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부분의 약들이 술과 마찬가지로 간에서 해독된다. 그래서 술과 약을 함께 복용하면 간에 부담을 주는 경우가 많다. 아스피린 성분을 술(알코올)과 함께 복용할 때는 위와 장 출혈의 위험이 높아지고 대부분의 일반 감기약에 함유된 타이레놀(아세트아미노펜) 성분은 간 손상을 일으킬 수 있다. 그래서 음주전후 진통제 복용은 되도록이면 피하는 게 좋다.
더욱이 일부 진통제나 기침약들은 알코올 성분과 만나면 심장에 부담을 주는 경우도 있다. 또 직장인들이 음주 전에 자주 복용하는 소화제나 제산제(겔포스 등) 역시 가급적이면 피하는 게 좋다. 소화제는 혈중알코올농도를 갑자기 높일 수 있고 제산제계통의 위장약은 위장의 알코올분해효소의 활동을 저해하기 때문에 역시 혈중알코올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우리가 흔히 접하는 의약품 중에는 카페인이 함유된 것들이 많다. 판피린이나 판콜과 같은 종합감기약, 게보린 같은 진통제, 박카스나 원비 같은 자양강장제, 일부 비만 치료처방의약품 등등이 모두 카페인 성분이 든 의약품이다. 이들 약품과 우리가 자주 음용하는 카페인 음료 즉, 커피와 녹차, 콜라 등은 같이 복용하지 않도록 한다. 과도한 양의 카페인이 심계항진, 불면증, 간 손상 등을 일으킬 수도 있기 때문이다. 빈혈약(철분제)을 복용할 때는 녹차, 홍차 등을 피하는 게 좋다. 차의 떫은맛을 내는 탄닌 성분이 철분의 흡수를 방해할 수 있기 때문이다.
누구나 이와 같은 고민 한번쯤은 해봤으리라 본다. 약과 음식의 상호 작용을 이야기할 때 아무런 상관이 없는 경우도 있겠지만 때론 예기치 못한 부작용을 야기할 수도 있다. 흔하게 처방이 나오는 테트라싸이클린계 항생제(미노씬, 바이브라마이신 등등)와 우유를 함께 복용하면 우유(유제품)의 칼슘성분이 항생제의 작용을 방해, 약효를 크게 떨어뜨릴 수 있다. 아울러 우유는 약알칼리성으로 위산을 중화시키므로 둘코락스와 같은 변비약이나 일부 아스피린제제 등 장용정의약품의 코팅막을 손상시켜 약효를 크게 떨어뜨릴 뿐 아니라 위경련 등의 이상반응을 초래할 수도 있다.
오렌지주스를 겔포스나 잔트락틴과 같은 제산제와 함께 복용하면, 제산제의 알루미늄 성분이 몸에 흡수되어 치매나 골연화증 등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유의해야 한다. 또 항생제(앰피실린, 에리스리마이신 등) 성분이 든 의약품을 오렌지주스나 포도주스와 같은 산성과일주스와 함께 복용하는 것도 피해야 한다. 항생제가 산성 환경에서 불안정해지기 때문이다.
가장 흔하게 쓰이는 고혈압약인 암로디핀(노바스크, 아모디핀)과 펠로디핀(스프렌딜)성분의 고혈압 약을 산성과일주스, 특히 자몽주스와 같이 복용하면 약의 분해가 방해를 받아 체내 장기저류, 심각한 저혈압을 일으킬 수 있다.
한편 대체요법 여성호르몬제나 피임약을 다량의 인삼과 함께 복용하면, 인삼이 여성호르몬인 에스트로겐의 분비를 촉진시키고, 과다한 에스트로겐 양으로 인해 유방암이나 자궁암 등의 위험을 높일 수 있다. 물론 적당량의 인삼복용은 강력한 항암물질인 사포닌으로 인해 몸에 이롭다. 또 이러한 호르몬제를 복용하며 흡연을 한다면 혈전증의 위험 역시 높아진다는 점을 꼭 기억하자.
이처럼 약과 음식의 상호작용을 대략적으로 살펴봤는데, 약을 복용할 때는 의사나 약사의 특별한 언급이 없다면 다소 낮은 온도의 온수(미지근한 물)로 복용하는 게 정답이다. 또한 약을 복용할 때 위에서 언급한 부작용이 우려되는 음식을 어쩔 수 없이 먹게 되는 경우엔, 약 2시간정도(약에 따로 다소의 차이는 있다) 간격을 두는 것이 좋다. 건강을 위한 약들이 오히려 독이 되지 않도록 ‘지혜로운 복약(服藥)’이 필요하다. |
첫댓글 왕대로님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예,고맙습니다. 읽어주시느라~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고마워요, 읽는데 시간을 내어주어서.
좋은정보 감사합니다..
고맙습니다, 송죽씨.
좋은 정보 정말 감사합니다, 평상에서 무심코 넘어갔는데,,,
건강함을 원하는것은 우리모두의 소망 아닐까요.
잘봤습니다 ^^
좋은글 잘 보고감니다
잘봤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