갑회사(결산일 12월 31일)의 20X1년 기초유통보통주식수는 10,000주이다.
20X1년초에 갑회사는 전환사채를 발행하였으며, 전환사채 이외의 잠재적 보통주는 없다.
다음은 전환사채와 관련된 자료이다.
단, 20X1년 중에 전환사채의 전환이나 결제는 없었다.
- 액면금액 : \1,000,000
- 조건 : 액면금액 \1,000당 보통주 1주로 전환하거나 액면금액의 105%에 해당하는 현금으로 결제 가능
- 당기 전환사채 이자비용 : \80,000
- 법인세율 : 30%
물음)
갑회사의 선택에 의해 전환사채의 원금을 보통주로 결제할 수도 있고 현금으로 결제할 수도 있을때 20X1년도 기본주당이익과 희석주당이익을 각각 계산하여라. 단, 갑회사의 20X1년도 당기순이익은 \700,000이다.
풀이)
기본주당이익 = \700,000 / 10,000주 = \70 이라는데
당기 전환사채 이자비용 80,000원을 이자비용으로 지불한거 아닌가요??
따라서 기본주당이익은 (\700,000-80,000) / 10,000주 이게 정답이 아닐까 하는데.
희석주당이익 답을 보니까 (\700,000 + 80,000x0.7) / (10,000주 + 1,000) = \69.
이 부분이 이자비용을 내지 말았어야 했다는걸 나타내는 거니까 그렇게 생각했는데..
답변좀 부탁드립니다;;ㅋ
첫댓글 이자비용을 이익에서 차감하고 남은게 당기순이익이죠...
[악플사양합니다.]
1. 30%만큼 법인세 절감 효과니까..그거 빼면 70%만 비용처리되는 효과.
2. 전환사채로 전환했다면 56,000만큼 이자 덜 나간 효과가 있을터......이해가 되셨으면 합니다...
저두 초보라,....
윗분 말씀대로 이자비용을 이익에서 차감하고 남은게 당기순이익이고,
기본주당순이익을 구할시 당기순이익에서 차감하는 것은 우선주배당금과 우선주상환시 발생한 차액(감자차손)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