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까지 뜀걸음형 포유류 발자국 화석은 중생대 쥐라기 아메기니크누스(Ameghinichnus)와 신생대 무살티페스(Musaltipes) 발자국 화석만이 알려져 있었습니다. 이번에 발견된 코리아살티페스 발자국 화석은 아메기니크누스와 무살티페스 화석과는 발가락 형태와 각도, 보행렬의 특징 등 여러 형태학적으로 큰 차이를 보이며, 가장 명확한 뜀걸음(hopping)의 형태를 나타냅니다.
* 아메기니크누스(Ameghinichnus): 아르헨티나 중생대 쥐라기(약 2억 130만 년 전부터 약 1억 4천500만 년 전) 중기 지층에서 발견된 포유류 발자국 화석이며, 5개의 발가락이 선명하게 나타나고, 앞발‧뒷발이 모두 잘 나타나는 특징이 있음. 보행렬에는 꼬리가 끌린 자국도 종종 나타남
* 무살티페스(Musaltipes): 미국 신생대 마이오세기(약 2천 303만 년 전부터 약 533만 년 전) 지층에서 발견된 포유류 발자국 화석으로, 2족 혹은 4족 보행이 모두 가능했던 신생대 포유동물이 남김
이번 연구를 통해 우리나라 중생대에 서식했던 척추동물들 가운데 공룡ㆍ익룡ㆍ새ㆍ악어ㆍ도마뱀ㆍ어류 등과 함께 포유류도 서식하였다는 것을 최초로 확인할 수 있었으며, 우리나라가 중생대 백악기 척추동물의 종 다양성이 세계적으로 매우 높았음을 확인하였습니다.
이번 연구결과는 중생대 백악기 관련 국제 저명학술지(SCI)인 ‘백악기 연구(Cretaceous Research)'에 『중생대 백악기에서 발견된 세계 최초의 뜀걸음형(hopping) 포유류 발자국 화석』이라는 제목으로 지난 7일 온라인호를 통해 공개되었습니다.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소는 세계적으로 진귀한 이 뜀걸음형 포유류 발자국 화석 진품을 천연기념물센터 전시관을 통해 내년 하반기부터 일반에 공개할 예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