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춘분 의미
춘분(春分 , vernal equinox)은 북반구에서 24절기의 하나로, 3월의 절기이다. 태양 황경이 0°가 되는 때를 말한다. 음, 양이 서로 반이므로 낮과 밤의 길이가 같고 추위와 더위가 같습니다. 이 날 이후부터 하루 중 낮의 길이가 밤의 길이보다 길어진다.
양력으로 3월 21일(윤년: 3월 20일)이다. 서양에서는 대체로 춘분 이후부터를 봄으로 보며, 기독교에서는 부활절 계산의 기준점이 되는 역법상 매우 중요한 날이다.
2. 춘분 상세히 알아보기
1) 실지로 낮이 8분 더 길다.
흔히들 춘분에는 낮과 밤의 길이가 같다고 잘못 말하곤 하는데, 사실은 낮이 8분 정도 더 길다. 실제로는 낮의 길이를 일출 이후부터 일몰 이전까지로 본다면 춘분과 추분은 낮의 길이가 더 길다
낮과 밤은 태양의 중심이 지평선에 걸리는 시점들을 기준으로 삼는게 아니고, 태양이 보이고 안보이고의 시점들을 기준으로 삼기 때문이다.
2) 춘분은 추분보다 15분 정도 해가 늦게 뜨고 늦게 진다. 이는 균시차에 따른 것으로, 지구의 타원궤도와 기울어진 자전축에 기인한 현상이다.
3) 남극점의 일몰 기간이다. 반대로 북극점의 일출 기간이기도 하다
4) 춘분은 기독교의 부활절 기준
325년 제1차 니케아 공의회에서는 부활절을 춘분 다음 보름 다음 오는 첫 일요일로 정했다. 현 가톨릭은 이 전통을 지금도 이어 전례력에서 춘분 이후 첫 보름달(음력 15일)이 뜬 후에 처음 맞는 주일이 주님 부활 대축일이다. 니케아 공의회 당시에 춘분날이 3월 21일 무렵에 왔기로 계속 3월 21일을 춘분으로 간주하고 계산해 왔다.
< 2025. 사순절, 부활절 날짜>
* 사순절 시작: 3월 5일 (재의수요일)
* 사순절 종료: 4월 19일 (성토요일)
* 부활절: 4월 20일(일)
5) 춘분날 농사점 치기
중도적인 날인 만큼 날씨를 보아 그 해 농사를 점쳤는데요. 『증보산림경제(增補山林經濟)』에 의하면, 춘분에 비가 오면 환자가 적어지고, 이때는 날이 밝은 것보다 어둡고 흐린 것이 좋다고 합니다. 또한 해가 뜰 때 동쪽에 푸른 구름 기운이 있으면 보리 풍년이 들고, 만약 청명하고 구름이 없으면 농작물이 제대로 자라지 못하고 열병이 잦아진다고 합니다. 또 이날 동편에서 바람이 불면 보리 값이 내리고 보리 풍년이 들고, 서편에서 바람이 불면 보리가 귀해진다고 하였습니다. 남쪽에서 바람이 불면 오월 전에는 물이 많다가 그 후에는 가물며, 북풍이 불면 쌀이 부족해진다고 적혀 있습니다.
3. 춘분 속담
우리가 익히 표현하는 꽃샘추위는 사실 춘분에서 온 말이다.
* '꽃샘에 설늙은이 얼어 죽는다'
* '2월 바람에 김칫독 깨진다'
* '이월 바람에 검은 쇠뿔이 오그라진다'
* '덥고 추운 것도 추분과 춘분까지이다'
4. 춘분 밥상 음식
1) 볶은 콩
춘분에 콩을 먹으면 새와 쥐가 사라져 곡식이 축나는 일이 없다고 믿었기 때문이다. 콩은 체력증진에 도움을 주고 사포닌 성분이 풍부하다.
2) 나이떡, 머슴떡
3) 봄나물
냉이된장국, 달래무침, 쑥버무리, 돌나물,더덕구이, 취나물무침, 민들레나물, 돌미나리 부침개, 씀바귀무침, 원추리 고들빼기,
4) 생선류-주꾸미, 참조기, 도다리
5. 이웃나라 춘분
1) 일본의 춘분
한국과 마찬가지로 3월 20일에서 21일 사이가 춘분이다. 일본의 춘분은 일본어로 '슌분노히'라고 부르며 '자연을 찬양하고 생명을 사랑하는 날'이라는 뜻을 내포하고 있다. 이 날은 '대마끼'를 썰지 않고 그대로 먹고, 겨울 옷을 정리하고 봄 옷을 꺼내는 풍습을 갖고 있다.
24절기 중 춘분과 추분을 공휴일로 지정하고 있다.
2) 중국의 춘분
중국의 춘분도 3월 20일에서 3월 21일 경이다.
춘분을 봄의 중앙이라 하여 춘중이라 부르며 이미 겨울은 가고 봄이 한참을 우리들 곁에 다가와 낮과 밤의 길이가 같다고 하여 정양이라고도 합니다.
중국에서는 이 날 봄나물의 일종인 '춘비하오'와 생선을 넣고 끓인 '춘탕'을 먹는다. 그리고 찹쌀가루를 새알 모양처럼 빚은 음식인 '탕위안'을 먹는다. 중국의 풍습으로는 붉은 종이나 노란 종이에 한 해의 음력 절기를 적고 농부가 밭을 가는 그림을 그려 넣는 '춘우'를 보내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