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프록시 접속차단되는 사이트 우회접속하기 위한 웹프록시
http://blog.daum.net/_blog/BlogTypeView.do?blogid=0O85R&articleno=15#ajax_history_home
세 편으로 나누어 올립니다.
Level 1 :: 개요 및 DNS 서버 변경하기
Level 2 :: 프록시 서버 이용하기
Level 3 :: Tor 설치하기
프록시 서버란?
프록시 서버는 여러분을 대신하여 웹 서핑을 해주는 서버입니다.
시위현장에 등장하는 "프락치"와는 아무 상관이 없습니다. "대리인"을 뜻하는 영어 "proxy"에서 나온 말입니다.
(참고로 "프락치"는 러시아어 "fraktsiya"에서 나온 말이지요. 영어의 "fraction"과 관련이 있습니다.)
프록시 서버에다가 "나 대신 이 사이트에 좀 접속해 주셈" 이라고 요청을 하면,
서버가 직접 해당 사이트에 접속하여 컨텐츠를 다운로드한 후, 여러분에게 다시 전송해 줍니다.
대부분의 프록시 서버들은 미국이나 유럽과 같이 인터넷 검열이 심하지 않은 나라에 설치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여러분이 직접 접속할 수 없는 사이트에도 접속해 줄 수가 있지요.
또한, 해당 사이트에 실제로 접속하는 것은 여러분이 아니라 프록시 서버이기 때문에
여러분의 IP 주소가 사이트 기록에 남지 않는다는 장점도 있습니다.
(프록시 서버의 종류에 따라서는 여러분의 IP 주소가 드러나는 경우도 있으므로 주의하세요.
IP 주소를 철저하게 숨기고 싶다면 3편에서 다룰 Tor를 이용해야 합니다.)
웹 프록시
웹 프록시는 컴퓨터에 별다른 설정을 하지 않아도 브라우저를 통해 쉽게 사용할 수 있는 프록시 서버입니다.
대부분의 사이트에서 웹 서핑을 하는 데는 아무 무리가 없습니다.
아래는 제가 찾은 웹 프록시 사이트들 중 제일 쌈박하게 생긴 Hide My Ass! 입니다.
"내 엉덩이를 숨겨줘!" 또는 "내 뒤를 봐줘!" 라는 뜻이지요 ㅋㅋ 주소는 http://www.hidemyass.com/ 입니다.
접속하고 싶은 사이트의 주소를 입력한 후, 노란 단추를 클릭하기만 하면, 해당 사이트의 컨텐츠를 보여줍니다.
그 밑에 있는 "SSL Encryption"을 클릭하시면 한층 강화된 보안기법을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아래는 또다른 웹 프록시 사이트인 PROXIFY의 스샷입니다. 주소는 http://www.proxify.com/ 입니다.
위와 마찬가지로, 주소만 입력하면 나머지는 알아서 다 됩니다.
해킹에 사용될 수 있는 악성 스크립트와, 귀찮은 광고를 다 제거해 주는 기능까지 덤으로 따라옵니다.
"Click for HTTPS"를 클릭하면 일반서버가 아닌 보안서버로 접속되므로 더욱 안전합니다.

제가 찾은 또 하나의 웹 프록시, Web4Proxy.com 입니다. http://www.web4proxy.com/
사용방법은 같습니다. 서버가 10개 있는데, 아무 거나 선택하면 됩니다. 그 중 하나는 SSL 보안도 지원되는군요.
웹 프록시를 사용하실 때는 가능하면 보안서버를 제공하는 사이트가 좋습니다.
보안서버가 아닌 경우, 프록시를 통해 전송되는 ID, 비밀번호 등이 감청당할 우려가 있기 때문입니다.

아래의 스샷은 Proxy.org입니다. http://www.proxy.org/
여긴 아예 프록시 서버 목록을 잔뜩 모아놓았습니다. 아무 거나 땡기는 대로 사용하면 됩니다.
비슷한 사이트로는 http://www.fastproxynetwork.com/ , http://www.publicproxyservers.com/ 등이 있습니다.

접속이 안 되는 프록시 서버가 있거나, 아예 프록시 서버가 차단되어 버린 경우, 구글에게 물어보면 다른 것을 가르쳐 줍니다.
구글에 "web proxy"를 검색해 보세요. 검색 결과가 아주 많습니다.

IP:포트 프록시
위에서 설명드린 웹 프록시는 사용하기는 쉽지만 자기네 광고가 붙어나오는 경우가 많고,
프레임을 이용하여 그런 광고를 표시하기 때문에 사이트에 따라서는 제대로 나오지 않는 경우도 있습니다.
브라우저 설정을 약간 바꾸어 IP:포트 프록시를 사용하면 이런 불편을 해소할 수 있습니다.
일단, Proxy 4 Free http://www.proxy4free.com/ 같은 곳에서 프록시 서버 목록을 구합니다.

익스플로러를 사용하시는 분은 "인터넷 옵션"에 들어가서 "연결" 탭을 선택하세요.

우측 하단의 "LAN 설정"을 클릭해 주세요.

"사용자 LAN에 프록시 서버 사용"을 클릭하고, 사용을 원하는 프록시 서버의 IP와 포트를 입력하시면 됩니다.
이제 "확인"을 누르고 창을 닫으세요. 그 다음부터 접속하는 모든 사이트는 해당 프록시를 통하게 됩니다.
나중에 프록시를 그만 쓰고 싶으면 "사용자 LAN에 프록시 서버 사용"만 해제해 주면 됩니다.
이것만 해제하면, 그 밑의 IP와 포트는 지웠다가 다시 넣었다가 할 필요가 없습니다.
그러나 프록시 서버를 사용하면 인터넷이 상당히 느려집니다.
프록시 서버가 있는 미국이나 유럽까지 데이터가 왔다갔다해야 하니, 당연한 일이지요.
또한 익스플로러 설정을 바꿔놓으면 컴퓨터에 설치해 놓은 모든 프로그램들이 다 영향을 받기 때문에,
IP:포트 프록시를 사용하려면 익스플로러는 그냥 두고, 파이어폭스(불여우)와 같은 다른 브라우저를 별도로 설치하여
거기서만 프록시 서버를 사용하는 것이 편리합니다.
아래는 파이어폭스에서 프록시 서버를 설정하는 방법입니다.
일단 "도구" 메뉴에서 "옵션"을 클릭한 후, "고급" 탭을 선택합니다.

"연결" 항목 우측에 있는 "설정"을 클릭합니다.

위의 그림과 같이 "프록시 수동 설정"을 선택하고, 프록시 서버의 IP와 포트를 입력한 후,
"모든 프로토콜에 위의 프록시 설정 사용"을 선택해 줍니다. "확인"을 누르고 창을 닫으면 됩니다.
만약 문제가 발생할 경우, 똑같은 과정을 거쳐 "프락시 사용 안 함"을 선택해 주면 정상으로 돌아옵니다.
(파이어폭스 설정 창에 오타가 있네요 ㅋㅋ 프락시든 프록시든 일관성있게 하나만 쓸 것이지...)
파이어폭스 애드온을 이용하여 쉽게 프록시 바꾸기
파이어폭스를 사용해 보신 분들은 다양한 애드온 기능에 매료되게 마련입니다.
상상할 수 있는 거의 모든 기능을 애드온을 통해 구현할 수 있지요.
위와 같이 복잡하게 설정을 바꾸지 않아도
IP:포트 프록시 서버를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해 주는 애드온이 있습니다.
일단 두 가지를 소개합니다.
SwitchProxy https://addons.mozilla.org/en-US/firefox/addon/125
FoxyProxy http://foxyproxy.mozdev.org/
이건 사용법이 워낙 다양해서 나중에 별도로 한번 글을 써야 할 것 같습니다.
대략 용도가 뭐냐 하면, 위의 Proxy4Free와 같은 사이트에서 프록시 목록 수십 개를 긁어다가
아주 쉽게 이것저것 바꿔가며 사용할 수 있도록 해 주는 기능입니다.
클릭 한 번만 하면 이 프록시, 또 한 번 클릭하면 저 프록시...
잘 사용하면 동에 번쩍 서에 번쩍 신출귀몰하는 네티즌이 될 수 있지요.
첫댓글 나 해외여신데 다음 블로그도 안되고 인터파크도 안되고 ㅠㅜㅠㅜ 언냐 고마워잉 !!!! 해봐야지이~~
심심할때마다 프록시를 연구하세요 ~~~!!!
삭제된 댓글 입니다.
모르면 구글링 하면 다 나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