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덕 롱(壟)자는 언덕은 흙으로 되어 있다는 뜻에서 의부(義符)로 흙 토(土)자 위에, 글자의 발음을 표시하는 성부(聲符)로 용 룡(龍)자를 했습니다. 용 룡(龍)자는 상상의 동물인 용을 그린 상형(象形) 글자입니다. 공으로 하는 운동 경기 중 하나인 농구(籠球)라고 할 때 쓰는 대그릇 롱(籠)자, 비올 롱(瀧), 흐릿할 롱(朧), 귀먹을 롱(聾), 목구멍 롱(嚨)자들은 룡(龍)자가 들어 있어서 ‘롱’으로 읽습니다. 농단(壟斷) 농무(壟畝) 지롱(地壟) 농대석(壟臺石) 홍서롱(紅薯壟)
옥 소리 롱(瓏)자는 의부(義符)로 구슬 옥(玉)자에 성부(聲符)로 용 룡(龍)자를 했습니다. 용 룡(龍)자는 용(龍)을 그린 상형(象形) 글자입니다. 대그릇 롱(籠), 비 올 롱(瀧), 흐릿할 롱(朧), 귀머거리 롱(聾)자들은 용 룡(龍)자가 들어 있어서 ‘롱’으로 읽습니다. 영롱(玲瓏) 소교영롱(小巧玲瓏) 팔면영롱(八面玲瓏) 오색영롱(五色玲瓏)
귀머거리 롱(聋,聾)자는 의부(義符)로 귀 이(耳)자에 성부(聲符)로 용 룡(龙,龍)자를 했습니다. 용 룡(龍)자는 상상의 동물인 용(龍)을 그린 상형(象形) 글자입니다. 대그릇 롱(籠), 비 올 롱(瀧), 흐릿할 롱(朧), 옥 소리 롱(瓏), 언덕 롱(壟)자들은 용 룡(龍)자가 들어 있어서 ‘롱’으로 읽습니다. 농수(聾叟) 농아(聾啞) 농암(聾巖) 농계(聾溪) 농와(聾窩) 이롱(耳聾) 농아(聾兒)
대그릇 롱(籠)자는 의부(義符)로 대 죽(竹)자 아래에 성부(聲符)로 용 룡(龍)자를 했습니다. 용 룡(龍)자는 용을 그린 상형(象形) 글자입니다. 구멍 롱(竉), 비 올 롱(瀧), 흐릿할 롱(朧), 옥 소리 롱(瓏)자들은 용 룡(龍)자가 들어 있어서 ‘롱’으로 읽습니다. 농구(籠球) 조롱(鳥籠) 정롱(灯籠) 약롱(藥籠) 농성(籠城) 농거(籠居) 인롱(印籠)
이 글은 국화선생님의 "한자의 비밀" 카페에서 퍼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