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화유산 여행길_호남 성리학의 와룡봉추 2] | |||
작성자 | 문화재청 | ||
---|---|---|---|
작성일 | 2012-03-19 | ||
고봉 기대승, 퇴계를 만나다
고봉 기대승(高峯 奇大升, 1527~1572)은 퇴계 이황(退溪 李滉, 1501~1570), 율곡 이이(栗谷 李珥, 1536~1584)와 동시대를 살았던 인물로 크게 드러나지는 않았지만 강력한 영향력을 끼친 중요한 사상가이다. 기대승의 가문은 기묘사화로 조광조와 함께 희생된 숙부 기준(奇遵)으로 인해 광주광역시 광산구 임곡동 자리로 내려와 터를 잡았다. 어린시절 고봉은 병으로 죽을뻔한 적이 많았던 것으로 전해진다. 또한 8세에 모친을 여의였고 10살 때 누이가 병사했다.
병약한 탓이었을 수도, 여러 가지 형편 때문이었을 수도 있지만 기대승은 비교적 늦은 나이인 일곱살에 학문을 시작했다. 23세에 사마시(司馬試)를 합격했지만 25세에 응시한 알성시(謁聖試)에서 부당하게 낙제하여 귀향하였다. 그러나 28세에 동당향시(東堂鄕試)에 장원을 하며 그의 학문을 과시하였다. 또 32세에『주자문록』을 완성하였고 33세에 문과 을과에 1등으로 급제하며 퇴계와의 만남이 시작되었다.
당시 '동방의 주자'로 추앙되던 퇴계와의 사단칠정(四端七情) 논쟁은 역사에 길이 남을 사건이었다. 막 과거에 급제한 고봉은 성균관 대사성이었던 퇴계를 방문하였고 퇴계의 학설과 성리학에 대해 날카로운 질문들을 던졌다. 四端(사람의 본성인 理, 측은지심, 수오지심, 사양지심, 시비지심)과 七情(사람의 감정인 氣, 희·노·애·락·애·오·욕)은 성리학 연구의 중심주제였다. 그들은 깊은 사상적 교류를 통해 26년의 나이차이를 뛰어넘었고, 두 사람의 편지는 이황이 별세하기 한 달 전인 1570년 11월까지 계속되었다.
퇴계는 고봉의 의견을 받아들여 자신의 주장을 수정하기도 했고 고봉 역시 퇴계의 학문과 인격을 존경하여 그의 의견을 수용하며 논쟁을 끝맺었다. 당대 최고의 학자에 버금가는 젊은 고봉의 높은 학식도 대단하지만 한참 어린후배에게 권위를 내세우지 않고 경청하며 끝까지 유연한 자세로 임했던 퇴계의 겸손 또한 되새겨 보아야할 소중한 유산일 것이다.
|
기대승의 글씨, 〈근묵〉에서, 성균관대학교 도서관 소장
고봉 기대승 . 우리는 그의 이름을 들어 본 적이 있는가?
그를 아는가? 우리의 기억 속에 그는 누구라고 각인되어 있는가?
우선에 가장 먼저 생각나는 것이 고등학교 때 잘 알지도 못하면서 시험문제에 나온 다고 하여 외운 사단칠정 四端七情 논쟁이다. 그 중심에 퇴계 이황과 고봉 기대승이 있었다. 퇴고(퇴계와 고봉)라고 하는 두 거유(유학의 거두)가 8년간 편지로 논쟁을 하였다.
사단이 무엇이고 칠정이 무엇인가. 이가 무엇이고 기가 무엇인지는 너무 어려워서 지금도 잘 모른다. 다만 사단은 측은, 수오, 사양, 시비지심이 동하여 인의예지가 되고, 칠정은 희노애락애오욕의 일곱가지 마치 무지개빛깔처럼 사람의 심정을 말한다고 통째로 외웠다. (그런데 요즘은 칠정을 희로애락애구욕으로 말하기도 한단다.)
(퇴계와 고봉에 대한 이야기는 최인호가 쓴 유림 6권에서 대충 한번 본 기억이 난다. 그럼에도 이 소설로 인하여 고봉은 대중에게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 )
그리고 그는 누구인가? 금년 들어 나는 그에 대한 문집 <고봉집>을 읽고 있다. 이 책을 읽으면서 그는 통유 通儒 라고 말하고 싶다. 통유라. 이는 퇴계 이황이 선조 임금에게 그를 소개한 말이다.
퇴계가 벼슬을 사퇴할 적에, 선조 임금이 지금 학문을 한 사람이 몇이나 있느냐고 묻자,
퇴계가 답하기를 “학문에 뜻을 둔 선비는 지금도 없지는 않습니다.
그 중에도 기대승은 널리 알고 조예가 깊어 그와 같은 사람을 보기가 드무니,
이 사람은 통유(通儒)라 이를 수 있을 것입니다.” 하였다.
그는 그의 나이 30에 주자대전을 독파하였으니 그럴 만도 하다. 퇴계도 고봉의 분석적이고 예리한 통찰력에 탄복하였으니
나이가 26살이나 어린 고봉을 학문적 동지로 대하였으니 그럴만도 한다.
또 그리고 그는 누구인가? 그는 소기묘이다. 소기묘라는 말은 그가 정치에 입문하여 5년이 되는 1563년에 받은 칭호이다. 이량의 당이 신진사림들을 제거하려 할 때 그는 조광조와 같은 기묘명현으로 간주되었고, 그는 신진 사림의 거두로 지목되었다. 이 일은 이량의 당이 귀양을 가는 것으로 마무리되어 기대승은 승승장구 할 수 있었고, 선조 임금때는 경연에 참여하여 제왕학을 가르쳤다. 그 글들이 고봉 사후 선조임금의 어명으로 편찬된 <논사록>이다. 정치인들은 꼭 읽어 보아야 할 책이다.
이제 그를 만나러 길을 간다. 이 기행은 그의 흔적을 찾아서 가는 길 떠나기이다. 기행은 역사 속에서 그를 만나고, 현장 속에서 다시 그를 만나는 여정이다. 나는 먼저 그가 태어난 곳 , 그가 살던 곳, 그리고 그가 공부한 곳, 그가 후학들을 가르치고자 한곳을 둘러보고 그가 묻혀 있는 곳과 월봉서원등을 두루 답사할 것이다. 이 여정은 여러 날이 될 것이다.
월 봉 서원 -고봉 기대승의 신위가 모셔져 있다.
고봉 기대승 묘소. 월봉서원 뒤에 있다. 백우산 자락이다. 앞에 보이는 산이 구룡산.
첫댓글 대단한 고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