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장육부(五臟六腑)는 일반적으로는 몸속의 모든 내장을 의미합니다. 한의학에서는 오장육부 또는 육장육부로 몸을 이해하고 치료를 합니다.
한의학에서 오장은 간,심,비,폐,신이고 육부는 담,소장,위,대장,방광,삼초를 말합니다. 육장에는 심포(心包)가 포함됩니다. 여기에서 심포나 삼초니 하는 낯설은 용어는 생명력을 관리하는 눈에 보이지 않는 무형의 장부(臟腑)랍니다. 유명이무형 무형이유용 (有名而無形 無形而有用) 즉, 이름은 있으나 형태가 없고, 형태는 없으나 유용하다는 것이지요. 또한 비는 비장과 췌장을 같이 지칭한다고 합니다.
대체적으로 오장은 흉곽(가슴우리)안에 있는 장기이고 육부는 그 아래 복부쪽에 위치합니다. 또는 오장은 꽉찬 형태고 육부는 무엇을 담아두거나 지나갈 수 있는 내장입니다.
음양오행론을 기본이론으로 하고 있는 한의학은 목화토금수가 상생 상극관계를 이루듯이 오장육부도 순서대로 외우는 것이 유용합니다. 무지개 빨주노초파남보처럼 외워두면 편리합니다.
木火土金水 간심비폐신 담소위대방
옆에 것과는 상생관계, 한칸 건너면 상극관계입니다. 목생화, 화생토, 목극토, 토극수 입니다. 간생심, 간극비 이런식이겠지요
목화(나무와꽃)을 땅(토)에 심었더니 금수가 다망쳐 놓았네 관심(간심)이 없으면(비) 패가망신한다네 담소(대화)가 있는 위대한 우리방(방광)
내장을 우리말로 표현할 시 혼동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잘쓰지는 않지만 심장은 염통, 폐는 허파, 신장은 콩처럼 생기고 팥색깔이라 해서 콩팥이고,웅담을 생각하면 쓰다는 쓸개를 어렵지 않게 생각해 낼 수 있지요. 밥통, 작은창자, 큰창자, 오줌통은 외우지 않아도 금방 한자한글 용어가 연상되지요. 잘 안외워졌던 것이 비장(지라), 췌장(이자)입니다. 간은 우리말을 못찾았습니다.
친구사이에 돈빌려주고 이자를 받네 째째(췌)하게. 별일도 아닌데 비장감이 흐르는 것은 일종의 지랄(지라)이야.
빠진 내장이 있나요?
부신이라고 있죠 한자로 副腎이 보여주듯이 신장 옆에 위치합니다. 신장의 위에 있다하여 신상체라고도 하며, 영어로 Adrenal gland에서 눈치 채듯이 아드레날린을 생산하는 곳입니다. 한자이름은 위치를, 영어이름은 기능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위 다음에 있는 십이지장 부터 창자 장(腸)자를 쓰는 글자 그대로 장이 연결됩니다. 전부 9m의 음식물 여행길입니다. 소장이 6-7m, 대장이 1.5m 랍니다. 불경스럽게 사람의 창자로 순대를 만든다면 몇인분이 될까요?
십이지장은 소장에 포함됩니다. 손가락 12개 길이라 해서 붙여진 이름으로 쓸개즙과 이자액이 흘러 들어옵니다. 공장은 빌 공(空)자를 쓰는데 죽은 사람을 해부해 보면 속이 비어있어 지은 이름이고, 회장은 회전한다는 회(回)자를 쓰고 대장으로 연결되는 장입니다. 소장을 지나는 동안 섭취한 영양소가 체내에 흡수됩니다.
대장은 맹장, 충수, 결장, 직장입니다. 소장과 대장은 회맹판(회장과 맹장)을 경계로 하며 맹장은 오른쪽 골반 속에 있는데 충수가 있습니다. 충수는 벌레 충(蟲), 드리울 수(垂)입니다. 맹장염은 이곳에 염증이 생기는 것입니다. 영어로는 Appendix로 부가물 또는 부록이라하여 있으나 마나 한 기관으로 일부러 떼어내기도 했는데 지금은 장의 위치를 잡아준다든지, 면역기능을 한다든지 하는 연구발표가 있습니다. 결장은 마디 결자를 써서 마디마디 이루어져 있다해서 붙여 졌는데 상행결장 횡행결장 하행결장 S상결장(구불결장)으로 나눕니다. 중요한 것은 오른쪽 아래배에서 부터 시작한다는 것과 상행과 하행은 주로 뒤쪽에 위치합니다. 대장을 풀어줄 때는 옆구리를 앞뒤를 주물러 주어야 하는 것이지요. 대장은 수분을 흡수하는 탈수기 역할을 합니다.
등 뒤에서 볼 수 있는 장기를 파악해 보세요. 신장 부신 비장 상하행결장 직장
퀴즈하나 드립니다. 결장중에서 S상결장은 몇번째로 길까요?
잠깐 옆길로 빠져 봅니다. 중요합니다. 맨 아래쪽 창자 그림을 보면 충수돌기라고 있습니다. 충수를 충수돌기라고도 한다는 것이지요. 여기서 돌기라는 표현을 잘 보아주십시요. 한번 정리하고 가야할 인체용어 입니다.
척추뼈를 보면 극돌기, 횡돌기, 전상장골극(돌기), 명치위에 있는 검상돌기, 목 부위의 흉쇄유(양)돌(기)근, 신경세포 단위인 뉴런의 수상돌기, 축색돌기 등 인체 전 부문에 걸쳐 등장하고 있습니다. 극자는 가시 극(棘)이고 돌기는 빙빙 돈다는 뜻이 아니고 돌출되어 올라온 곳이라는 돌기(突起)입니다. 영어로는 Spine입니다. 척추 뒤에 만져지는 곳이 극돌기이고, 전상장골극은 앞쪽 위에 있는 장골의 튀어나온 부위로 도움주기 시 장을 풀어줄 때 손바닥을 올려 놓은 부위입니다. 검상돌기는 명치 위부분에 칼모양의 돌출부위라 해서 붙여졌고, 흉쇄유돌근은 흉골과 쇄골에서 시작해서 귀 밑의 젖꼭지 모양의 뼈에 붙은 근육이라는 것이고 수상돌기는 나무형태의 가시처럼 생겨서, 축색돌기는 차축모양을 꼬아놓은 모양이라하여 지은 이름입니다. 극이라든지 돌 또는 돌기라든지 하는 용어가 나오면 대충 감이 잡히실 것입니다.
그림을 보면서 실습들어 갑니다.
폐, 심장, 신장, 비장, 방광을 확인해 보시고, 비위가 상한다는 말 있지요. 비장은 대충 위가 있는 몸의 왼쪽 뒤쪽에 있는 것을 익히시면 될 것 같습니다
흉추10번 갈비뼈 밑으로 위치하는 신장과 치골 위에 있는 방광을 보아주십시오
인체에서 가장 큰 장기는 간입니다. 간 밑에는 담(쓸개)이 있어 간에서 생성된 쓸개즙을 보관하는 주머니 역할을 해서, 담낭이라고도 하죠. 간에 붙었다 쓸개에 붙었다 하는 말을 연상하면 됩니다. 이 그림에서는 이자액을 생산하는 췌장의 위치를 확인해 주세요. 인슐린도 췌장에서 나오는데 당뇨가 있으신 분들 이 췌장을 잘 풀어주면 어떨까요???
장기를 뒤에서 보여주는 그림을 찾기가 힘들었습니다. 역시 비장, 신장, 부신, 상행결장과 하행결장을 보아주시고 직장도 한번 세심히 보아주십시오. 언급되지 않았던 목쪽에 있는 한쌍의 갑상선도 보아 주세요.
전체적으로 이름을 따라서 쭉 읽어 주십시오. 남녀의 장기가 다른 부분은 골반 속에 위치한 생식관련 장기입니다. 이 부분은 따로 정리해 볼려 합니다. 참고로 골반 속으로 들어가 있는 장기는 생식기관 외에 소장 끝부분(회장), 맹장, 충수, S상결장, 직장, 방광입니다.
혀를 잡아빼면 식도, 위, 십이지장, 공장, 회장, 맹장, 충수, 결장, 직장, 항문까지 쭈욱 끌려 나올까요? 9-10m나 되는데. 옛날 중국에 이런 형벌이 있었답니다. 믿거나 말거나 입니다....... 끔찍하죠 |
출처: 선인(宣人)수맥감정연구회(010-6277-1193) 원문보기 글쓴이: 宣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