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처: 화 목 한 사람들 원문보기 글쓴이: 나비부인
작자미상의 십장생도(十長生圖)
작자미상의 십장생도(十長生圖)
▲ 작자 미상 ‘십장생도 10곡병’ 19세기, 비단에 색, 151.0×370.7cm, 삼성리움미술관
그림 속에 해, 달, 구름, 거북을 그린 이유
‘십장생도(十長生圖)’예요. 세화(歲畵)를 대표하는 작품이고요.
새해를 축하하고 한 해 동안 액운 대신
경사스러운 일이 많이 생기기를 기원하는 뜻을 담아
정초(正初)에 왕이 신하들에게 나누어주던 그림이에요.
세화를 주는 풍속은 고려시대부터 세시풍속의 하나로 행해졌는데
벽사(?邪)와 진경(進慶)을 기원하는 마음에서 시작되었대요.
나쁜 일은 막아주고 좋은 일만 생기게 해 달라는 뜻이지요.
‘십장생(十長生)’은 장수를 상징하는 열 가지의 사물을 뜻해요.
해, 구름, 산, 바위, 물, 학, 사슴, 거북, 소나무, 영지가 대표적이지요.
구름 대신 달이, 바위 대신 대나무로 그려지는 등
문헌마다 장생물이 약간씩 다르게 표현되기도 해요.
조선 후기에는 복숭아나무와 대나무를 추가시켜 그리는 것이 일반적이었어요.
십장생에 선발된 사물은 해와 구름 같은 자연물에서부터
학과 거북, 소나무와 영지 등의 동식물까지 분포지역의 스펙트럼이 아주 넓어요.
한 장소에 그려 놓았지만 그림 속으로 초청받기 전까지는 서로 얼굴도 모르는 사이였어요.
이렇게 ‘가까이 하기에는 너무 먼’ 그들이
한자리에 모일 수 있는 공통점은 단 한 가지.‘상서롭다’는 것이었어요.
그저 바라만 보아도 좋게 해 주는 존재들이니 누군들 반기지 않겠어요.
사람도 마찬가지예요.
서로가 서로에게 십장생 같은 존재가 된다면
굳이 이런 우의적(寓意的)인 사물을 빌리지 않더라도 만남 자체가 상서로워지겠지요.
십장생도를 그림의 소재로 쓴 가장 큰 이유는 장수(長壽)에 대한 갈망 때문이었어요.
유한한 생명을 가진 인간으로서 조금이라도 더 오래 살고 싶은 욕망과 기원이
예술작품으로 표출되었어요.
이런 작품의 배경에는 ‘불로장생(不老長生)’을 추구하던
도교(道敎)의 신선사상(神仙思想)이 큰 영향을 미쳤을 거예요.
십장생이 있는 공간이 바로 신선들이 사는
‘선경(仙境)’이자 불사(不死)의 ‘파라다이스(樂土)’이니까요.
십장생도는 처음에는 궁중에서만 사용했어요.
왕, 세자의 결혼식이나 즉위식 혹은 책봉을 하는 가례(嘉禮)와, 회갑잔치 같은
수연(壽宴) 등 국가적 행사에서 왕과 왕비의 장수를 기원하고
행사장을 화려하게 치장하는 용도로 제작되었어요.
궁중의 모든 그림을 도맡아 그린 도화서(圖畵署) 화원(畵員)들의 가장 큰 의무도
왕의 어진(御眞)을 제작하는 것과 함께 십장생 병풍을 그리는 것이었어요.
왕이 신하들에게 내려주는 세화로 널리 퍼지면서
민간에서도 축수용(祝壽用) 그림으로 애용된 거지요.
첫댓글 그림이 예쁘고 대단히 훌륭합니다
귀한그림 잘보고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