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개된 기준에 따라 대략적으로 계산해 봤습니다.
아주 정확하진 않을 수 있어도 대략 이런 식으로 비례 의석이 배분되었다고 보심 될 듯 합니다.
결론만 말하자면, 미래한국당이 운이 좋아서 계산과정에서 잔여석을 2석(준연동에서 1석, 병립형에서 1석) 추가 배분받았네요.
이번 총선에서 비례대표선거에 나온 정당은 많습니다. 하지만 득표율 3% 이상 정당만 비례의석을 배분받으므로 3%가 안 되는 정당들은 과감히 모두 지워 줍니다. 그럼 남는 정당은 열린민주당까지 5개 정당이네요.
그 후 이 5개 정당(3% 이상 정당들)만을 대상으로 총 47석의 비례의석을 [(준)연동형 캡 30석 배분 + 병립형 17석 배분] 식으로 2단계 의석 배분을 하면 됩니다.

<정당득표율 계산>
5개의 정당만을 대상으로 의석 분배를 한다면, 모든 정당을 대상으로 한 득표율을 따질 게 아니라 5개 정당 득표율 합계 중 각 정당이 차지하는 비율을 따지는 게 의미가 있을 겁니다. 이걸 '정당득표율'이라 부르기로 하고, 계산해 봅시다.
3% 넘는 5개 정당의 득표율 총합 89.07% 이므로,
- 한국당 : 33.84% --> 33.84/89.07 = 5개 정당 중 37.99%
- 시민당 : 33.35% --> 33.35/89.07 = 5개 정당 중 37.44%
- 정의당 : 9.67% --> 9.67/89.07 = 5개 정당 중 10.86%
- 국민당 : 6.79% --> 6.79/89.07 = 5개 정당 중 7.62%
- 열민당 : 5.42% --> 5.42/89.07 = 5개 정당 중 6.09%
<연동형 캡 30석 배분>
1. 총 의석수에서 <비례대표 3% 미만 득표한 정당의 지역구 의석수 및 무소속 의석수>를 뺀 연동배분의석수 계산
: 300석 - 5석 = 295석
(이번에 워낙 지역구 득표정당이 없어서 그냥 무소속 5석만 빼면 되겠네요.)
2. 위 1번 값에 각 정당별 비례대표 득표율 곱한 뒤 지역구 의석수를 뺌.
- 한국당 : (295석 x 0.3799) - 0 = 112.08
- 시민당 : (295석 x 0.3744) - 0 = 110.46
- 정의당 : (295석 x 0.1086) - 1 = 31.03
- 국민당 : (295석 x 0.0762) - 0 = 22.49
- 열민당 : (295석 x 0.0609) - 0 = 17.95
3. 완전연동이 아닌 준연동이므로 위 2번 값의 50%를 구함. 이게 각 정당이 연동형 캡 30석을 점유할 비중임.
- 한국당 : 56.04
- 시민당 : 55.23
- 정의당 : 15.51
- 국민당 : 11.24
- 열민당 : 8.98
4. 그런데 위 3번의 값을 모두 더하면 147이 되어 배분의석총수 30석을 초과하게 되므로, 30석을 위 3번 값의 비율에 맞춰 배분
- 한국당 : 30 x (56.04/147) = 11.44
- 시민당 : 30 x (55.23/147) = 11.27
- 정의당 : 30 x (15.51/147) = 3.17
- 국민당 : 30 x (11.24/147) = 2.29
- 열민당 : 30 x (8.98/147) = 1.83
5. 소수점 아래를 없애기 위해 위 4번 값에서 소수점 첫째 자리에서 반올림
- 한국당 : 11석
- 시민당 : 11석
- 정의당 : 3석
- 국민당 : 2석
- 열민당 : 2석
6. 다 합치면 29석으로 잔여의석 1석이 남음. 잔여의석은 정당별 비례대표 득표율로 나눈 값을 구해 정수 순, 소수점 큰자리 순으로 배분. 그리 되면 결국 득표율이 가장 높은 한국당이 잔여 1석을 가져가게 됨. 따라서 최종적으로....
- 한국당 : 12석 = 11석 + 1석
- 시민당 : 11석
- 정의당 : 3석
- 국민당 : 2석
- 열민당 : 2석
이걸로 (준)연동형 30석 배분은 끝났습니다. 이제 다음 17석 배분으로 가 보죠.
<병립형 17석 배분>
1. 17석은 정당득표율 비율대로 분배하면 됩니다.
- 한국당 : (17석 x 0.3799) = 6.46
- 시민당 : (17석 x 0.3744) = 6.37
- 정의당 : (17석 x 0.1086) = 1.85
- 국민당 : (17석 x 0.0762) = 1.30
- 열민당 : (17석 x 0.0609) = 1.03
* 참고: 정당득표율
- 한국당 : 33.84% --> 33.84/89.07 = 37.99%
- 시민당 : 33.35% --> 33.35/89.07 = 37.44%
- 정의당 : 9.67% --> 9.67/89.07 = 10.86%
- 국민당 : 6.79% --> 6.79/89.07 = 7.62%
- 열민당 : 5.42% --> 5.42/89.07 = 6.09%
2. 반올림 같은 거 하지 말고 정수 값대로 1차 분배, 잔여석이 있으면 소수 첫째 자리 큰 순서대로 2차 분배
- 한국당 : 7석 = 정수 분배 6석 + 소수 첫 자리 분배 1석
- 시민당 : 6석 = 정수 분배 6석 + 소수 첫 자리 분배 0석
- 정의당 : 2석 = 정수 분배 1석 + 소수 첫 자리 분배 1석
- 국민당 : 1석 = 정수 분배 1석 + 소수 첫 자리 분배 0석
- 열민당 : 1석 = 정수 분배 1석 + 소수 첫 자리 분배 0석
<총계>
- 한국당 : 19석 = 12석((준)연동형 캡 30석 분) + 7석(병립형 17석 분)
- 시민당 : 17석 = 11석((준)연동형 캡 30석 분) + 6석(병립형17석 분)
- 정의당 : 5석 = 3석((준)연동형 캡 30석 분) + 2석(병립형 17석 분)
- 국민당 : 3석 = 2석((준)연동형 캡 30석 분) + 1석(병립형 17석 분)
- 열민당 : 3석 = 2석((준)연동형 캡 30석 분) + 1석(병립형17석 분)
요컨대.... 미래한국당이 운이 좋아서 잔여석 추가배분으로 2석 이익을 봤네요.
p.s. 선관위에서 계산한 것도 대략 위 계산과 일치하는 것 같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