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9.임인(壬寅)일주

프롤로그
일주분석은 사주 전체의 구성에 따라서 때론 안 맞을수도 있다.
그럼에도 일주분석을 하는 이유는 사주팔자 8글자중 본인에 해당되는 일주를
음양오행, 물상론, 일간,일지분석, 십신분석, 지장간분석,12운성분석, 신살분석으로 장차
사주간명을 하기위한 좋은 트레이닝의 과정이며, 스스로를 알아가는 과정이라고 생각한다.
알다시피 처음부터 사주를 간명하는것은 쉽지않다.
충실한 일주분석은 추후에 사주전체와 대운을 간명하는 초석이 된다.
100층, 200층 건물을 짓기위해서 기초가 깊고 탄탄해야함은 말할 나위가 없다.
허주명리학의 일주분석은 이런 이치로 시작된다.
육십갑자의 첫번째인 갑자(甲子)시작하여 마지막인 계해(癸亥)일주로 마무리된다.
육십갑자 일주분석은 청담역학아카데미의 청담선생님의 일주론체계를 기본 바탕으로
맹기옥교수님의 새로운 12운성이론을 첨가하여 쓰여졌음을 알려드립니다.
멋진 일주이미지는 이정순공인중개사 이정순선생님께서 지원해주셨습니다.
1.자연물상/동물상
임인(壬寅)일주는 강가의 호랑이다. 임수는 한밤을 뜻하니 한밤의 호랑이라서 자기가 활동하는
시간에 있는 호랑이라 기백이 넘치고 카리스마가 작렬한다.
또는 호숫가에 휘드러지게 자라난 버드나무의 물상이다. 목가적이면서 정감이 넘친다.
길가는 나그네의 그늘이 되고, 쉼터가 되고, 가는길의 이정표가 되어주니 인정이 있고, 마음이 푸근해진다. 직관력과 영감이 뛰어나고 순발력이 좋으며 웅대한 기상이 있다. 방해물에 굴복하지 않는 굳건함이 있으며 용맹무쌍하다. 임인일주는 식복이 있는 일주인데, 요리와도 관련이 있고, 무한도전의 정준하씨의 식신 일주로 유명세를 탄 일주이다.
개인적으로 주성치 영화의 '식신'도 좋아하는 편이다.
2.일간일지의 음양오행및 관계
일간 임(壬)수은 큰 물이니 조용히 흐른다. 침착하고 과묵하다. 물은 다른 물과도 섞이니 융통성이 좋고 타인과 시비를 벌이지 않는다.
방해물을 만나면 돌아가거나 넘어가니, 환경적응력이 좋고 사교성이 있으나 깊은 물이니 속내를 알수가 없다. 작은물이 들어와도 합치니 포용력이 좋고 음중의 음이니 감추고 저장하며 압축하여 작게 만드는 일을 잘한다. 모임을 만들고 운영하는것을 좋아하니 사교성도 있다.
목화토금을 거쳐온 水이므로 오랜 삶을 살아온 노인이니 생각이 많고 지혜가 있다.
고요하게 정지되어 있는 물이니, 휴식이고, 어둠이고, 정적이며, 죽음을 상징하는 일간이다.
음중에 음이라고 할수 있겠다. 임수는 깊은 물이니 보관, 수집,저장하는 것을 잘한다. 구두쇠기질이 다소 있겠다.
3.십신(십성)관계- 10개의 식신이야기
임인(壬寅)의 일지 인목은 식신이라고 할수 있다. 역시 식신도 10개의 식신이 있다.
목화의 식신과 금수의 식신을 같은 식신으로 보면 안된다. 음양의 차이만큼이나 확연한 차이가 있다. 식신은 나누고 베풀는 마음이 강하다. 작은 마을에 목화 식신을 가진 동네 부자가 있다면 가뭄이나 춘궁기에도 마을사람들이 먹고사는게 부족하지 않는다는 일화가 전해진다.
며칠전 강원도 산불로 인해서 많은 이재민이 발생했는데, 곳곳에 온정이 이어지고 있는데 이를 식신의 입장에서 살펴보도록 하겠다.
목의 식신은 어질고 순하고 사심없이 베푸는 마음이다.
강원도 산불에 눈물을 글썽이면서 자신의 저금통을 깨고, 부모님께 같이 기부하자고 조른다.
사심이 없고 진실된 마음이므로 부모님들도 웃으면 동참할수 밖에 없다. 목은 그런 힘이있다.
주변의 다른 오행을 부끄럽게 만드는....
화의 식신은 그 베풀고 나눔이 목일때보다도 더 크고 넓어진다.
이번 화재에 아이유, 수지, 정우성, 차인표&신애라등 많은 연예인들이 거액을 기부했다.
연예인은 대표적으로 식신,상관을 쓰는 직종이다. 목보다도 규모도 크고 스케일도 커진다. 체면과 위신을 생각하기 때문에 통크게 기부하고 즐거워한다.
토의 식신은 베풀고 나눔을 점검하며 모여진 재원과 나눠질 인원을 점검하고 그 물량을 조절한다.토의 식신은 정부및 안전및 재해담당자로 볼수 있겠다. 모여진 후원금과 쓰여질 곳과 인원을 점검한다. 또한 이재민을 위한 기금이나 후원의 분위기를 조성하기도 하고, 이를 현장에서 뛰어줄 공무원및 자원봉사자를 모집하고 활용한다.
토의 역활이 목화의 양과 금수의 음의 중간이기 때문이다.
금의 식신은 그 나눔과 베품에 호불호가 가른다. 때론 자신의 후원금이 어디에 썼으면 한다고 의도와 목적을 밝킨다. 피해를 본 농가의 아이들의 학용품과 식비로 지원할수도 있고, 가축의 폐사로 피해를 본 목축업 종사자등 자신의 후원금이 본인이 의도한 목적에 쓰여지기를 바라고 있다.
수의 식신은 목화토금을 지나온 노련미가 있으며 다른 오행이 놓치는 곳을 챙기는 지혜가 있다.
산불에 화상을 입고 다친 반려동물의 치료와 가축들을 돌본다든가, 구호와 동시에 산불이 발생한 원인과 재발방지등을 점검하고, 지혜를 보탠다. 또한 산불로 인해 경향이 없는 통에 생길수 있는 사회약자및 노약층과 걸식아동등도 폭넓게 돌보는 지혜가 있다.
4.새로운 12운성(포태법)및 12신살
임인일주는 새로운 12운성상 병지(病地)에 해당된다. 양간이니 예전의 12운성 포태법도 병지(病地)로 같다. 병지를 대표하는 용어가 역지사지이다. 쇠지를 지나니 몸이 구석구석 아프기도 하니 남의 아픔과 고충을 이해하게 된다. 사람들과 교감과 소통에 능숙하며 옷가게,요식업등 서비스업종에서 재능을 발휘한다.
장생,목욕,관대,건록,제왕,쇠지는 육체적인 역량이 강화되시는 시기 (공성의 시기)
병지,사지,묘지,절지,태지,양지는 정신적인 역량이 강화되는 시기 (재충전및 수성의 시기)
신살로는 문창귀인, 천주귀인이고 암록과 역마살이 있다.
일지 인목이니 머리가 총명하고 기억력과 순발력이 뛰어나다. 먹을 복과 재복이 있는 일주로
손꼽히는데 일간인수의 재성인 화기운인데, 인목의 화기운의 생지가 되니 지장간에서 위의 사실을 어느정도 잘 받쳐주고 있다고 할수 있다.
공망은 인(寅)3-임(壬)9= -6+12=6 진사(辰巳) 공망이다.
허주는 공망을 간명에 쓰지않고 참고만 할뿐인데, 회원중에 공망을 구하는 법을 알고 싶어하니
간단히 공식을 기재하고자 한다.
갑을병정무기경신임계 자축인묘진사오미신유술해
1 2 3 4 5 6 7 8 9 10 1 2 3 4 5 6 7 8 9 10 11 12
壬寅일주의 경우 인(3) - 임(9) = -6 이므로 12를 더한다.
-6+12= 6이 되는데 巳는 6이고 巳의 짝은 辰(5)이므로 진사辰巳(5,6)가 공망이 된다.
5.새로운 지장간-일간의 라이프스타일 분석
의학의 발달로 앞으로는 100세 시대가 열리게 된다. 6대운에 월지충을 겪고 나면 인생의
무게중심은 일주과 시주로 넘어간다.
임인일주 진토의 지장간에는 戊丙甲(戊(편관), 丙(편재), 甲(식신)를 가지고 있는데
천간의 머문 시간은 편관(7일), 편재(7일), 식신(16일)이다.
임수가 음운동을 하지만 양간이므로 무토 편관의 성향은 덜 드러나고, 식신과 재성의 성향이 잘 나타난다. 천주귀인이 신살인데 천주(天廚)는 하늘나라 왕궁의 부엌을 관리하는 신을 뜻한다.
영화 식신에서 주성치가 원래 천계에서 왕궁의 부엌을 담당하는 신이였는데, 잘못으로 인해 벌을 받아 지상에 내려오는 것으로 설정되어 있다. 요리와 관련이 많은 일주이다.
또한 지장간의 갑목과 병화는 모두 요리에 쓰이는 땔감과 화기이니 더욱 그렇다고 볼수 있다.
일지는 명주의 사생활과 라이프스타일을 보여주는데, 식신의 환경에서 편재의 활동을 하고 있다.
목의 식신이니 꾸준히 배우는 것을 즐겨하면서 그 스킬이나 재능을 활용하여 간간히 수입을 올리고 있는 형상이다. 병화는 화려함이니 무대에 서는 것을 좋아하고 스포트라이트를 즐기는 삶이라고 할수 있겠다.
6.배우자,재물운, 직장분석
배우자연은 일지에 갑목과 병화가 식신생재하고 있어 이성에 빨리 눈을 뜰수 있다.
이성에게 인기가 많으며 다양한 연애사를 경험할 수 있겠다.
일지 식신으로 여자는 다소 결혼생활에 애로가 있을수 있지만, 집안에서 살림만 하지않고
적극적으로 직장생활과 사회활동을 하면 좋아진다.
남편도 육아와 가사노동을 해봐야 아내의 고생을 알고, 아내도 치열한 직장생활과 사회생활을 해봐야 남편을 이해할수 있기 때문이다. 서로 다르게 수십년간을 살아온 두 남녀가 결혼하여 한 공간에서 같이 산다는 자체가 대모험이다. 모험에는 등을 맡길수 있는 동료가 필요하고 그게 바로 배우자다 득자별부니, 두번 결혼할수 있다는 그런 얘기는 더 이상 하지 않겠다.
임인의 지지는 식신이니 심학일식으로 한 우물을 파는 성향이 있다. 편인도 식신과 같은 성향이 있는데 조금 세분해보면 식신은 응용학문이라면 편인은 순수학문이다.
누가 더 잘 파고들고 집중할까? ㅎㅎ 같은 조건이라면 식신이 win이다. 편인은 가끔씩 멍때리는 행동을 하는데, 정약용선생의 서책에 어느날 봄향기에 취해 들판으로 나와 풀꽃도 보고 곤충울음소리도 듣고, 푸른하늘을 멍하니 바라보다가 하루가 다 지나가서 차라리 책을 읽느니만 못했다는 구절이 나오는데, 바로 그런 경우다.
한강변 제 3회 멍때리기 대회의 참가자의 상당수는 편인일 가능성이 높다.
7. 천간지지합및 형충회합원진
천간합: 정임합-목 (丁壬合木)- 합하여 합화가 안되는 경우가 대부분인데
지지에 목의 세력이 강하면(월지포함-삼합,방합의 경우) 합화가 되어 새로운 목이 나올수 있다.
돈이 많은 사람이 돈을벌고, 공부잘하는 사람이 시험도 잘보고, 승진을 잘하는 계속 승진하는 경우로 보면 쉽다.
지지합: 인해합(육합), 삼합- 인오술(用-화의 역할), 방합- 인묘진 (體-목의 역할)
지지충: 인신충 원진: 인유원진(원진이 강한 편이다.) 삼형: 인사신
임인일주의 임수일간이 2019년에 건록, 2019년에 제왕, 2020년에 쇠지이니
상승운으로 가고 있다고 볼수있다. 음이니 외형이 작아지고 실속이 있게 된다.
임수는 음간이니 힘을 받으면 작아지고 작아져 제왕의 시절에는 씨앗과 같이 작게 된다.
다이아몬드, 백지수표, 플레티넘 신용카드는 크지 않다. 작으면서 실속있게 된다.
일간이 그렇고 재성운이나 관성,인성운은 각각 달리 봐야한다. 상담자가 물어보는것이 용신이기 때문이다.
육십갑자 일주분석은 청담역학아카데미의 청담선생님의 일주론체계를 기본 바탕으로
맹기옥교수님의 새로운 12운성이론을 첨가하여 쓰여졌음을 알려드립니다.
PS: 無財사주인 허주에게 회원분들의 댓글이 곧 재성(결과물)이 됩니다.
Written by 허주명리학
첫댓글 청담 듣보잡+맹기옥 깊이없음=짬뽕 일주론이네요. 고생하셨습니다
넵 감사합니다!
일단 추천하고... ...글 읽겟읍니다.
감사합니다.
좋은 날 보내시길.
넵 새벽 3시 비가내리고 있습니다.
좋은꿈꾸시길~
제가 부탁드린 임인일주 잘 보았습니다~^^
넵 기억납니다. 경자일주때 임인일주 올려달라고 하셨죠 ㅋㅋ
잘읽었습니다 추석연휴 잘보내세요
^^
넵 감사합니다.
즐거운 추석연휴되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