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누카굴의 총체적인 힘이 무엇인가를 아는 방법이 있는데 마누카꿀의 총체적인 힘을 보증하는 규칙들과 통제기관이 있습니다. UMF란 "Unique Manuka Factor"의 첫 글자들로 구성된 두문약자(애크로님)입니다. 즉, 유일한 마누카굴의 요인들의 약자입니다. UMF가 우리에게 알려줄 수 있는 것은 마누카꿀의 온전한 비과산화물 항박테리아 율이 무엇인가에 관한 것입니다. 마누카꿀의 항박테리아 성분이 여러가지 요소에서 나오기 때문에 UMF평가는 그 항박테리아 요소들을 MGO요소들을 포함해서 모두 카운트해서 최종적인 평가를 한 것입니다. 가장 일반적인 UMF평가는 UMF 5+, UMF 10+, UMF 15+, UMF 20+와 같은 표기인데, 숫자 다음의 "+" 기호는 그것이 주어진 숫자 이상일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하지만 주어진 숫자보다 적지는 않다는 것을 의미하기도 합니다. 예를 들면 UMF 15+라고 표기된 꿀병은 적어도 UMF 요인을 15 또는 그보다 높은 수준의 비과산화물 상박테리아 요소를 함유하고 있다는 뜻입니다. 이 항박테리아는 매우 안정적이고 강력한 비과산화물 항박테리아 물질이어야 하겠죠. 이런 항박테리아 성분들이 자연적으로 존재하고 다른 다양한 꿀들에는 발견되지 않은 비과산화물 항박테리아 성분이라고 합니다. 이러한 특성을 표시하기 위해서 UMF, 즉 Unique Manuka Factor라는 용어를 만들어낸 것입니다. 1981년에 뉴질랜드 와이카토 대학교의 한 교수가 만들어낸 마누카굴에 함유된 비과산화물 항박테리아 물질을 나타내기 위해 UMF라는 용어를 조어해냈습니다. 우리나라도 이런 노력들이 대학에서 이루어져야겠죠
출처: http://www.taoofherbs.com/articles/129/manukahoneyFAQ.htm
출처 : http://nzmanukanatural.com/blog/difference-between-umf-active-mgo/
위에 제시된 자료에서 오른쪽 하단의 라벨이 바로 UMF Honey Association에서 엄격한 UMF 평가를 받아 제조날짜와 유효기한을 알려주고 있습니다. 이와 같은 라벨이 UMF평가와 라벨이 정확함을 보중해주는 것입니다.
antioxidative activity가 '항산화력'을 의미하므로 non-peroxide는 '항산화물질'이라기 보다는 '비과산화물질', 즉 활성산소(oxygen free radical)를 유발시키지 않는 물질이지 않나 하는 생각이 듭니다. 과산화물질은 산소가 불안정해서 산소이온이 분리되어 다른 물질을 산화시키는 성질이 있죠. UMF란 Unique Manuka Factor의 약자로서 마누카꿀에 유일하게 있는 비과산화 항박테리아 성분이 다양하게 들어 있는 정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보입니다.
아래 그림을 아래와 같이 이해할 수 있습니다.
항박테리아 성분들이 최고로 많이 들어 있는 정도가 UMF 20+ (가장 높은 UMF 효력)
항박테리아 성분들이 상당히 많이 들어 있는 정도가 UMF 15+ (높은 UMF 효력)
UMF 10+ (중간 수준 효력)
* 이 수준 이하에서는 꼭 항박테리아 성분이 들어 있는 정도를 말할 수 있을 정도로 의미가 있지는 않나 봅니다.
좋은 건강을 유지하도록 돕기에 적절한 꿀
UMF 5+ (중간 수준 효력)
좋은 건강을 유지하도록 돕기에 적절한 꿀
UMF 1+ (낮은 수준의 효력)
훌륭한 영양보충제
대개 UMF 1+ ~ UMF 20+로 기록하는데 아래와 같은 경우는 UMF 1+ ~ UMF 25+로 UMF range를 기술하고 있습니다.
아래의 경우에는 UMF 1+ ~ UMF 30+가지 범위가 커지고 있습니다. 사실 극단을 나타내는 20이나 25나 30은 모두 같은 것이라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일반 소비자가 볼 때에 20+보다는 25+가, 25+보다는 30+가 더 좋아보이겠죠. 그래서 UMF 범위가 이렇게 고무줄처럼 늘어나는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듭니다.
저도 화학 분야는 잘 몰라서 '비과산화물질'(non-peroxide)과 '활성산소'(oxygen free radical)의 차이를 화이 님께서 잘 설명해주시면 고맙겠습니다.
작성자 : 비하이브 김천갑
삭제된 댓글 입니다.
그러셨군요. 사실은 마누카꿀병 케이스를 사진으로 찍어서 보내주면서 아까시꿀, 밤꿀, 잡화꿀--뜻있는 분들은 '약꿀'이라 부릅니다. 하지만 '야생화꿀'이라는 명칭도 좋을 것 같습니다--을 영어로 표기해달라고 드림공동양봉 대표께서 부탁을해서 관련자료를 찾아서 번역 정리하면서 여기에 함께 올리게 되었습니다? 도움이 필요하면 카톡으로 알려주십시오. 카톡 아이디가 chungab입니다
마누카꿀 이외에는 사용할 수 없는 용어입니다.
제갈 님, 항상 건승하시길 빌겠습니다
생각을 올렸다가 지워버렸읍니다 도중에 읽으신걸고 짐작합니다
보네주신 원문 다시읽어보고 참고하겠읍니다
감사합니다
@제갈 이제 들어와서 읽지는 못했습니다
UMF 15+는 항산화 활성도를 나타내는 기호로 아는데 정확한지는 모르겠습니다.
UMF 뒤에 붙는 숫자가 높은 숫자일수록 항산화 활성도가 높다는 것으로 그만큼 가격도 비싸겠지요. 저는 그렇게 알고 있었습니다.
2013년도 어느 판매 글을 보니까 UMF 20+ 마누카꿀 수입 가격이 세전 가격으로 우리 나라의 2.4kg 1되 기준으로 환산하니 거의 250,000원이 되더군요.
어느 연구기관인지 기억이 안 나는데 우리나라 헛개꿀과 마누카꿀을 비교 분석한 자료에 의하면 헛개꿀이 마누카꿀보다 낫다는 정보를 어디선가 봤는데 얼마나 객관적인 사실인지는 모르겠습니다.
꿀벌이 숙성 시키는 정도를 결국 말합니다.
마누카꿀 연구단지에서는 80배까지 생꿀과 차이가 있다고 주장합니다.
숙성차이를 개발한 사람이 일본 사람이더군요.
과학적인 데이터로 구분을 하기 때문에
신뢰도가 높습니다.
UMF 15+ 250그램에 90.000원대에 판매 하는 곳도 있더군요.
거진 2.4킬로에 900.000원정도 됩니다.
수치가 높을수록 가격이 높게 형성됩니다.
항박테리아 효력이 있는 다양한 성분들 얼마나 들어있는지를 나타내는 표시입니다.
@비하이브 네 맞습니다.
결국 숙성정도를 나타내는 표시랍니다.
@철리향 숙성 정도가 아니라 항박테리아 물질 함유 정도를 나타낸 것입니다. 항박테리아 효력을 가진 물질의 함유 정도를 말합니다
@비하이브 네 항박테리아성분을 어떻게 마누카꽃꿀에 꿀벌이 함유 시킬까요?
@철리향 마누카꽃꿀에 원래 들어 있다고 합니다. 그래서 Unique Manuka Factor라는 용어를 사용합니다. '유일한 마누카 인자' 라는 용어를 사용합니다
@비하이브 항산화물질은 밤꿀이 더많다고 하지 않나요?
마누카꿀에 들어 있는 헬리코박터 바이로리균을 죽이는 성분은 아직 밝혀지지 않고 있습니다.
그래서 Unique Manuka Factor라고 부르는가 봅니다.
바위도 소화시킨다는 강산성의 위산에도 살아 번식하는 위궤양균을 죽이는 성분입니다. 그 성분은 열 속에도 사아 있다고 합니다. 그래서 마누카꿀은 정제할 때 열을 가합니다. 꿀의 고유성분과 효소에는 문제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자연숙성꿀을 바늘로 찔러서 채밀하는 데이빗님의 방법은 참 귀하다고 생각합니다.
공감합다. 데이빗 님의 지혜가 많은 사람에게 유익할 것입니다.
삭제된 댓글 입니다.
공감합니다. 신토불이. 우리 꿀이 우리에게 좋은 점이 많을 것입니다. 학자들이 우리 꿀의 좋은 점을 밝혀내는 과제가 중요합니다.
어디서 연구를 해야 할까요.....
우리나라는 벌에 대한 박사는 많이 있어도 꿀에 대한 박사는 별로 없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안타깝게도 꿀 연구에 대한 인적 물적기반이 굉장히 약합니다...
제가 산 마누카 꿀은 UMF표시 같은건 전혀없고 MG250+ 라고 되어있어요
이거 혹 짝퉁인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