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부임피던스가 무한대인데 어떻게 이상적인 전류원이 되는건지 도무지 이해가 안가네요
정말 쉽게 설명해주실 고수님 안계신가요?^^
첫댓글 안녕하세요....답변드립니다. 전류원과 저항은 따로 생각하셔야 합니다. 전류원이란..전류를 공급하는 전원입니다. 따라서 전류원은 전류를 공급하는 목적으로 끝납니다. 그리고, 이 전류원에 내부 저항이 있는데, 이 내부저항은전류를 공급하는 목적의 전류원과는 병렬로 연결되어 있어야 합니다. 왜냐하면, 이상적인 전압원의 내부저항이 0인데, 뒤에 배우는 노튼의 정리에 의하면, 내부저항 0의 직렬로 연결된 저항은 1/0으로 계산하여 병렬로 무한대인 저항값으로 바뀌게 됩니다. 즉, 임피던스가 0이면 어드미턴스가 무한대가 되지요...또한 병렬로 연결된 이 저항이 무한대가 되어야
인가한 전류가 내부저항으로 흐르지 않고 모두 부하 저항으로 흐르기 때문입니다.
첫댓글 안녕하세요....답변드립니다.
전류원과 저항은 따로 생각하셔야 합니다.
전류원이란..전류를 공급하는 전원입니다.
따라서 전류원은 전류를 공급하는 목적으로 끝납니다.
그리고, 이 전류원에 내부 저항이 있는데, 이 내부저항은
전류를 공급하는 목적의 전류원과는 병렬로 연결되어 있어야 합니다.
왜냐하면, 이상적인 전압원의 내부저항이 0인데,
뒤에 배우는 노튼의 정리에 의하면, 내부저항 0의 직렬로 연결된 저항은
1/0으로 계산하여 병렬로 무한대인 저항값으로 바뀌게 됩니다.
즉, 임피던스가 0이면 어드미턴스가 무한대가 되지요...
또한 병렬로 연결된 이 저항이 무한대가 되어야
인가한 전류가 내부저항으로 흐르지 않고 모두 부하 저항으로 흐르기 때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