쳤다는 말입니다.
篳
피리 적(篴)자는 대 죽(竹)자 아래에 쫓을 축(逐)자를 했습니다. 피리 적(篴)자는 피리 적(笛)자와 동자(同字)입니다 피리 적(笛)자는 의부(義符)로 대 죽(竹)자 아래에 성부(聲符)로 말미암을 유(由)자를 했습니다. 나아갈 적(迪), 참소리쟁이풀 적(苖), 아름다울 적(頔)자는 말미암을 유(由)자가 들어 있어서 ‘적’으로 읽습니다.
+ = 篴
여기서 피리 적(篴)자는 피리 적(笛)자를 모사(模寫)한 글자입니다. 글자는 다르지만 글자의 뜻과 발음은 같습니다.
병든 대나무 총(篵)자는 의부(義符)로 대 죽(竹)자 아래에 성부(聲符)로 좇을 종(從)자를 했습니다. 좇을 종(從)자는 네거리를 그린 다닐 행(行)자의 반쪽인, 조금 걸을 척(彳)자에 사람 인(人)자 두 개를 하고 그 아래에 발 지(止)자의 변형인 ‘龰’자를 했습니다. 사람이 사람을 따른다는 뜻을 표시한 글자입니다. 지금 중국에서는 간체자(簡體字)로 ‘从cóng’자를 사용합니다. 합류할 총(漎), 우거질 총(蓯), 창 총(鏦)자들은 좇을 종(從)자가 들어 있어서 ‘총’으로 읽습니다.
+ = 篵
검은 대나무 언(篶)자는 의부(義符)로 대 죽(竹)자 아래에 성부(聲符)로 어찌 언(焉)자를 했습니다. 어찌 언(焉)자는 바를 정(正)자 아래에 새조(鳥)자에서 새의 꼬리 부분만을 했습니다. 새의 머리 부분에 바를 정(正)자가 들어 간 글자입니다. 머리는 바를 정(正)자 이고, 꼬리는 새입니다.
+ = 篶
뜸 봉(篷)자는 의부(義符)로 대 죽(竹)자 아래에 성부(聲符)로 만날 봉(逢)자를 했습니다. 만날 봉(逢)자는 쉬엄쉬엄 갈 착(辶)자변에 끌 봉(夆)자를 했습니다. 끌 봉(夆)자는 의부(義符)로 뒤져서 올 치(夂)자 아래에 성부(聲符)로 예쁠 봉(丰)자를 했습니다.
+ = 篷
비녀 잠(篸)자는 의부(義符)로 대 죽(竹)자 아래에 성부(聲符)로 간여할 참(參)자를 했습니다. 간여할 참(參)자는 담 쌓을 루(厽)자 아래에 숱 많을 진(㐱)자를 했습니다. 여기서 사사 사(厶)자는 담을 쌓는 돌을 뜻하고, 숱 많을 진(㐱)자는 담을 쌓을 때 사용하는 흙과 짚을 썰어서 만든 흙의 매개물질을 뜻합니다. 짚을 절게 썰어서 흙과 개어 사용해야 담이 무너지지 않고 오래 단단하게 보전됩니다. 간여한다는 말은 서로 응집력을 가지고 관계를 맺는 것을 뜻합니다. 돌과 짚과 흙이 서로 간여하는 관계에 있는 것이지요. 비녀 잠(篸)자는 비녀 잠(簪)자와 동자(同字)입니다.
篸 + = 篸
비녀 잠(篸)자에서 간여할 참(參)자는 비녀 잠(簪)자에서 일찍이 참(朁)자와 같은 역할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비녀 잠(篸)자에서 간여할 참(參)자는 비녀 잠(簪)자에서 일찍이 참(朁)자와 같은 위치에서 모두 성부(聲符)로 쓰고 있습니다. 간여할 참(參)자는 일찍이 참(朁)자의 모사(模寫)입니다.
반찬 찬(篹)자는 의부(義符)로 병부 절(㔾)자를 하고, 성부(聲符)로 셀 산(算)자를 했습니다. 모을 찬(纂)자도 셀 산(算)자 아래에 실 사(糸)자를 했습니다. 실과 같은 여러 갈래를 셈해서 모은다는 뜻이지요. 빼앗을 찬(篡)자도 셀 산(算)자가 들어 있어서 ‘찬’으로 읽습니다. 셀 산(算)자는 대 죽(竹)자 아래에 눈 목(目)자를 하고 받쳐 놓은 모습인 대 기(丌)자를 해서 대나무로 만든 산가지를 보고 셈하는 표기를 한 글자입니다.
+ + = 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