훈민가(訓民歌) / 정철(鄭澈)
아버님 날 낳으시고 어마님 날 기르시니
두분 곳 아니면 이 몸이 사라시랴.
하늘 같은 은덕을 어찌 다혀 갑사오리.
임금과 백성과 하이 하늘과 딸이로되.
내의 셜운 일을 다 아로려 하시거든
우린들 살진 미나리 혼자 엇찌 머그리.
형아 아애야 네 살 만져 보와
뉘손 타나관지 양지조차 같은가.
한젖 먹고 길러나이셔 닷 마음을 먹디 마라.
어버이 사라진 제 셤길일란 다하여라.
디나간 후면 애닯다 어이 하리
평생에 고쳐 못 곳일이 잇뿐인가 하노라.
한 몸 둘헤 난화 부부 삼기실샤.
이신 제 힌몸 늙고 주그면 한대 간다.
어디셔 망녕의 것이 눈 눈흘그려 하나뇨.
계집아이 가는 길을 사나이 삥 둘러 돌아가듯이.
사나이 가는 길을 계집이 치우쳐 돌아가듯이,
제 남편 제 계집 아니어든 이몸 묻디 마십시오.
네 아들 효경 읽더니 얼마쯤 배웠느냐,
내 아들 소학은 모르면 마칠로다.
어느 때 이 두 글 배워 어딜거든 보려뇨.
마을 사람들아 옳은 일 하자스라.
사람이 되여나셔 올티옷 못하면
말소를 갓 곳갈 씌워 밥 머기나 다르랴.
팔목 쥐시거든 두 손으로 바티리라.
나가시는 일이 있거든 막대 들고 따르리라.
향음쥬(鄕飮酒) 다 파한 후에 뫼셔 가려 ?搭遺?.
남으로 삼긴 등의 벗같이 유신(有信)하랴.
내의 왼 일를 다 닐오려 하노매라.
이 몸이 벗님 곳 아니면 사람되미 쉬올가.
어와 뎌 족하야 밥 업시 엇디 하고.
어와 뎌 아자바 옷 업시 엇디 하고.
머흔 일 다 닐러사라 돌보고져 하노라.
네 집 상사들은 어도록 차리는가.
네 쓸 셔방은 언제나 맞이하게 되는가.
내게도 업다커니와 돌보고져 하노라.
오늘도 다 새거나 호미 메오 가자스라.
내 논 다 매거든 네 논 졈 매어 주마.
올길에 뽐 따다가 누에 먹여 보자스라.
비록 못 니버도 나미 옷을 앗디 마라.
비록 못 먹어도 마미 밥을 비디 마라.
한번만 때가 묻은 희면 고쳐 씻기 어려우리.
쌍뉵(雙六) 쟝기(將碁) 하디 마라 송사(訟事) 글월 하디 마라.
집 배야 무엇하며 남의 원수 될 줄 엇디,
나라히 법을 셰우샤 죄 잇는 줄 모로는다.
이고 진 뎌 늘그니 짐 프러 나를 주오.
나는 졈엇거니 돌히라 무거올가.
늘거도 셜웨라커든 짐을 조차 지실가.
● 전문 풀이
[1] 아버님이 나를 낳으시고, 어머님이 나를 기르시니,
두 분이 아니었다면 이 몸이 살 수 있었을까?
이 하늘 같은 은혜를 어디에다 갚을까?
[3] 형아 아우야 네 살을 만져 보아라.
누구에게서 태어났기에 그 모양도 같은가?(한 부모에게서 태어났기 때문이다.)
(어머니의) 한 젖을 먹고 자라나서 어찌 다른 마음을 먹을 수가 있겠느냐?(한 마음 한 뜻으로
서로 공경하고 사랑하라.)
[4] 부모님께서 살아 계실 동안에 섬기는 일을 다하여라.
돌아가신 뒷면 아무리 애닲아 해도 어찌할 도리가 없는 거이다.
평생에 다시 할 수 없는 일은 부모 섬기는 일인가 하노라.
[8] 마을 사람들아 옳은 일을 하자꾸나.
사람으로 태어나서 옳지 못하면
말과 소에게 갓이나 고깔을 씌워 놓고 밥이나 먹이는 것과 무엇이 다르랴.
[11] 아, 저 조카여, 밥 없이 어찌할 것인고?
아, 저 아저씨여, 옷 없이 어찌할 것인고?
궂은 일이 있으면 다 말해 주시오. 돌보아드리고자 합니다.
[13] 오늘도 날이 다 밝았다. 호미 메고 들로 가자꾸나.
내 논을 다 매거든 네 논도 좀 매어 주마.
일을 끝내고 돌아오는 길에 뽕을 따다가 누에도 먹여 보자꾸나.
[16] 이고 진 저 노인네 짐 풀어서 나를 주시오
나는 젊었으니 돌이라고 무겁겠소.
늙은 것도 서러운데 짐조차 지셔야 되겠소이까.
● 감상
훈민가(訓民歌)[일명(一名) 경민가(警民歌)]란 선조 13년 (1580년), 작자 나이 45세 때 강원도관
찰사로 재직하고 있을 무렵에, 강원도 백성들을 교유(敎諭), 계몽하기 위하여 지은 평시조로 이루
어진 16수의 연시조(聯時調)를 말한다. 곧 송강은 관찰사로 있으면서 단순한 명령이나 포고(布告)
따위로 백성들을 다스리기보다는 백성 스스로가 깨달아서 행동하게 하려고 노래를 지어서 널리 불
리워지게 한 것이다. 따라서 하나의 목적 문학으로서 창의성이나 문학적인 운치는 적지만 평이한
말 속에 은연중 인정의 기미를 건드리어 감동을 일으키고 있음은 작자의 비범한 문장력 탓일 게
다. 송강의 다른 노래도 그렇지만 특히 이 훈민가 16수는 윤리나 도덕에 관한 것으로써 굳어지기
쉬운 내용임에도 불구하고 순수한 우리말로 쉽게 풀이하여 백성들의 이해와 접근이 용이하도록 만
들어 놓았다. 뿐만 아니라, 끝맺는 말을 청유형이나 명령형으로 하여 백성들을 설득하는 힘이 강함
도 주목할 만한 표현이다.
[1] 이 시조는 훈민가의 첫 작품으로, '부의모자(父義母慈)'라는 제목으로 된 것이다, 부모는 어린
애에 대해서 신(神)과 같은 존재요, 태양과 같은 위치에 있다. 인간의 2대 비극은 부모 없는 고
아가 되는 것과 나라 잃은 망국인(亡國人)이 되는 것이라 한다. 어린애는 부모의 사랑을 먹고
자란다. 사실 부모 얼는 어린애는 버림받은 목숨이나 다름이 없다. 나를 낳아서 정성으로 키우
고 한없이 사랑해 주신 부모의 은혜를 알고 보답하려는 마음이 효(孝)의 윤리로 표현되었다.
부모의 은혜를 알고(知恩), 느끼고(感恩), 감사하고(謝恩), 보답하려는(報恩) 마음, 그것이 곧 효
심(孝心)이요, 효성(孝誠)인 것이다. 결국 부모에 효도하려는 마음은 인간의 자연스러운 '휴머니
티'요, 사람의 가장 순수하고도 아름다운 마음이라 할 수 있다.
[3] '형우제공(兄友弟恭)'이라는 제목이 붙은 시조로, 형제의 우애를 강조한 것이다. 가족은 3대 관
계로 구성된다. 첫째는 부부(夫婦)관계요, 둘째는 친자(親子)관계요, 셋째는 형제자매 관계다.
사실 부부는 이혼하면 완전히 남이 된다. 가깝고도 먼 사람이다. 그러나 나머지 두 관계는 피
로 얽힌 혈족 관계다.
형제애(兄弟愛)는 인간의 사랑과 정(情)의 가장 깊고 아름다운 것으로 인간 우애의 가장 이
상적인 형태라고 할 수 있다.
[4] '자효(子孝)'라는 제목이 붙은 것으로, 살아 계실 동안에 부모 공경을 열심히 해야 함을 강조한
것이다. 효에는 세 가지가 있다. 가장 큰 효는 부모를 존중하고 공경하는 것이다. 그 다음은 부
모를 욕되지 않게 하는 것이요, 제일 낮은 효는 부모를 의식주로써 잘 봉양(奉養)하는 일이다.
이것은 공자의 제자인 증자(曾子)의 말로, 효의 대중소(大中小)를 갈파한 명언이라 할 수 있겠
다. 존친(尊親)이 효의 으뜸가는 것이라 한 것은 곧 부모의 생명과 인격을 존중하는 것이 효의
근본이요 핵심이라는 얘기다.
[8] '향려유례(鄕閭有禮)'라는 제목이 붙은 것으로, 선행을 주제로 한 것으로, 사람이 마땅히 지켜
야 할 도리 가운데에서도 떳떳한 행동을 원한 교훈가이다.
[11] '빈궁우환 친척상구(貧窮憂患 親戚相救)'란 제목이 붙은 것으로 어려운 친척을 서로 도와야 함
을 말한 것이다. 나라를 사랑하는 마음이 이웃을 사랑하는 마음이요, 이웃을 사랑하는 마음이
친척을 사랑하는 마음으로서, 마음과 마음 사이를 꿰뚫어 흐르는 마음이 뜨겁다는 것이 인간
정철의 바탕이었던 듯하다. 무쇠같이 굳고 바위같이 단단한 일편단심의 왕권주의자였던 그의
어느 구석에 이같이 따뜻하고도 풍부한 인정미가 넘쳐 흘렀을까 싶을 정도로 이 시조는 인정
을 샘물처럼 내뿜고 있다. 정에 약하고, 가난에 마음 아픔을 느낄 줄 아는 송강, 여기서 그의
문학의 생명력과 진실함을 엿볼 수 있을 듯싶다.
[13] '무타농상(無惰農桑)'이라는 제목이 붙은 것으로, 근면성과 상부 상조의 정신을 강조한 것이다.
농번기의 농부의 일손은 잠시도 놓을 날이 없다. 한가로이 늦잠을 즐길 여유조차 없는 것이
다. 그래서 흔히 '손이 열 개라도 모자란다'고들 한다. 들에 나가 김을 매랴, 뽕을 따다 누에 치
랴, 농부들은 잠시도 쉴 틈이 없다. 그래서 우리 선인들은 '두레'를 만들고 '향약'을 조직하여 상
부상조의 정신을 길러 왔다.
[16]. '반백자불부대(斑白者不負戴)'라는 제목이 붙은 것으로, 노인을 공경하고 도와주어야 한다는
내용이다. 경로사상(敬老思想)은 동양인의 가장 아름다운 사상 가운데 하나다. 현실에서 소외당
하기 쉬운 늙은이를 보호하고 존중하는 태도는 인성(人性)의 가장 깊은 표현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시조는 작자 송강이 좋은 것을 좋아하고 나쁜 것을 싫어하는 원친적인 동심(童心)
을 기초로 한 직선형(直線型)의 인간이었음을 보여주고 있다. 더구나 높은 벼슬자리에 앓아서
나라의 경룬을 펴던 그가, 이만큼 평민성을 지니고 있었다는 것은 계급 의식이 절대적이었던
당시로선 꽤 드문 일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그 기저에 인간애 정신이 흐르고 있음은 두 말할
나위도 없다.
● 핵심 정리
◁ 작자 : 정 철 ◁ 출전 : <송강가사>
◁ 종류 : 연시조(16수) ◁ 성격 : 교훈적, 유교적
◁ 제재 : 유고의 윤리 도덕 ◁ 주제 : 유교의 윤리
<해제>
작자가 강원도 관찰사로 재직할 당시 백성들을 교유(敎諭), 계몽하기 위하여 유교의 윤리를
주제로한 전 16수의 연시조.
<감상>
제1수는 부모님의 높고 크신 은덕을 찬양하며 마땅히 '효(孝)'로써 평생을 섬겨야 함을 강조한 시조이다.
제4수는 살아계실 때 부모님께 효도할 것을 권유한 글이다. 유교적 윤리에서는 '효를 백행의 근본으로 삼는데, 효의 근본 정신은 살아 계신 어버이를 봉양하는 것임을 강조하고 있다.
제13수는 논밭 갈고 뽕나무 길고 누에 키우는 일을 시화하여 근면과 상부상조(相扶相助)를 직설적으로 강조한 것이다.
제16수는 노인을 공경하고 노인을 섬기고자 하는 정성과, 노인에 대한 연민의 정과 경로사상을 아울러 일깨워 주고 있다.
<정철(鄭澈)-1536∼1593>
호는 송강(松江). 이이(李珥), 성혼(成渾)등과 사귀었고, 서인(西人)의 거두가 되어, 여러 곳
으로 유배되면서 그의 문학적 활동이 뛰어났고, 특히 가사에 으뜸이었음. 저서로 '송강가사'
와 '송강집'이 있고, 시조 93수가 전한다.
<감상>
부생모육지은(父生母育之恩) 즉 아버님께서 나를 낳으시고, 어머님께서 나를 기르시니
부모님이 아니시었다면 이 몸이 태어나 살 수 있었을까
하늘같이 끝이 없는 은덕을 어떻게 다 갚으리오까
형아, 아우야, 네 살을 만져 보아라
누구에게서 태어났기에 모습까지 같은 것인가
같은 젖을 먹고 태어났으니 딴 마음 먹지 마라.
임금과 백성의 사이는 하늘과 땅만큼 차이가 큰데
나의 서러운 일까지 다 알려고 마음을 쓰시고, 헤아리니
우리들 살진 미나리를 어찌 혼자 먹을 수 있으리오
부모님께서 살아가실 때 섬기는 일을 다하여라
돌아가신 뒤에 아무리 애닯다고 한들 어찌하겠는가
평생에 다시 할 수 없는 일이 부모님을 섬기는 일이 이것뿐인가 하노라
(하늘이) 한 몸을 둘로 나누어 부부를 만드셨는데
살아있을 때는 함께 살면서 늙고 죽으면 같은 곳으로 가니
어디에서 망령된 것이 눈을 흘기려고 하는가
여자가 가는 길을 남자가 멀치감치 돌아 가듯이
남자가 가는 길을 여자가 한쪽으로 비켜 돌아가듯이
자기의 남편과 아내가 아니거든 이름을 묻지 마시오.
네 아들이 효경을 읽더니 얼마만큼 배웠는가
내 아들이 모레면 소학을 마칠 것이로다
어느 때 이 두 글을 배워서 어진이가 되는 것을 보겠는가?
마을 사람들아 옳은 일을 하자꾸나
사람으로 태어나서 옳지 못한다면
말과 소에게 갓이나 고깔을 씌어 밥먹이는 것과 무엇이 다르랴?
어른이 기동하실 때 만일 나의 팔목을 잡는 일이 있거든 두 손으로 받치리라
밖에 나갈 때가 있으시거든 지팡이를 들고 뒤따라 가리라
어른이 주연에 참석하시면 다 끝난 뒤에 모시고 가려고 하여라
남으로 태어난 가운데 친구처럼 신의가 있겠는가
나의 그릇된 점을 다 말하려 하노라
이 몸이 친구가 아니면 사람 되는 것이 쉽겠는가
어와 저 조카야 밥 없이 어찌하겠는가
어와 저 아저씨 옷 없이 어찌 하겠는가
궂은 일이 있으면 다 이야기하여라 내가 돌보고자 하노라
네 집에서 장례를 치를 때에는 얼마만큼 차리는가
네 딸아이의 신랑감은 언제쯤 맞이하려는가
내게도 재산이 없지마는 큰 일을 당하면 도와주려고 하노라
오늘도 날이 밝았다. 호미 메고 들로 나가자
내 논을 다 매거든 네 논도 좀 매어주마
일을 끝내고 돌아오는 길에 뽕을 따다가 누에도 길러보자
비록 옷이 없어서 못 입어도 남의 옷을 빼앗지 마라
비록 음식이 없어서 못 먹어도 남의 밥을 얻어 먹지 마라
한 번이라도 때가 묻으면 다시 씻기가 어려웁다
쌍륙놀이나 내기 장기는 하지 말라. 서로 송사도 하지 말라
집안이 허물어지면 무엇을 할 수 있으며, 남의 원수가 되면 어찌하겠는가
나라에서 법을 세우고야 죄가 되는 줄을 어찌 모르는가?
머리에는 짐을 이고 등에는 짊어졌으니 그 짐을 풀어서 나에게 주시오.
나는 젊었으니 돌인들 무겁겠는가
늙는 것도 서럽다 하거든 무거운 짐까지 지시겠는가?
<요점 정리>
연대 : 조선 선조
갈래 : 평시조
형식 : 전16수의 연시조로 직유법, 설의법 사용
성격 : 계몽적, 교훈적
제재 : 올바른 삶
주제 : 옳은 일의 권장
<내용 연구>
어머니 날 나흐시고 어마님 날 기르시니 : 부생모육을 직역한 말로 대구법
하늘같은 은덕을 어디 다 갚으오리 : 직유법, 설의법
돌아가신 후면 애닯다 어찌하리 : 風樹之嘆(풍수지탄)으로 효도를 하려고 마음 먹었을 때에는 이미 부모님은 죽고 효행을 다하지 못하는 슬픔
<이해와 감상>
訓民歌(훈민가)는 '경민가'라고도 불리며, 계몽적이며, 교훈적인 노래지만, 송강의 뛰어난 시적 재능이 돋보이는 작품으로 문학적 기교와 세련미를 엿볼 수 있다.
<주제>
1 부생모육의 은혜
2 형제간의 반목을 금하고, 우애 있게 지내기를 권함
3 임금과 백성의 관계와 부모님의 배려
4 부모님에 대한 효도 권유
5 부부는 일심동체와 상호간의 존경
6 남녀관계가 문란해짐을 경계
7 자녀들에게 학문 권장
8 올바른 행동 권유
9 어른 공경하는 태도
10 벗의 관계
11 상부상조의 정신
12 애경사시에 서로 도울 것
13 농사일에 상부상조의 정신
14 남의 물건을 탐내지 말 것
15 도박과 송사를 금함
16 노인에 대한 공경의 마음
<심화 자료>
'훈민가(訓民歌)'의 내용
효종9년에 간행된 김정국편저의 '경민편'의 부록에 의하면, 송나라 신종 때의 진고령이 지은 '선거권유문'13조목에다 군신유의, 장유유서, 붕우유신의 3조목을 추가하여 시조 형식으로 쉽게 해설한 것이 '훈민가'라고 하였다.
'선거 권유문(仙居勸諭文)'의 내용
父義母慈(부의모자)
兄友弟恭(형우제공)
子孝(자효)
夫婦有恩(부부유은)
男女有別(남녀유별)
子弟有學(자제유학)
鄕閭有禮(향여유례)
貧窮憂患(빈궁우환) 親戚相救(친척상구)
婚姻死喪(혼인사상)
隣里相助(인리상조)
無惰農桑(무타농상)
無作盜賊(무작도적) 無學賭博(무학도박),無好爭訟(무호쟁송),行者讓路(행자양로)
耕者讓畔(경자양반)
班白者不負戴(반백자불부대)
<훈민가의 특색>
1. 백성의 교화를 위한 것으로 계몽적이며, 교훈적인 성격을 띤 노래다>
2. 윤리, 도덕의 실천궁행(實踐躬行)을 목적으로 한 내용이다.
3. 창의성이나 문학적 운치는 적지만 평이한 말 속에 인정의 기미를 곁들여 감동을
일으키고 있다.
4. 순수한 우리말을 사용하여 백성들이 이해와 접근이 용이하도록 했다.
5. 끝맺음을 청유형이나 명령형으로 하여 백성들을 설득하는 힘이 강하다.
(자료 출처 - 오태현, 변재호, 유준기 공저 고전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