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희(徐熙) 942(태조 25) ~ 998(목종 1)
고려 초기 정치가·외교가. 자는 염윤(廉允). 본관은 이천(利川). 내의령(內議令)을 지낸 필(弼)의 아들이다.
960년(광종 11) 3월에 갑과(甲科)로 과거에 급제한 뒤 광평원외랑(廣評員外郎)·내의시랑(內議侍郎) 등을 거쳐, 983년(성종 2) 군정(軍政)의 책임을 맡은 병관어사(兵官御事)가 되고, 그 뒤 내사시랑평장사(內史侍郎平章事)를 거쳐 태보(太保)·내사령(內史令)의 최고직에까지 올랐다. 정치적 활동뿐 아니라 외교적으로도 많은 업적을 남겼는데 972년 십 수 년간 단절되었던 송(宋)나라와의 외교를 재개시켰으며, 993년에 대군을 이끌고 들어온 거란의 장수 소손녕(蕭遜寧)과 담판하여 이를 물리친 일은 가장 큰 외교적 활동이다.
당시 고려의 일방적 북진정책과 친송외교(親宋外交)에 불안을 느낀 거란은 동경유수(東京留守) 소손녕으로 하여금 고려를 침공하게 하였다.
거란군은 봉산군(蓬山郡)을 격파한 뒤
<대조(大朝;거란)가 이미 고구려의 옛땅을 차지하였는데, 지금 너희 나라에서 강계(疆界)를 침탈하므로 이에 와서 정토한다>는 등의 위협을 거듭하였다. 이에 대해 고려에서는 항복하자는 주장과 서경(西京;평양) 이북의 땅을 떼어주고 화의하자는 할지론(割地論)이 우세하였으나 서희는 할지론에 적극 반대하고 싸울 것을 주장하였다.
소손녕이 고려의 대신과 면대하기를 청해 오자 서희는 이에 응하여 소손녕과 담판하였다. 고구려의 땅이 거란의 소유라는 것과 고려가 송나라를 섬기고 있기 때문에 공격하게 되었다는 소손녕의 주장에 서희는 고려가 고구려를 계승한 나라임을 내세우고, 거란과 조빙(朝聘)하지 못하게 된 것은 여진이 가로막고 있기때문이라고 반박, 설득하여 거란은 마침내 철병하였다.
그 뒤 994년(성종 13)부터 3년간 거란이 양해한 대로 압록강 동쪽의 여진족을 축출하고 장흥진(長興鎭)·귀화진(歸化鎭)·곽주(郭州)·귀주(歸州)·흥화진(興化鎭) 등에 강동 6 주(江東六州)의 기초가 되는 성을 쌓고 생활권을 압록강까지 넓히는 데 공헌하였다. 시호는 장위(章威).
강감찬(姜邯贊) 948(정종 3)∼1031(현종 22).
고려의 명신. 본관은 금주(衿州:지금의 始興). 초명은 은천(殷川).
경주로부터 금주에 이주해 호족으로 성장한 여청(餘淸)의 5대손이며, 왕건을 도운 공으로 삼한벽상공신(三韓壁上功臣)이 된 궁진(弓珍)의 아들이다.
983년(성종 3)과거에 갑과 장원으로 급제한 뒤 예부시랑이 되었다.
1010년(현종 1) 거란의 성종(聖宗)이 강조(康兆)의 정변을 표면상의 구실로 내세워 서경(西京)을 침공하자 전략상 일시 후퇴할 것을 주장하여 나주로 피난하여 사직을 보호하였다.
이듬해에 국자좨주(國子祭酒)가 되고, 한림학사·승지·좌산기상시(左散騎常侍)·중추원사(中樞院使)·이부상서(吏部尙書) 등을 지내고, 1018년에는 경관직인 내사시랑 동내사문하평장사(內史侍郎同內史門下平章事)와 외관직인 서경유수(西京留守)를 겸하였다. 서경유수는 단순한 지방의 행정관직이 아니라 군사지휘권도 행사하는 요직으로 거란의 재침에 대비하기 위한 조처였던 것으로 보인다.
그러자 그해에 거란의 소배압(蕭排押)이 10만대군을 이끌고 침공하였다. 이에 그는 서북면행영도통사(西北面行營都統使)로 총사령관격인 상원수가 되어 부원수 강민첨(姜民瞻) 등과 함께 도처에서 거란군을 격파하였다.
특히, 구주에서의 대첩은 대외항전사상 중요한 전투의 하나로 기록되고 있다. 거란의 침입에 대비하기 위해 고려의 20만대군은 안주에서 대기하다가 적의 접근을 기다려 흥화진(興化鎭: 지금의 義州 威遠面)으로 나가 정예기병 1만2000명을 산기슭에 잠복배치한 뒤 큰 새끼줄로 쇠가죽을 꿰어 성 동쪽의 냇물을 막아두었다가 때를 맞추어 물을 일시에 내려보내 큰 전과를 거두었다.
그 전투에서 패전한 거란군은 곧바로 개경(開京)을 침공하려 했으나, 자주(慈州)와 신은현(新恩縣)에서 고려군의 협공으로 패퇴하였으며, 구주에서는 전멸에 가까운 손실을 입어 침입군 10만 중에서 생존자는 겨우 수천에 불과하였다고 한다.
그 전공으로 현종은 친히 영파역(迎波驛:지금의 義興)까지 마중을 나와 극진한 환영을 하였다. 강감찬으로 인해 거란은 침략야욕을 버리게 되고 고려와는 평화적 국교가 성립되었다.
전란이 수습된 뒤 검교태위 문하시랑 동내사문하평장사 천수현개국남 식읍삼백호(檢校太尉 門下侍郎 同內史門下平章事 天水縣開國男 食邑三百戶)에 봉해지고, 추충협모안국공신(推忠協謀安國功臣)의 호를 받았다.
1020년에는 특진검교태부 천수현개국자 식읍오백호(特進檢校太傅 天水縣開國子 食邑五百戶)에 봉해진 뒤 벼슬에서 물러났다.
그러나 1030년에 다시 관직에 나아가 문하시중(門下侍中)에 오르고, 이듬해 덕종이 즉위하자 개부의동삼사 추충협모안국봉상공신 특진 검교태사 시중 천수현개국후 식읍일천호(開府儀同三司 推忠協謀安國奉上功臣 特進 檢校太師 侍中 天水縣開國侯 食邑一千戶)에 봉해졌다. 그는 비단 거란과의 항전장으로서뿐만 아니라 개경에 나성(羅城)을 쌓을 것을 주장하여 국방에 대해 큰 공을 세우기도 하였다.
현재 그의 묘는 충청북도 청원군 옥산면 국사리에 있다. 현종묘정에 배향되고 문종 때에 수태사 겸 중서령(守太師兼中書令)에 추증되었다. 시호는 인헌(仁憲)이다.
그의 저서로는 《낙도교거집 樂道郊居集》과 《구선집 求善集》이 있으나 전해지지 않는다.
윤관(尹瓘) ? ~ 1111(예종 6)
고려시대 문신·명장. 자는 동현(同玄). 본관은 파평(坡平). 문종 때 문과에 급제,
1088년(선종 5) 합문지후(閤門祗候)로 광주(廣州)·충주(忠州)·청주도(淸州道) 등지에 출추사(出推使)로 파견되고, 습유(拾遺)·보궐(補闕)을 거쳐 95년(숙종 즉위년) 좌사낭중(左司郎中)으로 요(遼)나라에 파견되어 숙종의 즉위를 알렸으며, 98년 동궁시학사(東宮侍學士)로 송(宋)나라에 가서 왕의 사위(嗣位)를 알렸다.
1101년(숙종 6) 추밀원지주사(樞密院知奏事)·추밀원부사·어사대부(御史大夫)·이부상서(吏部尙書) 등을 거쳐 1104년 추밀원사로서 동북면행영병마도통사(東北面行營兵馬都統使)가 되어 여진(女眞)과 싸웠으나 패하였다.
그 뒤 여진 토벌을 위해 별무반을 조직하여, 1107년 17만 대군을 이끌고 동북계로 출전, 전승하여 국토를 확정하고 함주(咸州)·영주(英州)·웅주(雄州)·복주(福州)·길주(吉州)·공험진(公驗鎭)·숭녕(崇寧)·통태(通泰)·진양(眞陽) 등 9지구에 성을 쌓고 남쪽의 백성들을 이주시켜 살게 하였다. 이 공으로 추충좌리평융척지진국공신(推忠佐理平戎拓地鎭國功臣)·문하시중(門下侍中)·판상서이부사(判尙書吏部事)·지군국중사(知軍國重事)가 되었다.
그 뒤 여진족은 조공을 바친다는 조건으로 성을 돌려주기를 원하였고, 조정에서는 지키기 어렵다는 이유 등으로 9성을 되돌려주고 강화를 맺었다.
이로 인하여 여진 정벌이 실패로 돌아가자 모함을 받고 관직과 공신호마저 삭탈되었다. 30년(인종 8) 예종의 묘정(廟庭)에 배향되었다. 시호는 문경(文敬).
김부식(金富軾) 1075(문종 29) ~ 1151(의종 5)
고려 중기 유학자·역사가·정치가·문학가. 자는 입지(立之), 호는 뇌천(雷川). 본관은 경주(慶州). 신라 왕족의 후예로 아버지 근(覲)은 좌간의대부(左諫議大夫)에까지 이른 대관이었다.
1096년(숙종 1) 과거에 급제하여 안서대도호부(安西大都護府)의 사록(司錄)·참군사(參軍事)가 되고 한림원(翰林院)을 거쳐 우사간(右司諫)·중서사인(中書舍人) 등 요직에서 경험을 쌓는 동안 어릴 때부터 배워온 유교(儒敎)의 정당성을 더욱 굳게 믿게 되어 철저한 유교사상가로 굳어졌다.
예종 말년부터 궁중의 학문기관인 청연각과 숭문전(崇文殿) 등에서 왕에게 주역(周易)과 상서(尙書)를 강의하고 고금의 사례를 들어 정치의 올바른 길을 역설하기도 했다.
1122년 인종이 즉위하자 문종 때부터 외척으로 권세를 부리던 이자겸(李資謙)의 횡포를 유교의 정치 이론으로 좌절시켰다. 23년 박승중(朴昇中)·정극영(鄭克永)과 함께 《예종실록(睿宗實錄)》 편수관이 되었고, 26년(인종 4) 권세를 쥐고 있던 이자겸이 숙청되자 지추밀원사(知樞密院事)·호부상서(戶部尙書)·한림학사승지(翰林學士承旨)·평장사(平章事)·판삼사사(判三司事)·수사공(守司空)을 거쳐 33년(인종 11) 판병부사(判兵部事)가 되었다.
혁신정치의 분위기 속에서 서경(西京)세력인 묘청(妙淸)·백수한(白壽翰)·정지상(鄭知常) 등이 서경으로 천도할 것과 금(金)을 쳐서 고구려의 옛땅을 찾을 것 등을 주장하며 35년(인종 13) 묘청의 난을 일으켰을 때 원수(元帥)가 되어 출정하여 36년 2월 난을 평정했다.
그 공로로 그해 3월 고려 최고의 관직인 문하시중(門下侍中)이 되었으며, 동시에 한국 최초의 정사(正史)인 《삼국사기(三國史記)》 편찬 책임자가 되었다.
45년(인종 23) 50권으로 완성된 《삼국사기》에는 그의 정치이념인 유교사상·사대주의사상(事大主義思想)·신라중심 사관(史觀)이 반영되어 있다.
의천(義天)의 비문과 《진락공 중수 청평산 문수원기(眞樂公重修淸平山文殊院記)》 등이 전해진다. 53년(의종 7) 중서령(中書令)에 추증되고 인종묘정(仁宗廟庭)에 배향되었다. 저서에는 《김문열공집(金文裂公集, 20권)》 《봉사어록(奉仕語錄)》 등이 있다.
시호는 문열(文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