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나락 ◇
우리 나라의 벼농사는 청동기 시대에 본격적으로 이루어졌다는 것이 최근까지의 연구였습니다. 이에 비해 일본 학자들은 자신들의 벼농사 상한선을 서기전 1000년으로 잡고, 우리의 벼농사는 일본을 통해 전래된 것이란 주장을 하기도 했습니다. 그러나 이것은 한마디로 개 풀 뜯어먹는 얘기인 것입니다. 김포 일산 유적지에서 서기전 2400년대의 것으로 밝혀진 볍씨가 발견됨으로써, 우리의 벼농사는 신석기 시대부터 활발했음을 엿볼 수 있게 되었습니다. 따라서, 일본의 벼농사는 오히려 우리에게서 건너간 것이라 하겠습니다.
한국에서 건너간 것으로 보이는 보석신(사람 이름)이 죽자 머리는 '밀' 로 변하고, 눈썹에서는 '누에' 가, 눈 속에서는 '피'가, 사타구니(음부)에서는 '보리' 가, 뱃속에는 '벼' 가 자랐다는 일본 『고사기(古事記)』나『 일본서기(日本書紀)』의 신화는 이를 뒷받침한다고 하겠습니다.
그리고 '꿩 치(雉)' 의 '치희(雉姬)' 가 '벼 화(禾)' 의 '화희(禾姬)' 에게 사랑 싸움에서 패했다는 고구려 유리왕의 황조가는 우리 역사에서 수렵시대가 끝나고 농경 시대가 정착된 사실을 노래한 것으로 생각되기도 합니다.
아무튼 미국의 언어학자인 클리핀저는 인도 드라비다 어에서 '벼' 를 '비야' 라 한다 했는데, 어쩌면 '벼' 란 말은 '비야' 에서 왔을지도 모릅니다. 벼의 고향을 벵골이라고 주장하는 설도 있기 때문입니다.
이 벼를 우리의 남부 방언에서는 '나락' 이라 합니다. 이 '나락' 을 철종때의 『동환록(東寰錄)』(1859)에서는 '나록(羅祿)' 으로 적고, 신라 시대에 녹(봉급)을 벼로 준 데서 생긴 말이라 하였으나, 이는 민간 어원설에 지나지 않습니다.
'나락' 이란 말은 '곡식의 알' 을 뜻하는 '낟' 에 접미사 '악' 이 붙은 '낟악' 이 '나락' 으로 변한 것으로 보기 때문입니다. 이 같은 보기엔 '꾸지람' 이 있는데 '꾸지람' 은 '구짇+암 -> 구지담 -> 구지람 -> 꾸지람' 으로 바뀐 것이 있습니다.
◇ 나발거리다 ◇
'말을 수다스럽게 지껄이다'라는 뜻이다.
나발은 쇠붙이로 만든 긴 대롱처럼 생긴 옛 관악기의 하나로, 위는 가늘고 끝이 퍼진 모양이다. 군중(軍中)에서 호령이나 신호를 하는 데 주로 썼다. 원래는 '나팔'에서 온 말로, 지금 우리가 흔히 말하는 '나팔'이라는 악기와 비슷하지만 서로 다른 물건이다.
나발의 소리가 크고 시끄럽다고 해서 흔히 '마구 떠벌리는, 객쩍거나 당치도 않은 소리'라는 뜻으로 쓰이기도 한다. '구경이고 나발이고 다 소용 없다'의 '나발'이 그런 경우이며, 더 나아가 '개나발'이라는 속어가 만들어지기도 했다. 이처럼 '나발거리다'는 나발을 부는 것처럼 수다스럽게 말을 늘어 놓는다고 해서 생긴 말이다.
*출처 : <우리말 유래 사전> -박일환-
◇ 난장판 ◇
'여러 사람이 떠들거나 뒤엉켜 뒤죽박죽이 된 곳'을 가리키는 말이다.
옛날에는 관리로 등용되기 위해서는 반드시 과거를 거쳐야 했다. 그래서 과거를 볼 때가 되면 오로지 급제를 위해 수년 동안 공부를 한 양반집 자제들이 전국 각지에서 시험장으로 몰려들었다. 이렇듯 수많은 선비들이 모여들어 질서없이 들끓고 떠들어 대던 과거 마당을 '난장'이라고 했다.
과거 시험장의 난장에 빗대어 뒤죽박죽 얽혀서 정신 없이 된 상태를 일컬어 난장판이라고 하였다.
*출처 : <우리말 유래 사전> -박일환-
◇ 날샜다 ◇
"날샜다"라는 말은 원래 영화를 만들던 사람들이 쓰던 말이었는데, 차츰 일반 사람들도 이 말을 쓰게 되었다. 영화를 촬영할 때 밤이 나오는 장면은 꼭 밤에만 찍어야 하는데, 찍고자 하는 내용을 미처 다 찍지 못하고 날이 새면 어떻게 되겠습니까. 할 수 없이 하루를 기다려 그 다음날 밤에 다시 찍을 수밖에 없지요. 그래서 어떤 일을 제시간에 끝내지 못하거나 잘못되거나 예상처럼 되지 않았을 때를 가리켜 "날샜다"라고 하게 되었던 것이다.
*출처 : <그래서 이런 말이 생겼대요>
◇ 남방 ◇
'남자들이 여름에 양복 저고리 대신에 입는 남양풍의 웃옷'을 가리킨다.
'남방(南方) 셔츠(shirts)'가 줄어서 된 말이다. 남방은 동남아 지역을 가리키며 그 곳은 날씨가 덥기 때문에 옷 모양을 소매가 짧고 통풍이 잘 되도록 헐렁하게 만들어 입는다. 날씨가 더운 남방 지방에 사는 사람들이 주로 입는 모양의 옷이라는 뜻으로 만든 말이다.
*출처 : <우리말 유래 사전> -박일환-
◇ 너스레 ◇
'떠벌려 늘어 놓는 말솜씨'를 뜻하는 말이다.
흙구덩이나 그릇의 아가리 또는 바닥에 물건이 빠지지 않도록 걸쳐 놓은 막대기를 너스레라고 한다. 너스레를 늘어 놓듯이 말을 떠벌린다고 해서 생긴 말이다. 흔히 '너스레를 떨다'라고 한다.
*출처 : <우리말 유래사전> -박일환-
◇ 넉 장 뽑다 ◇
'어떤 일이나 태도가 불분명하고 어물어물하다'는 뜻이다.
투전 같은 노름에서 어름어름하여 석 장 뽑을 것을 잘못하여 넉 장을 뽑고, 잘못을 감추려고 어물어물하는 것을 가리키는 말이다.
*출처 : <우리말 유래 사전> -박일환-
◇ 넋두리
'불만이나 불평을 하소연하는 말'을 뜻한다.
원래는 죽은 이의 넋이 저승에 잘 가기를 비는 굿을 할 때, 무당이 죽은 이의 넋을 대신하여 하는 말을 넋두리라고 한다. 무당이 하는 넋두리가 차차 뜻이 확대되며너 그냥 일반적인 의미로 쓰이게 되었다.
*출처 : <우리말 유래 사전> -박일환-
◇ 노가리 ◇
'말이 많거나 거짓말을 늘어 놓는 것을 속되게 이르는 말'을 뜻한다.
노가리는 명태의 새끼를 가리키는 말로, 명태는 한꺼번에 매우 많은 수의 알을 깐다고 한다. 명태가 많은 새끼를 까는 것과 같이 말이 많다는 것을 빗대어 나타낸 말이다. 노가리의 수만큼이나 말을 많이 풀어 놓는다는 것은 그만큼 진실성이 결여되어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일부 사전에 씨를 흩부리는 것을 나타내는 노가리라는 말에서 비롯했다고 하는 것은 잘못된 풀이이다. 흔히 '노가리 풀다', '노가리까다'라고 하는 것으로 사용된다.
*출처 : <우리말 어원>
◇ 노다지 ◇
'필요한 물건이나 이익이 한 군데서 많이 쏟아져 나오는 일 또는 그 물건이나 이익'을 가리키는 말이다.
구한말에 외세의 무력 침탈과 함께 경제적 침탈도 거세지면서 광산 채굴권이 외국 사람들에게 많이 넘어갔다. 우리 나라 광산을 외국 사람이 경영하고, 그 곳에서 우리 나라 사람이 품을 팔면서 일을 하는 수치스러운 상황이 전개된 것이다.
그런데 금이나 은 같은 광물을 캐 내어 모아 둔 상자 따위를 우리 나라 사람들이 만지면 외국사람들이 놀란 듯이 "노 터치(no touch)"라고 외쳤다고 한다. 영어를 잘 모르는 우리 나라 사람들이 그 말을 그냥 금이나 은 따위 광물을 뜻하는 말로 받아들이면서 '노다지'라는 말이 생겼다고 한다.
'노(언제나, 끊임없이)'와 '다지다(무른 것이나 들뜬 것을 단단하게 하다)'가 합쳐져서 '금이면 금, 은이면 은으로 빈틈없이 다지었다'는 뜻을 가진 말이 되었다거나, 놋쇠나 놋그릇처럼 '노랗다'는 뜻을 지닌 어근 '놋'에다 접미어 '아지'를 붙여서 노란 광물질, 즉 금덩어리를 '노다지'라고 하게 되었다는 주장들이 그 대표적인 예이다. 그러나 어느 설이 옳은지 단정적으로 말하기는 어렵다.
◇ 노래 ◇
예부터 우리 민족이 노래를 즐긴 민족이라는 것은 여러 문헌에서 발견되고 있다.
'노래'는 그 속성 그대로 '놀다'에 '-애'라는 뒷가지(접미사)가 붙은 형태의 말이다. '놀'이라는 말뿌리를 찾을 수도 있겠으나 움직씨(동사)인 '놀다'에서부터 새끼친 말이라 생각하여 무방할 것이다. '놀이', '노리개', '노름' …… 따위 말들도 맥을 함께 한다.
그렇게 움직씨의 줄기(어간)에 '애(에)'가 붙어서 그 움직씨와 관계되는 이름씨(명사)를 만드는 말들 몇 가지를 보자.
▶갈다 → 갈+애 → 가래(흙을 떠서 던지는 기구)
▶굴다 → 굴+에 → 구레(지대가 낮아서 늘 물이 괴어 있는 땅)
▶가르다 → 가르+애 → 가래 → 갈래(딴 사물에서 둘 이상으로 갈라져 나간 가닥이나 부분이나 계통)
▶날다 → 날+애 → 날애 → 나래(날개)
▶도르다 → 도르+애 → 도래(둥근 물건의 둘레)
▶돌다 → 돌+애 → 돌애 → 도래(소나 염소 따위의 고삐가 자유로 돌게 하려고 굴레 또는 목사리와 고삐와의 단 쇠와 나무로 된 고리 비슷한 물건
▶두르다 → 두르+에 → 두레 → 둘레(물체의 테두리, 또는 그 바깥 언저리)
▶막다 → 막+애 → 막애 → 마개(병 아가리 구멍 같은 데에 끼워 막는 물건)
▶홅다 → 홅+애 → 홅애 → 홀태(벼훑이:여의 알을 훝어내는 기구)
◇ 녹초가 되다 ◇
'아주 맥이 풀리어 늘어지다'라는 뜻이다.
녹초는 '녹은 초'를 뜻한다. 초가 녹아 내린 것처럼 흐물흐물해지거나 보잘 것 없이 된 상태에 빗대어 나타낸 말이다.
◇ 누비다 ◇
'이리 저리 거침없이 쏘다니다'라는 뜻이다.
'누비'는 중들이 입고 다니는 법복인 납의(衲衣)에서 온 말이다. 원래는 사람들이 버린 낡은 헝겊들을 모아 기워 만든 옷이라는 뜻으로 쓰던 말로, '납(衲)'은 기웠다는 뜻이다. 그리고 이런 옷을 입은 중을 납승(衲僧) 또는 납사(衲師)라고 불렀다. 이러한 납의라는 말이 변하여 누비라는 새로운 말이 생겼으며, 여러 가지 헝겊을 깁는 대신 두 겹의 천을 안팎으로 하여 사이에 솜을 넣고 세로 가로로 줄지어 박음질한 옷을 말한다.
'누비'라는 명사에서 '누비다'라?? 동사가 갈라져 나온 것이다. '누비다'는 두 겹의 천에다 가로 세로로 줄지어 박음질하듯이 사람이 이리 저리 거침없이 쏘다니는 것을 이르는 말이 되었다.
*출처 : <우리말 유래 사전> -박일환-
◇ 능라도 수박같다 ◇
'음식이 맛이 없다'라는 뜻으로 쓰이는 관용구이다.
능라도는 평양의 모란봉을 한 옆에 끼고 흐르는 대동강의 한가운데에 있는 섬으로 푸른 숲이 비단천을 펼친 듯 아름답고 넓게 펼쳐져 있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그런데 능라도는 강 한가운데에 자리 잡고 있어서 여름 장마 때 물이 자주 넘친다. 따라서 그 곳에 심은 수박은 장마로 넘친 물이 스며들어서 맛이 싱겁고 달지 않기 때문에 '능라도 수박같다'는 말이 생기게 되었다.
*출처 : <우리말 유래 사전> -박일환-
◇ 님 ◇
우리는 상대방을 높여 부를 때 접미사 ‘-님’을 붙인다. 그 옛날 형태인 ‘니마’는 태양신으로, ‘니 + -마 > 니마의 과정을 거쳐 이루어진 말이라고 할 수 있다. 이에 상응하는 ‘고마’는 물과 땅의 신으로서 생산을 맡는다. 니마는 단군의 아버지 신에, 고마는 어머니 신에 해당한다고 하겠다.
현재 누가 ‘임’에 대한 역사적인 뜻을 생각하면서 그 낱말을 쓸까 마는, 임은 따지고 보면 태양신 곧 광명의 신으로 숭앙되었으며 따라서 ‘-님’ 이라고 부르는 우리 언어 관습의 밑바탕에는 상대방을 태양신과 같은 존재로 본다는 의식이 있으니 참으로 소중한 인본주의의 드러냄이 아닐 수 없다. ‘니마’ 는 태양신을 뜻하는 말에서 제사를 지내는 군왕을 뜻하는 말로, 다시 상대방을 높이는 접미사로 쓰였으니 말 그대로 언어의 민주화가 이루어진 셈이라고 할까.
*출처 : <우리말의 상상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