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러분 안녕하십니까
스포티지 QL 고장경고등 점등이 되어 선 견적후 부품 주문으로 작업 진행되는데
요즘은 부품 대리점에서 주문을 받은후 처리를 하는군요
불어내기에 매연은 그대로 방출되면 자신의 호흡기에 치명을 주게 된다
대형 집진기가 없다면 있는곳에 가서 배기구를 연결후 집진을 해야 안전하다
DIESEL PARTICULATE FILTER , SELECTIVE CATALYST REDUCTION ,OZIDATION CATALYST
디젤에는 매연 저감장치라 하는 총망라하여 부르는 DPF 라는 장치를 말하는데
DOC라는 부품을 간과하면 절대 안되며 DOC는 디젤 옥시데이션 캐탈리스트 라고 말하는데
DOC의 성능은 디젤산화 촉매라고하여 연소후 배출되는 매연을 1차로 산화시키는 성능이 있어
매우 중요한 성능을 발휘한다
요소수 주입 방식 차량은 DPF차량이라고 하면 안되며 DPF,SCR이라고 말하는게 맞는것 같다
디젤 파티큘레이터 필터가 있는 차량중 SCR은 셀렉티브 카탈릭 리덕션이라고 부른다
합하여 DPF,SCR 이라고 말하며 매우 중요해 성능을 유지 작동해야 한다
그러나 위처럼 배기구 끝단이 연소후 배출되는 먀연이 그대로 배기구에 흡착된 상황과
청결한 걸레로 닦아보는경우 검뎅이가 걸레에 묻혀 나온다면
DOC,DPF.SCR모두 제기능이 매우 저하 되었다고 판단되며
이런경우 세척?청소? 모두 불가능하다는 판단입니다
신품만을 사용해야 하는 비용 비담이 있는데...
터보팬 슬리브베어링 유격
터보챠저는 매우 오묘하다는 판단을 합니다
유격이 거의 없는데도 오일이 우유되는 경우가 있으며 유격이 있어 보여도 오일 누유가 없는경우가 있는데
정비하는 우리는 매우 정확한 판단을 기해 정비를 해야 합니다
모든 작업 완료후 자동차 정비에서 육안으로 확인하는 방법은 구시대적 방법으로 봅니다
작업후 정밀 광투과식 매연 측정기로 측정한 데이터를 차량 소유주에게 제시해야 하는 방법이 1로 좋습니다
정확한 작업은 디젤자동차에서 DPF,SCR 장착 차량은 0.5%라도
매연이 발생하면 안되며
정비기준은 "0"% 입니다
오늘은 이렇게 해가 저물고 있군요
일요일은 벛꽃구경가야 긋습니다 하얗게 피어 올라온듯---
평택 최성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