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상감시시장, 2022년까지 연평균 12.4%씩 성장 전망-
- 중국 저가 공세로 가격 경쟁 치열 -
□ 상품명 및 HS Code
ㅇ 상품명 : CCTV(폐쇄 회로 텔레비전)
- HS Code 8525.80(텔레비전 카메라, 디지털 카메라, 비디오 카메라 레코더)를 중심으로 작성됨.
□ 시장 규모 및 동향
ㅇ 시장조사기관 6Wresearch에 따르면, 베트남 영상감시 시장은 2016~2022년 동안 연평균 12.4%씩 성장할 것으로 예상됨.
- 특히 주요 대도시 도심지역을 중심으로 보안 및 안전에 대한 우려가 증가하고 베트남 정부와 시민의 보안 인식이 향상되면서 CCTV에 대한 수요가 높아지는 추세임.
ㅇ 베트남은 여전히 저가의 아날로그 CCTV 이용 비중이 높지만, 매출액 기준으로는 IP CCTV(네트워크 카메라)가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며, 최근 하이엔드(high-end) 아날로그 카메라 수요 역시 증가하고 있음.
- 또한 시장조사기관 6Wresearch의 Shefali 연구원은 “베트남 남부 지역이 상업용ㆍ소매용 건설 프로젝트가 많아 베트남 영상 감시 시장의 최대 매출 지역이다”라고 밝힘.
베트남 영상 감시 카메라 시장 규모
(단위: 십억 VND)

자료원 : Megaca.vn
□ 베트남 CCTV 시장 성장 요인
ㅇ (공공 측면) 베트남 정부의 인프라 개발 확대 추세
- BMI 시장보고서에 따르면, 베트남 건설ㆍ인프라 시장은 2025년까지 연평균 10.4%씩 성장할 것이며, 특히 교통, 에너지, 관개, 도시개발 관련 프로젝트가 늘어날 것으로 전망됨. 이러한 공공 인프라 프로젝트 증가는 CCTV와 같은 영상감시 장비 수요를 창출하는데 큰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됨.
- 이 외에도 학교, 병원, 도로 등의 분야에서 보안장비 수요가 지속증가할 것으로 예상됨.
ㅇ (민간 측면) 베트남 제조업 및 상업용ㆍ주거용 부동산 시장 호조 역시 CCTV 시장 성장 요인임.
- 예를 들어 공장을 지을 경우 출입 통제 및 건물 모니터링을 위한 보안 솔루션이 요구되며, 쇼핑몰ㆍ백화점과 같은 소매유통점 역시 고객 안전을 위한 영상 감시기기들을 필요로 함.
□ 최근 3년간 수입규모 및 상위 10개국 수입 동향
ㅇ 최신 베트남의 CCTV 수입규모는 통계 부재로 파악하기 어렵지만, 2016년 기준 베트남은 약 6억 달러를 수입함.
- 대중국 수입 비중이 20~30%로 압도적으로 높으며, 한국, 일본, 미국, 태국 순임(HS Code 8525.80기준이며, HS Code 분류에 따라 실제와 다소 차이가 존재함).
- 최근 3년간 베트남의 대한국 CCTV 수입규모는 약 2억 달러를 상회하는 수준임.
베트남의 상위 10개 CCTV 수입국
(단위: 천 달러)
순위 | 국가 | 2014 | 2015 | 2016 |
1 | 중국 | 688,718 | 723,253 | 272,970 |
2 | 한국 | 247,064 | 245,941 | 220,608 |
3 | 일본 | 46,830 | 28,227 | 42,799 |
4 | 미국 | 3,971 | 6,056 | 17,390 |
5 | 태국 | 6,694 | 7,236 | 9,801 |
6 | Area Nes | 7,296 | 21,748 | 9,482 |
7 | 대만 | 7,550 | 12,087 | 9,083 |
8 | 필리핀 | 609 | 14,179 | 3,405 |
9 | 스웨덴 | 918 | 2,317 | 3,158 |
10 | 캐나다 | 673 | 1,049 | 2,691 |
| 전 세계 | 1,028,946 | 1,087,738 | 607,687 |
주 : HS Code 8525.80 기준
자료원 : ITC, 베트남 통계청
베트남의 대한국 CCTV 수입 규모 추이

주 : HS Code 8525.80 기준
자료원 : ITC, 베트남 통계청
□ 경쟁동향 및 주요 경쟁기업
ㅇ 베트남 내 유통되는 주요 CCTV 제품 및 브랜드는 Avigilon(캐나다), Axis Communications(스웨덴), Bosch(독일), Hikvision(중국), Hanwha Techwin(한국), Panasonic(일본), Sony(일본), Pelco(미국) 등이 있음
- 또한 브랜드 인지도, 가격, 품질, 디자인, 기능 등에 따라 크게 3개 범주로 구분됨.
· 고급 : Panasonic, Bosch, Sony, Samsung, Vivotech, Ricotech, Hikvision, Dahau와 같은 글로벌 브랜드들이 주로 분포함.
· 중급 : Avtech, Vantech, Questek, KBvision 등과 같이 대만 및 중국산 제품들이 많으며 오래 전부터 베트남에서 인지도를 쌓음.
· 하급 : TP-Tech, A-Tech, Z-tech, Zukitech, Greetech 등 주로 중국산 저가제품들이며 가정용, 소규모 사무실용이 많음.
ㅇ 베트남 CCTV 시장은 중국 제품들의 시장점유율이 높으며, 이들은 가격 대비 품질이 좋다고 평가됨. 또한 중국의 저가 공세로 Panasonic, Bosch, Honeywell 등 글로벌 메이커들의 시장점유율이 하락하는 등 가격 경쟁이 매우 치열한 특징을 지님.
베트남 주요 CCTV 제품 및 브랜드
번호 | 제품/브랜드(국가) | 제품 정보 | 이미지 |
1 | QUESTEK (대만) | 높은 품질, 합리적인 가격, 넒은 유통망이 장점 | 
|
2 | AVTECH (대만) | 2010년 베트남에 진출했으며, 높은 품질로 베트남 소비자들의 신뢰를 얻음. 주요 판매제품은 HD-CVI 카메라, IP 카메라임. | 
|
3 | HIKVISION (중국) | 전세계적으로 유명한 브랜드이며 저렴한 가격이 장점임. 품질 역시 준수하며 2년의 보증기간을 제공함 | 
|
4 | KEEPER (대만) | 아날로그 CCTV를 중심으로 판매하며, 베트남 남부 지방에서 인지도가 높음. | 
|
5 | VANTECH (베트남) | 저렴한 가격, 좋은 품질, 긴 보증기간 등으로 베트남 소비자들에게 인기가 높으며, 해외에서 부품 수입 후 베트남 현지에서 조립함. | 
|
6 | Panasonic (일본) | 브랜드 명성, 일본제품에 대한 높은 신뢰도 등으로 현지에서 인기 높음 | 
|
7 | HONEYWELL (미국) | 높은 품질 덕분에 베트남에서 인지도가 높지만 가격 역시 매우 높음. | 
|
8 | BOSCH (독일) | 1994년 베트남 시장에 진출해 베트남에서 오랜기간 인지도 및 신뢰를 쌓았으며, 고품질 제품으로 인식됨. | 
|
9 | Hanwha Techwin (한국) | 한화테크윈은 2017년 3월 베트남 북부 박닌성에 약 1억 달러를 투자한 바 있으며, CCTV와 같은 보안장치 및 영상저장장치를 생산함. | 
|
자료원 : KOTRA 호치민 무역관 종합
□ 베트남 내 유통구조
ㅇ 베트남 내 CCTV 제품은 크게 100% 수입제품과 현지 조립제품이 유통되고 있음.
- 첫째, Avtech(대만), Panasonic(일본)과 같이 100% 수입제품의 경우 품질 면에서 현지 조립제품보다 우수하다고 인식되지만, 부품 교체의 어려움, 오랜 수리 기간, 높은 가격 등이 단점임.
- 둘째, Vantech, Questek, DHTech 등과 같이 현지 조립제품의 경우 A/S가 용이하며 가격도 저렴함. 다만 품질 관리가 다소 느슨해 기기 불량이 발생하기도 함.
□ 관세율 및 인증제도
ㅇ (관세율) 베트남의 녹화용 카메라, 비디오 레코더, CCTV 등에 대한 MFN 관세율은 10~15%이며, 우리 기업들은 한국-베트남 FTA를 통해 0~9%의 관세율을 적용받을 수 있음.
- 다만 중국, 일본, 그리고 아세안 역내 제품에 비해 관세가 높기 때문에 우리 기업들을 이를 유의해야 함.
FTA별 베트남의 CCTV 수입 관세(%)
HS Code | 품목명 | MFN | ATIGA (아세안 역내) | ACFTA (아세안-중국) | VKFTA (베-한국) | VJEPA (베-일본) |
8525.80.10 | 웹카메라 | 15 | 0 | 5 | 9 | 0 |
8525.80.31 | 기타 방송용 카메라 레코더 | 0 | 0 | 0 | 0 | 0 |
8525.80.39 | 기타 | 0 | 0 | 0 | 0 | 0 |
8525.80.40 | 텔레비전 카메라 | 10 | 0 | 5 | 3 | 0 |
자료원 : 베트남 수출입관세 책자
ㅇ (인증) CCTV와 직접적으로 연관된 인증은 없으나, IP 카메라와 같이 카메라 자체에 웹 서버기능을 장착하여 네트워크로 연결되는 카메라의 경우 유무선통신기기로 분류될 가능성도 존재함.
- 이에 따라 유무선통신기기 관련 인증 정보를 파악해두는 것이 도움이 됨.
베트남 유무선통신기기 인증 제도
명칭 | VNTA(유무선통신) |
품목 분류(HS Code) | 8471, 8517, 8525, 8526, 8527, 8528, 8529 |
일반사항 | ㅇ VNTA(Viet Nam Telecommunications Authority)는 베트남 정보통신부 산하의 통신규제기관으로 통신기기의 형식인증 및 ICT(유무선통신기기)마크의 발행을 담당하고 있으며, 베트남 현지에서 판매되는 유무선통신기기 제품에 대한 인증서를 발급하는 유일한 기관임. ㅇ시험기관에 대한 인정업무는 과학기술부 표준품질국(STAMEQ) 산하의 베트남시험기관인정기구(VILAS)에서 담당함 |
적용기술 및 규격 적용 | ㅇ Law on Telecommunications ㅇ Law on Radio Frequencies ㅇ Law on Product and Goods Quality ㅇ Law on Standards and Technical Regulations ㅇ Circular No. 05/2014 ㅇ Circular No. 30/2011 Article 5 ㅇ Decision No. 192 VNTA 19, December 2011 ㅇ Decision 89/2004, Ministry of Finance |
특이사항 | ㅇ 베트남 표준이 제정되지 않은 수입기기에 대해서는 산업표준을 적용해 인증을 수행하며, 신청인은 해당 산업표준과 시험 성적서를 함께 제출해 인증을 신청해야 함. ㅇ 인증신청서는 영어 또는 베트남어만 사용 가능함 |
자료원 : www.tradenavi.or.kr
□ 시사점
ㅇ CCTV를 비롯한 베트남 영상 감시시장은 베트남 건설ㆍ인프라 개발 확대 추세에 따라 정부, 교통 부문에서 수요가 클 것으로 예상되며, 이 외에도 은행, 금융, 오피스, 병원, 서비스업(호텔, 식당 등) 역시 수요 확대가 예상되는 분야임.
ㅇ 우리 기업들은 아래 사항들을 유의하며 베트남 CCTV 시장 진출에 관심 가져볼 만함.
① 첫째, 공공 프로젝트에 관심 가져라
- 베트남 정부는 자국 국민 안전 보호를 위해 대도시 내 CCTV 설치를 확대하는 추세임. 호찌민시의 경우, 범죄우발지역(crime hotspot)을 중심으로 CCTV를 집중 설치해 범죄발생률이 낮아지는 효과를 봤으며 CCTV 설치를 지속 확장할 것을 주문함.
- 베트남 중부 도시 다낭과 훼(Hue) 역시 공공 안전 확립 및 범죄 예방을 위해 CCTV 설치를 늘릴 계획임.
② 둘째, 현지 유망 박람회에 참가하라
- 안전 보안장비 및 시스템 관련 현지 유망 전시회에 참가하는 것 역시 시장 조사 및 바이어 발굴을 위한 좋은 방법 중 하나임. 베트남은 이와 관련해 매년 Secutech 전시회를 개최하고 있으며, 올해는 8월 16~18일까지 3일간 호찌민시 SECC에서 열릴 예정임.
③ 셋째, 현지의 유통ㆍ판매망을 잘 활용하라
- 베트남 내 수요가 높은 가정용ㆍ사무실용ㆍ상점용 CCTV의 경우, 일반 개인이 오프라인 매장을 방문하여 구매하는 빈도가 높음. 따라서 유통망과 판매대리점을 많이 보유한 현지 파트너사와 협력하는 것이 베트남 내 인지도를 높이고 판매량을 늘리는데 도움이 됨.
- 참고로 베트남 소비자들은 온라인으로 CCTV를 구매할 시 설치 및 A/S가 다소 까다롭다고 여기는 경향이 있어 우리 기업들은 오프라인 유통망 확보에 힘을 기울여야 함.
자료원 : 베트남 통계청, 베트남 관세청, BMI, 6Wresearch, ITC, 현지 언론 보도 및 KOTRA 호치민 무역관 자료 종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