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탐 구 활 동 보 고 서 | |||||
|
|
| |||
제 목 |
심장과 순환에 대한 탐구 | ||||
일 시 |
년 월 일 요일 |
학년 반 번 | |||
이 름 |
| ||||
목 표 |
◦ 심장의 구조와 혈액 순환에 대해 탐구한다. | ||||
준비물 |
∙참고자료 ∙탐구활동보고서 ∙펜 |
1.탐구 활동 과정
1) <내 몸안의 지식여행 인체 생리>를 읽고 탐구한다.
2) 심장의 구조와 혈액순환 경로에 대해 탐구한 내용을 발표하고 논의한다.
2. 참조자료
1) <내 몸안의 지식여행 인체생리 : 다나카 에츠로>
3. 결과 정리 및 토의
1)심장의 구조와 혈액순환 경로에 대해 그림을 직접 그려서 설명하시오?
○ 심장에는 4개의 방과 4개의 판막이 있음.
- 승모판(이첨판): 신부님이 쓴 모자와 비슷해서 붙여진 이름
- 삼첨판, 대동맥판(반월판), 폐동맥판(반월판)
○ 심장의 근육은 가로무늬근(횡문근)이면서 불수의근으로 자율신경의 조절을 받음.
○ 몸의 순환 시스템은 대순환계와 소순환계 2가지가 있음.
- 대순환 : 좌심실 → 대동맥 → 온몸(모세혈관) → 대정맥 → 우심방
- 소순환 : 우심실 → 폐동맥 → 폐포(모세혈관) → 폐정맥 → 좌심방
2) 가슴에 청진기를 대면 쿵쾅쿵쾅 심장 뛰는 소리가 들리는데 그 이유는 무엇인가?
○ 그 소리는 판막의 소리임(심음, cardiac sound)
- 판막이 4개이기 때문에 소리도 4가지 종류임.하지만 정상적인 심장의 경우 두 가지 소리가 동시다발적ㅇ로 발생하기 때문에 두 종류의 소리만 들림.
- <승모판(이첨판) + 삼첨판 혼합음>과 <대동맥판 + 폐동맥판의 혼합음>
○ 혈액의 난류, 즉 소리는 역류할 때와 좋은 곳을 통과할 때 발생함(심잡음, heart murmur).
- 판막이 완전하게 닫히지 않는 경우, 혈관이 좁아졌을 경우, 종전에는 없는 통로가 개통되었을 경우
- 좌심실과 우심실을 구분하는 벽(심실중격, intentricular septum)에 구멍이 생긴 경우
3) 심장마비란 어떤 상태이고 심장의 규칙적인 수축과 이완은 어떻게 발생되는가?
○ 심장마비란 심근세포가 일시 정지, 즉 마비된 상태가 아니라, 모든 심근세포가 제 멋에 취해 수축과 이완을 맘대로 되풀이하는 상태.
- 심장은 작은 근육세포(심근세포)의 덩어리. 이 세포 전원이 규칙적으로 리듬에 맞추어 수축과 이완을 함.
○ “동방결절”의 총 지휘에 의해 심장이 규칙으로 운동
함.
- 동방결절 → 방실결절 → 히스색 → 푸르키네섬유
4) 심전도의 원리에 대해 그림을 그리면서 설명해 보시오.
○ 심전도(ECG, electrocardiogram)란? 심근세포가 수축할 때는 미세한 전기가 흐름. 이 전기흐름을 피부 표면에서 관찰하는 것이 심전도임.
- QRS파와 T파는 심실의 수축/확장의 세기를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실심의 수축/확장 개시 신호를 나타냄. 심방은 심실보다 근육량이 적기 때문에 심방의 파(P파)는 심실의 파(QRS파와 T파)에 비해 작음.
- 심방이 수축할 때 P파, 심실 수축시 QRS파, 심실 이완시 T에서 P까지
○ 심전도를 통해 알 수 있는 것은?
- 심장박동의 리듬을 통해 심장 수축 명령이 제대로 이행되고 있는지 알 수 있음.
- 심근의 상황을 알 수 있음. 심근세포가 산소 부족 상태에 있다면 전기 신호로 이상 유무를 감지해낼 수 있음.
5) 관상동맥과 뇌동맥의 특징은 무엇인가?
○ 관상동맥과 뇌동맥은 나뭇가지처럼 일단 가지가 나누어지면 다시 모이지 않는 구조로 되어 있음.
- 심장과 뇌는 혈관 중 어느 한 군데만 막혀도 혈액이 흐르지 못함.
- 동맥이 좁아져 혈액이 충분히 흐르지 못하는 병을 심장의 경우에는 “협심증”, 뇌의 경우에는 “뇌허혈”이라 함.
6) 가장 먼저 혈류량을 확보해야 하는 곳은?
○ 제 1순위는 뇌, 다음이 심장. 뇌와 심장의 세포는 산소 부족에 굉장히 약해서 단 몇 분 밖에 견디지 못함.
- 뇌의 혈류가 끊어지면 몇 초 내에 의식을 잃고, 몇 분이 지나면 회복 불가능한 상태에 이름.
- 뼈의 세포는 혈류 부족에 비교적 강해서 혈류가 끊어져도 하루 정도는 살 수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