섭식장애와 애착유형
여러 선행연구에서 청소년들의 애착유형과 섭식장애의 관계를 분석했을 때, 많은 결과에서 비조직화 애착(disorganized attachment)을 지닌 청소년에서 섭식장애 발병률이 높았습니다. 신경성 식욕부진증은 지나치게 음식물 섭취를 제한하여 매우 심각한 저체중을 보이며, 이를 유지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부적응적인 행동(예, 과도한 식단관리 또는 운동, 스스로 구토를 유도함, 하제/이뇨제/관장제 오용 등)을 뜻합니다. 비조직화 애착은 아이의 애착 욕구가 충족되지 않은 상태에서 아이를 압도하거나 혼란스럽게 하는 부모의 행동이 반복되는 경우 발달하게 됩니다. 부모가 안정적이고 안전한 존재가 아닌 두려움과 혼돈의 대상으로 인지되기 때문에, 아이는 위험한 순간에 찾을 안전기지가 존재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부모가 반복적으로 아이에게 분노를 표출하거나, 부모가 해결되지 않은 트라우마나 상실의 경험을 갖고 있을 경우 자녀와 비조직화 애착을 형성하게 될 가능성이 높다고 합니다. 따라서 부모에게 접근하지도 못하고, 또 도망가지도 못하는 상황을 경험하게 됩니다.
섭식장애 중에서도 신경성 식욕부진증(anorexia nervosa) 진단을 받은 청소년은 자기조절과 공감 능력에 밀접한 연관을 보이는 성찰 기능(reflective functioning; 정신화mentalization라고도 불리며 개인의 욕망과 감정 같은 주관적인 심리상태를 기초로 자신과 타인의 행동 의미를 이해하는 능력)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또한, 애착 불안은 섭식장애 증상의 심각도와 관련 있으며, 정서 조절 전략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됐습니다.
섭식장애를 겪고 있는 나, 어떻게 해야 할까요?
미국 내에서 손꼽히는 학술 의료 센터인 메이요 클리닉에서는 섭식장애에 다음과 같은 대처 및 치료 단계를 권장하고 있습니다.
1. 처음은 전문가 및 가족과 만남으로 시작하기
섭식장애 환자 중 대다수는 자신의 증상을 숨기기 때문에 적절한 시기에 개입이 이루어지기 힘들다고 합니다. 그리고, 섭식장애는 심리적 요인뿐만 아니라 영양학적 불균형으로 인한 호르몬 이상, 반복적인 구토로 인한 치아 및 식도 손상 등 건강 이상을 동반하여 심각한 경우 죽음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때문에, 심리 치료뿐 아니라 약 처방이나 입원 치료가 필요한지, 다른 의료 분야의 검진이 필요한지를 명확히 파악해야 합니다. 이러한 과정은 섭식장애를 겪고 있는 개인 혼자서 하기 힘들기 때문에 가족 또는 동거인이 적극적으로 도와야 합니다. 가까운 사람에게 자신의 상태를 털어놓고, 치료와 균형 잡힌 식단을 유지하는 데 도움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
2. 전문 치료사와 함께 치료 계획 세우기
전문 치료사의 치료를 수동적으로 받는 것이 아닌 치료 계획을 함께 세우는 것이 도움이 된다고 합니다. 만약 기존에 세웠던 치료 계획을 이행하지 못하는 경우 어떻게 해야 할지에 대해서도 고려해야 합니다. 치료 계획을 유지하고 치료 목표를 이루는 데 활용할 수 있는 자원을 정확히 파악팔 필요가 있습니다. 그리고, 어떤 형태의 치료를 받을 수 있는지 확인해보는 것도 중요합니다. 입원 치료를 장기간 받을 수 있는지, 치료 비용은 얼마나 지불 할 수 있는지, 보험 적용은 가능한지 등 여러 방면으로 어떤 치료 형태가 나의 상황에 적합한지 판단해야 합니다. 또한, 섭식장애로 인해 발생한 다른 신체적 합병증이 있는지 확인하고 치료를 받아야 합니다.
3. 심리치료 시작하기
섭식장애 환자에게는 개별 인지행동치료, 집단 인지행동치료, 가족치료 등이 주로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심리치료 과정에서 음식 섭취 일기 작성과 같은 과제가 주어질 수 있으며, 이러한 활동을 통해 섭식 패턴과 자신의 기분을 지속적으로 인지하고, 건강하지 못한 습관들을 고치고, 스트레스에 대처하는 건강한 방법들을 탐색해 볼 수 있습니다.
4. 영양 교육받기
임상 영상사와 다른 전문가들은 섭식장애 진단을 받은 개인이 이 장애를 보다 더 잘 이해할 수 있게 돕고, 이러한 이해를 바탕으로 건강한 식습관을 형성하고 유지하기 위한 계획을 함께 세우는 과정이 포함된 치료를 제공합니다. 영양 교육의 목표는 건강한 정상 체중, 영양분이 어떻게 몸에 영향을 미치는지 이해하기, 식사 계획 직접 세워보기, 정기적인 식사 패턴 형성하기, 폭식 또는 단식을 멈추기 위한 단계 밟기, 비만 또는 영양실조로 인한 건강문제 바로잡기 등이 포함됩니다.
5. 사회성 프로그램 참여하기
섭식장애를 겪는 청소년은 자신과 타인의 감정과 욕망이 어떤 의미인지 이해하는 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고, 정서조절 능력이 적절한 수준으로 발달하지 못했을 확률이 높다고 합니다. 또한, 애착도 불안정하거나 비조직화된 유형일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관계 문제도 겪어왔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집단 사회성 프로그램을 통해 관계 형성 및 유지에 필요한 기술을 익히고 적용해보며 사회성을 증진시키는 것이 치료 후의 삶에 도움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본 센터는 아동과 청소년을 비롯한 모든 연령의 상담을 진행하는 센터로 사회성 발달을 위한 집단상담, 치료놀이 및 각종 상담방식이 다양한 치료센터입니다. 또한 전문 치료사가 배치되어 고민하고 어려워하는 부분을 정확하고 친절하게 상담을 해드리고 있습니다. 자세한 사항은 홈페이지를 방문하시어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이향숙 소장님 인터뷰 및 칼럼] >> 한 가지 물건에 집착/교우 관계가 원만하지 않은 학생
[상담 후기] >> 개별 및 사회성 치료 초등 저학년 후기
[온라인 상담하러 가기]
[이향숙 소장님]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아동복지학과 박사 (아동심리치료전공)
상담 경력 25년, 대학교수 및 외래교수 경력 30년
현) KG 패스원사이버대학교, 서울사이버평생교육원 외래교수
KBS, MBC, SBS, EBS, JTBC, 조선일보, 동아일보, 중앙일보, 청와대신문 등 아동청소년가족상담 자문
자격) 미국 Certified Theraplay Therapist (The Theraplay Institute)
심리치료 수련감독자 및 상담전문가 1급 (한국상담학회)
부부가족상담 수련감독자 및 상담전문가 1급 (한국상담학회)
사티어 부부가족 상담전문가 1급 (한국사티어변형체계치료학회 공인)
청소년상담 수련감독자 및 상담전문가 (한국청소년상담학회 공인)
재활심리치료사 1급 (한국재활심리학회 공인)
사티어의 의사소통훈련 프로그램 강사/ 사티어 부모역할훈련 프로그램 강사
MBTI 일반강사/ 중등2급 정교사/ Montessori 교사/ 유치원 정교사/ 사회복지사/ 보육교사 등
인터뷰) 이향숙 박사 “아이 사회성 교육의 중요성”
https://tv.naver.com/v/15458031
저서) 초등 사회성 수업 , 이향숙 외 공저. 메이트북스 (2020)
>> 언제까지 아이에게 친구들과 사이좋게 잘 지내라는 뜬구름 잡기식의 잔소리만 할 것인가? 초등학생인 우리 아이의 사회성을 길러줄 수 있는 답이 이 책에 담겨 있다. 사회성에 대해 20여 년간 상담하고 관련 프로그램을 개발해 아이의 사회성에 대한 고민을 해결해온 이향숙 박사의 오랜경험과 노하우가 이 책 한 권에 고스란히 담겨 있다. (책 소개 中)
*참고문헌
심선보. (2015). 이야기 5. 불안정 애착(Insecure Attachment): (3) 비조직화 애착(Disorganized Attachment). www.harvardcounselors.net. https://www.harvardcounselors.net/sun-bo-blog/5-insecure-attachment-3-disorganized-attachment
Gander, M., Sevecke, K., & Buchheim, A. (2015). Eating disorders in adolescence: attachment issues from a developmental perspective. Frontiers in psychology, 6, 145291.
Mayo clinic staff. (2017). Eating Disorder Treatent: Know Your Options. www.mayoclinic.org.https://www.mayoclinic.org/diseases-conditions/eating-disorders/in-depth/eating-disorder-treatment/art-20046234
Smith, J. (2022, January 15). How to Cite a Website in APA Style. Example.com. https://www.example.com/how-to-cite-apa
Tasca, G. A., & Balfour, L. (2014). Attachment and eating disorders: A review of current research. International Journal of Eating Disorders, 47(7), 710-717.
Ward, A., Ramsay, R., & Treasure, J. (2000). Attachment research in eating disorders. British Journal of Medical Psychology, 73(1), 35-51.
*사진첨부: pixabay
*작성 및 옮긴이: 한국아동청소년심리상담센터 인턴 김주경
첫댓글 ★ 한국아동청소년심리상담센터 홈페이지
http://www.kccp.kr.
★ 상담 후기
https://www.kccp.kr/bbs/board.php?bo_table=702
★ 무료온라인상담하기
https://www.kccp.kr/bbs/board.php?bo_table=6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