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석꾼,만석꾼은 조선시대 토지소유가 편중된 현상에서 나왔으나 이후 토지개혁으로 존재하지 않았다. 만석꾼이란 곡식 즉 쌀 만섬을 소작을 통해 거두어 들이는 부자를 말하는데 쌀 한 섬(두가마니)이 160kg이니 만 석(10000석)이면 1600톤이 된다. 가격 17만원/80㎏을 기준해도 일년에 만석꾼은 34억원을 쌀농사로 버는것이다. 1마지기 300평 소작댓가로 쌀 한 섬(옛날의 평균 작황이 지금에 못미쳤으므로 실제는 한 섬이 못되었을것임)을 받았을 경우 토지를 300만평(10000마지기)을 소유해야 만석꾼이 되고, 30만평(1000마지기)을 소유해야 천석꾼이 된다.
지본(地本)사회에서 근대적 자본(資本)사회로 변천된 이후 기업(企業)의 종류는 다양하고 분야는 광범위해졌다. 실업(實業)이란 물건을 만들어 판매를 통해 이윤을 추구하는 전통적인 기업형태이며 아직도 산업의 주류를 이루고 있다. 또한 기업을 창업하여 성공한 사람은 이를 통해 신분상승을 이룩할 수 있는것이다. 기업은 창업후 성장(成長)의 단계를 거쳐 수성(守成)하다가 소멸된다.
기업의 성장단계는 창업주체의 창조성〉관리〉권한위임〉조정〉인적협조로 이행하면서 발전한다. 그러나 각 단계를 지나면서 위기(危機)를 맞게되고 이를 극복해야만 다음의 단계로 이행할 수 가 있다. 그 위기들은 즉 leadership, 관리자의 자율성, control, 관료화 위기의 극복등을 들 수 있다. 여기서 성장단계별 기업경영의 범주와 특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 관리초점: 생산및 판매〉생산효율〉시장확대〉조직통합〉팀행동에 의한 신속한 문제해결 지향(innovation)
● 조직구조: 비공식(informal)〉집권적 기능적〉비집권적 분권적〉line staff조직,product group〉팀의 matrix
● 경영스타일: 개인적,기업가 정신〉leadership〉권한위임〉방관자적 태도〉협조자
● 관리: 영업성과〉표준화〉원가관리〉기획,투자확대〉공통목적 설정
● 보상제도: 소유권〉급여,보수증가〉개인적 보너스〉이익배분,stock option〉team보너스
앞에서 말한 천석꾼,만석꾼이 시간이 지나고 세대가 지나면서 사라진 이유는 바로 내외적(內外的)변화 때문이었다. 현대 기업경영의 성공여부도 여러 도전(挑戰)들을 어떻게 이겨 나가느냐에 좌우된다. 여기에는 자본, 관리력, 기술력, 신속한 의사결정(decision-making)등의 요소들이 동원되어야 가능한데 흔히 창업보다 수성이 어렵다고 말하는 이유도 바로 이런 문제 때문일것이다.
요즘은 기업이나 기업가의 사회적 책임(CSR.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이 요구되는 시대적 환경하에 있다. 즉 기업은 직원,가족,지역사회,국가에 대해 기업활동에 의해 발생 가능한 제반 이슈들에 대한 법적, 경제적, 윤리적 책임을 감당해야 하는것이다.
자신과 가족,가문(家門),나아가 국가사회에 이바지하는 길은 옛날에는 벼슬 즉 관직(官職)에 나아가는길 뿐이였으나 현대는 기업을 위시한 다양한 분야가 있다. 그러나 사업을 운영하며 수많은 내외적 난관에 부딪쳐 수성을 못하는 경우도 많음을 볼때 현실적 어려움 또한 크다는것을 알아야 하고,기업을 경영하려면 대단한 각오와 철저한 준비가 있어야 한다. 우리는 그렇치 못한 경우를 많이 보아왔으니 기업경영이 결코 쉬운일이 아님을 알 수 있다.
천석꾼은 천가지 걱정,만석꾼은 만가지 걱정이 있다는것은 그만큼 사업을 일으켜 수성(守成)하기가 어렵다는 말이다.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