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1년간 교통사고 사망자 수는 얼마나 될까요?
1인당 국민소득이 3만 불이 넘어 선진국 대열에 들어섰지만
아직도 교통안전에 있어선는 OECD 국가 중에서 중하위권
많은 개선이 필요합니다.
교통사고 사망자 수 추이와 그 원인
출처 국토교통부
2000년부터 한 해 동안의 교통사고 사망자수 추이는 교통안전대책을
지속적으로 추진 해온 결과 꾸준히 감소하여
2022년에는 역대 최소 수준인 2,735명.
약 20년간의 교통사고 사망자 수의 감소 추세를 보니 많은 개선을 실감
운전 중 ------------- 휴대전화 사용 금지
안전띠 매기 -------- 캠페인
운전 중 DMB ------- 사용 금지
교통안전법 --------- 전면 개정
안전 속도 ----------- 준수
보행자 보호의무 -- 강화 등
시기적 요구 교통안전 대책을 적기에 도입 추진한 결과
© alexgilliott, 출처 Unsplash
국민의 안전속도 유지, 안전벨트 매기 등
교통안전에 대한 인식도 매우 좋아졌으며
스마트 주행과 같은 자동차 안전을 위한 기술이
적용된 신차 출차도 영향 미쳤다고 생각.
특히 코로나19로 인한 사회적 거리 두기 해제 후
교통량이 증가하였음에도
2021년에 비해 6.2% 교통사고 사망자 감소.
출처 국토교통부
2022년 유형별 교통사고 사망자수는
고령자 -------- 1,258명
보행자 ---------- 933명
화물차 ---------- 629명
이륜차 ---------- 484명
음주운전 ------- 171명
자전거 ----------- 91명
개인형 이동수단 - 26명
어린이 ------------ 18명 의 순위.
고령자 사망자 수(46%), 보행자 사망자 수 (34.1%) 가
전체 교통사고 사망자수 원인의 80% 이상을 차지.
고령자, 보행자 교통 안전에 대한 최 우선적인 대책 필요.
© tungstenrising, 출처 Unsplash
그다음 교통사고 원인이 화물차, 이륜차로 인한 사망자수가
2022년 전체 교통사고 사망자수의 약 40%에 이릅니다.
화물차, 이륜차가 차지하는 교통량에 비해 교통사고 사망자수 비율이
높은 것은 그만큼 위험도가 높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화물차의 안전 운임제에 대한 정책, 택배 량이 급증하면서
오토바이 이용 배달에 안전을 강조해야.
© justinsnyderphoto, 출처 Unsplash
유형별로 보행자, 고령자, 어린이, 음주운전, 화물차로 인한 교통사고 사망자수는
2021년에 비해 감소한데 비해 이륜차, 자전거, 개인형 이동수단 등
두 바퀴 교통수단 사망자수는 증가하여 이에 대한 집중적인 대책이 필요.
© GraphicMama-team, 출처 Pixabay
교통사고 사망자수가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으나
인구 10만 명당 사망자수가 5.9명으로
OECD 평균 4.7명보다 1.3배 수준이며
자동차 1만 대당 사망자수는
1.1명으로 OECD 평균 0.8명보다 1.4배 수준입니다.
교통사고 사망자 수가 OECD 국가 중에서
중하위권 수준으로 교통안전 대책을 적극적으로 펼쳐
교통사고로 부터 안전한 사회가 되었으면 합니다.
[출처] 우리나라 2022년 교통사고 사망자수와 원인|작성자 08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