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 애착관계와 사회성
애착이란 주 보호자에게 아이가 느끼는 친밀하고 강한 정서적 관계를 말합니다. 발달심리학자들의 정립한 애착이론의 핵심은 영아가 적절하게 사회적으로 발달을 하기 위해서는 한 명 이상의 주 보호자와 생후 6개월에서 2년 사이에 애착을 형성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다음과 같은 애착유형이 있으며, 이는 영아가 자라면서 형성될 성격, 사회성, 대처행동 등 여러 요인에 광범위하게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1. 안정형 애착
안정형 애착에 해당되는 아기는 주 보호자가 있을 시 낯선 환경을 탐색하지만, 주 보호자가 부재할 시 울며 찾는 행동을 보입니다. 그러나, 주 보호자가 다시 돌아온 후에는 환영하며 쉽게 진정합니다. 이는, 아기가 주 보호자를 신뢰하고 있음을 뜻합니다.
2. 회피형 애착
회피형 애착에 해당되는 아기는 주 보호자가 곁에 없어도 별다른 저항을 보이지 않으며, 낯선 환경도 비교적 잘 받아들입니다. 주 보호자가 돌아와도 이에 대한 반응을 잘 보이지 않습니다.
3. 양가형 애착
양가형 애착에 해당되는 아기는 주 보호자에게 접근과 회피 사이를 오가는 행동을 보이며, 주 보호자로부터 안정감을 느끼지 못합니다.
4. 혼돈형 애착
혼돈형의 경우 아기들은 회피형과 양가형 특성을 같이 나타냅니다. 주 보호자가 돌아온 것을 알아챘음에도 반응을 보이지 않거나, 주 보호자에게 다가가 곧 화를 내고 밀치는 행동을 보이는 등의 모순적인 행동을 보입니다.
유아기의 애착과 사회성 발달 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 결과에 따르면, 안정적 애착을 지닌 아동은 불안정 애착을 지닌 아동보다 탁아소에서 보다 더 높은 수준의 사회성과 더 적은 문제행동을 보였으며, 집 밖에서도 사회적 관계를 형성 능력이 더 발달했음을 보고했습니다. 이처럼, 애착은 아동기와 청소년기의 성격, 사회성, 문제행동 등에 영향을 미치며, 이는 성인기까지 지속될 수 있습니다. 성인 애착과 성격 및 스트레스 대처행동 간 관계에 대한 연구에 따르면, 안정된 성인 애착 유형은 성인 애착의 하위 요인 가운데 자신감이 가장 높았으며, 여러 성격 특성 중 활동성, 안정성, 사회성 측면에서 불안정 애착 유형들보다 높은 점수를 보였습니다. 이들은 신경증적 경향이나 정신장애적 경향, 그리고 반사회적 경향도 비교적 낮게 나타났습니다. 안정된 애착유형은 스트레스에 직면했을 때 불안정한 유형들보다 사회적 지지를 더욱 추구하거나 문제 중심적으로 대처하였습니다.
애착유형은 한 번 정해지면 바뀔 수 없나요?
심리학자들은 획득된 안정애착이라는 개념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영아기에 주 보호자와 안정적이지 못한 애착을 맺었다 하더라도, 마치 안정적인 애정과 관계를 경험하여 안정적 애착을 형성한 사람들과 같은 삶을 살고 있는 사람들이 있기 때문에, 애착은 영아기의 관계뿐만 아니라 살아가면서 경험하는 새로운 관계도 애착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즉, 살면서 경험하는 관계들이 생애 초기에 형성되어 내재화된 애착유형에 영향을 미쳐 새로운 대상과의 신뢰 경험을 바탕으로 애착유형이 변화 가능하다고 보는 것이죠. 그렇기 때문에 아이가 다양한 환경에서 긍정적인 관계 경험을 할 수 있도록 부모님께서 도우셔야 합니다.
1. 아이를 믿고 기다려주기
부모님은 아이의 편이되어 아이의 입장에서는 어떤 생각을 할지, 어떻게 느낄지를 관심을 갖고 대화를 통해 알아가며 성장하길 기다려주는 양육태도가 필요합니다. 부모와 자녀의 관계가 안정적이고 편안해야 아이가 새로운 상황과 관계에 사회적으로 적절히 대처할 수 있습니다
2. 아이와의 약속 지키기
애착의 특징 중 가장 중요한 요인은 신뢰감입니다. 신뢰감을 깨는 행동은 가급적 피해야합니다. 부모가 아이에게 일관된 언행을 보이는 것은 아이의 심리적 안정감과 신뢰로운 관계 형성에 매우 중요합니다.
3. 사회성 증진에 도움되는 프로그램 참여하기
발달과정에서 새로운 관계를 통한 경험이 획득하는 애착 형성에 많은 영향을 미칩니다. 사회성 발달이 비교적 느린 아이의 경우에는 적절한 관계를 형성하고 유지하는데 필요한 사회적 기술을 학습하고, 이를 연습해보며 실생활에 적용하는 일련에 과정을 반복하는 것은 매우 중요할 수 있습니다.
본 센터는 아동과 청소년을 비롯한 모든 연령의 상담을 진행하는 센터로 사회성 발달을 위한 집단상담, 치료놀이 및 각종 상담방식이 다양한 치료센터입니다. 또한 전문 치료사가 배치되어 고민하고 어려워하는 부분을 정확하고 친절하게 상담을 해드리고 있습니다. 자세한 사항은 홈페이지를 방문하시어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이향숙 소장님 인터뷰 및 칼럼] >> 한 가지 물건에 집착/교우 관계가 원만하지 않은 학생
[상담 후기] >> 개별 및 사회성 치료 초등 저학년 후기
[온라인 상담하러 가기]
[이향숙 소장님]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아동복지학과 박사 (아동심리치료전공)
상담 경력 25년, 대학교수 및 외래교수 경력 30년
현) KG 패스원사이버대학교, 서울사이버평생교육원 외래교수
KBS, MBC, SBS, EBS, JTBC, 조선일보, 동아일보, 중앙일보, 청와대신문 등 아동청소년가족상담 자문
자격) 미국 Certified Theraplay Therapist (The Theraplay Institute)
심리치료 수련감독자 및 상담전문가 1급 (한국상담학회)
부부가족상담 수련감독자 및 상담전문가 1급 (한국상담학회)
사티어 부부가족 상담전문가 1급 (한국사티어변형체계치료학회 공인)
청소년상담 수련감독자 및 상담전문가 (한국청소년상담학회 공인)
재활심리치료사 1급 (한국재활심리학회 공인)
사티어의 의사소통훈련 프로그램 강사/ 사티어 부모역할훈련 프로그램 강사
MBTI 일반강사/ 중등2급 정교사/ Montessori 교사/ 유치원 정교사/ 사회복지사/ 보육교사 등
인터뷰) 이향숙 박사 “아이 사회성 교육의 중요성”
https://tv.naver.com/v/15458031
저서) 초등 사회성 수업 , 이향숙 외 공저. 메이트북스 (2020)
>> 언제까지 아이에게 친구들과 사이좋게 잘 지내라는 뜬구름 잡기식의 잔소리만 할 것인가? 초등학생인 우리 아이의 사회성을 길러줄 수 있는 답이 이 책에 담겨 있다. 사회성에 대해 20여 년간 상담하고 관련 프로그램을 개발해 아이의 사회성에 대한 고민을 해결해온 이향숙 박사의 오랜 경험과 노하우가 이 책 한 권에 고스란히 담겨 있다. (책 소개 中)
*참고문헌
김광은. (2004). 성인 애착 유형과 요인에 따른 성격 특성 및 스트레스 대처방식.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6(1), 53-69.
서미경, & 정남운. (2016). 애착 유형의 비연속성에 관한 연구: 획득된 안정애착과 현재의 불안정애착 간의 내적작동모델 비교. 인간이해, 37(1), 67-85.
이진숙, & 조복희. (2001). 유아의 애착 표상과 교사-유아관계 및 사회적 능력간의 관계. 아동학회지, 22(3), 17-29.
Ainsworth, M. D. S. (1978). The bowlby-ainsworth attachment theory. Behavioral and brain sciences, 1(3), 436-438.
*사진첨부: pixabay
*작성 및 옮긴이: 한국아동청소년심리상담센터 인턴 김주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