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년도 |
감독 |
대통령배 |
청룡기 |
황금사자 |
봉황대기 |
비고 |
71 |
박현덕 |
1회탈락 |
|
1회탈락 |
16강 |
|
72 |
박현덕 |
|
|
1회탈락 |
16강 |
|
73 |
박현덕 |
8강 |
|
1회탈락 |
16강 |
|
74 |
박의양 |
1회탈락 |
8강 |
16강 |
16강 |
|
75 |
박의양 |
8강 |
|
|
1회탈락 |
|
76 |
박의양 |
1회탈락 |
|
1회탈락 |
16강 |
|
77 |
장원순 |
1회탈락 |
준우승 |
|
8강 |
청룡기 감투(오세인) |
78 |
장원순 |
|
8강 |
|
1회탈락 |
|
79 |
장원순 |
1회탈락 |
|
1회탈락 |
16강 |
|
80 |
장원순 |
1회탈락 |
1회탈락 |
|
32강 |
|
81 |
이춘근 |
|
8강 |
1회탈락 |
1회탈락 |
|
82 |
권영무 |
1회탈락 |
16강 |
1회탈락 |
16강 |
|
83 |
권영무 |
|
|
|
1회탈락 |
|
84 |
김학용 |
1회탈락 |
|
8강 |
1회탈락 |
|
85 |
김학용 |
|
8강 |
1회탈락 |
16강 |
|
86 |
김학용 |
|
|
4강 |
32강 |
|
87 |
김학용 |
|
16강 |
4강 |
16강 |
|
88 |
김학용 |
16강 |
|
우승 |
8강 |
황사기 최우수(박기복),우수투수(위재영) |
89 |
김학용 |
8강 |
4강 |
1회탈락 |
우승 |
봉황기 최우수선수,최우수투수(위재영) |
90 |
김규식 |
4강 |
8강 |
8강 |
16강 |
|
91 |
김규식 |
|
|
|
16강 |
|
92 |
김규식 |
8강 |
1회탈락 |
|
4위 |
봉황기 우수투수(장동훈) |
93 |
김규식 |
1회탈락 |
16강 |
|
16강 |
|
94 |
김규식 |
1회탈락 |
1회탈락 |
|
1회탈락 |
|
95 |
김학용 |
16강 |
8강 |
|
1회탈락 |
|
96 |
김학용 |
1회탈락 |
1회탈락 |
|
1회탈락 |
|
97 |
김학용 |
|
1회탈락 |
16강 |
16강 |
|
98 |
김학용 |
1회탈락 |
1회탈락 |
1회탈락 |
1회탈락 |
|
99 |
김학용 |
1회탈락 |
1회탈락 |
|
4강 |
봉황기 우수투수(김기식) |
00 |
김학용 |
16강 |
1회탈락 |
16강 |
1회탈락 |
|
01 |
김학용 |
1회탈락 |
|
준우승 |
16강 |
황사기 감투(송은범) |
02 |
김학용 |
1회탈락 |
|
준우승 |
32강 |
황사기 감투(송은범) |
03 |
김학용 |
|
1회탈락 |
|
16강 |
|
04 |
최영환 |
|
16강 |
|
4강 |
|
05 |
최영환 |
|
우승 |
|
1회탈락 |
청룡기 최우수(현천웅), 우수투수(류현진) |
06 |
최영환 |
|
16강 |
1회탈락 |
32강 |
|
07 |
최영환 |
|
|
16강 |
1회탈락 |
|
@ 프로 지명&입단선수 명단
66 이춘근 (우우/IF/제일은(66)-해병대(70)-제일은(73)/삼미(82년 코치겸선수)/82년은퇴)
74 유응삼 (우우/OF/농협(74)-육군(76)-농협(79)/미입단(삼미 83년 1차))
75 금광옥 (우우/C/철도청(75)-육군(76)-상업은(79)/삼미(82년 창단맴버)/89년은퇴)
77 김재현 (우우/P/기업은(77)-포철(77)/삼미(82년 창단맴버)/87년은퇴)
78 박경호 (우우/P/인하대(중퇴)-상업은(78)/삼미(82년 창단맴버)/82년은퇴)
78 최영환 (우우/C/영남대/삼미(82년 창단맴버)/89년은퇴)
78 허운 (우우/IF/중앙대/삼미(82년 창단맴버)/86년은퇴)
79 김동철 (우우/P/인하대(중퇴)/삼미(82년 창단맴버)/82년은퇴)
80 강영수 (우우/P/중앙대/삼미(84년 1차)/출전기록없음/84년은퇴)
80 이광근 (좌좌/OF/중앙대-한일은(84)/청보(86년 1차, 84년 1차)/92년은퇴)
81 이찬선 (우우/IF/삼미(82년 창단맴버)/82년은퇴)
82 문주모 (우우/OF/삼미(82년 창단맴버)/83년은퇴)
83 김낙진 (우우/IF/중앙대-한국화장품(87)/미입단(MBC 87년 4번))
83 박은진 (우우/P/농협(83)/태평양(88년 1차, 89년입단)-한화(96)/96년은퇴)
83 최용남 (우우/P/제일은(83)/미입단(태평양 86년 1차))
84 김동희 (우우/P/고려대-농협(88)-상무(90)-농협(92)/미입단(태평양 88년 11번))
84 김종문 (우우/C/빙그레(86년 지명외)/92년은퇴)
84 여태구 (좌좌/OF/인하대/태평양(88년 1차)/95년은퇴)
85 윤형석 (우우/P/인하대-한전(89)-상무(90)-한전(93)/미입단(태평양 89년 1차))
86 김명환 (우우/P/경희대/미입단(LG 90년 7번))
86 장광호 (우우/C/인하대-한국화장품(90)/태평양(92년 1번)-SK(00)-현대(01)/01년은퇴)
87 박기택 (우우/OF/인하대/쌍방울(91년 2번)-해태(94)-LG(96)/96년은퇴)
87 윤용하 (좌좌/OF/동국대/삼성(91년 1번)-태평양(94)/95년은퇴)
87 최준호 (우우/P/인하대/쌍방울(91년 5번)/93년은퇴)
88 임창식 (우우/UP/경남대/쌍방울(92년 1번)-한화(99)/00년은퇴)
88 정민태 (우우/P/한양대/태평양(92년 1차)-요미우리(01)-현대(03)(現))
89 김성열 (우우/IF/인하대/빙그레(93년 7번)/94년은퇴)
89 김충민 (우우/C/인하대/쌍방울(93년 1번)-한화(97중)-SK(00)/00년은퇴)
89 박기복 (우우/OF/인하대/롯데(93년 5번)/95년은퇴)
90 박창현 (좌좌/P/경남대/LG(94년 5번)-쌍방울(98)/99년은퇴)
90 조한철 (우우/P/경남대(중퇴)/LG(92년 지명외)-쌍방울(95)/95년은퇴)
91 도명진 (우우/C/한양대/태평양(95년 3번)/96년은퇴)
91 봉상철 (우우/IF/동국대/해태(95년 3번)/출전기록없음/95년은퇴)
91 위재영 (우우/P/인하대/태평양(95년 1차)-SK(05)/07년방출)
92 송지만 (우우/OF/인하대/한화(96년 3번)-현대(04)(現))
92 임봉수 (우우/P/경희대-한일은(96)/미입단(OB 96년 4번))
93 이득수 (우우/IF/인하대/현대(97년 4번)/00년은퇴)
94 박진석 (좌좌/P/태평양(94년 연고지명)-쌍방울(00)/00년은퇴)
94 심재윤 (우우/OF/인하대/한화(98년 6번)/01년은퇴)
94 전준호 (우우/P/태평양(94년 연고지명)(現))
95 박병원 (우우/P/태평양(95년 연고지명)/출전기록없음/96년은퇴)
95 송호영 (우우/P/경남대/LG(99년 10번)/출전기록없음/99년은퇴)
95 이용주 (우양/IF/태평양(95년 연고지명)/02년은퇴)
95 황우구 (우우/IF/인하대/한화(99년 1번)/04년은퇴)
96 방진호 (우우/IF/경남대/한화(00년 10번)/02년은퇴)
96 오진호 (우우/P/동국대/미입단(삼성 96년 10번))
97 권윤민 (우우/C/인하대(중퇴)/컵스(99년입단, 현대 97년 우선)/05년방출/기아(07년 5번)(現))
97 조승현 (우우/1B/현대(97년 우선)/06년은퇴)
98 강귀태 (우우/C/동국대/현대(98년 우선, 02년입단)(現))
98 박세훈 (우우/IF/홍익대/미입단(두산 98년 8번))
98 이현석 (우우/P/경희대/LG(98년 5번, 02년입단)/출전기록없음/02년은퇴)
98 최환인 (우우/P/제일유리(98)/현대(01년 지명외)-롯데(06)/06년은퇴)
99 김지윤 (우우/P/기아(99년 12번)/출전기록없음/99년은퇴)
99 박기범 (우우/P/현대(99년 우선)-상무(01)-현대(03)/출전기록없음/04년은퇴)
99 이대일 (우우/P/경남대(중퇴)/롯데(99년 9번, 01년입단)/02년은퇴)
99 이양기 (우우/IF/탐라대/한화(99년 12번, 03년입단)-상무(07)(現))
99 한상준 (우우/P/인하대/SK(99년 5번, 03년입단)/출전기록없음/04년은퇴)
00 김기식 (우우/UP/영남대/현대(00년 7번, 06년입단)/출전기록없음/07년방출)
00 전준호 (좌좌/OF/동국대/미입단(기아 00년 7번))
01 김동혁 (우우/P/한라대-성균관대(03)/롯데(05년 지명외)/출전기록없음/06년은퇴)
01 배광진 (우우/IF/원광대/미입단(두산 01년 5번))
01 윤영보 (우우/P/SK(01년 12번)/출전기록없음/01년은퇴)
01 정상호 (우우/C/SK(01년 1차)-상무(05)-SK(07)(現))
01 조중근 (좌좌/OF/SK(01년 8번)-현대(07중)(現))
02 김정환 (우우/P/경남대/롯데(06년 2번)(現))
02 손호광 (우우/P/한라대/롯데(02년 8번, 04년입단)/출전기록없음/04년은퇴)
02 이현승 (좌좌/P/인하대/현대(02년 3번, 06년입단)(現))
02 황연선 (우우/IF/고려대/기아(02년 10번, 06년입단)/출전기록없음/07년방출)
03 송은범 (우우/P/SK(03년 1차)(現))
03 임준혁 (우우/P/기아(03년 2번)(現))
05 금민철 (좌좌/P/두산(05년 4번)(現))
06 김기태 (우우/P/삼성(06년 3번)(現))
06 류현진 (좌우/P/한화(06년 1번)(現))
06 박경태 (좌좌/P/기아(06년 3번)(現)/출전기록없음)
06 최승준 (우우/C/LG(06년 7번)(現))
08 황건주 (우우/SK(08년 1차)(現))
@ comment
해방과 함께 창단하여 인천고와 함께 인천야구의 영욕을 함께한 명문팀입니다...
동산고의 전신인 동산중학의 감독과 선수였던 박현덕-박현식 형제는 동산고 야구를 발전시킨 초석을 다지는 공로자들입니다... 이들 형제는 원래 평안도가 고향이지만 해방이후 인천에서 정착한 야구인들로 동산중학시절의 박현식은 경남중의 장태영, 광주서중의 김양중과의 지역을 대표하는 삼각라이벌전으로 유명합니다... 故박현식씨는 프로원년 인천팀인 삼미슈퍼스타스의 창단감독으로 인천고출신의 김진영씨와 함께 인천야구의 대부로 통했던 분입니다....
50년대 최강의 야구전성기를 구가하게 되는 인천에서 인천고에게 선수를 빼앗긴 동산고는 55년 청룡기에서 인천고의 3연패를 저지하면서 절정의 시기를 맞습니다.. 당시의 주인공인 투수 신인식은 재학기간 3년동안 청룡기 3연패의 위업을 달성하는 전설의 투수였습니다...
신인식의 졸업후 동산고에는 최관수라는 투수가 등장하면서 또다시 청룡기를 차지하는데 최관수씨는 뒤에 군산상고 감독으로 김봉연, 김준환 등을 이끌며 역전의 신화를 창조한 주인공입니다...
66년 투수 이기호의 활약으로 5번째의 청룡기, 통산 6번째의 우승을 차지한 동산고는 이후 20여년간 인천야구의 쇠퇴와 함께 무관에 그칩니다... 공교롭게도 동향의 라이벌인 인천고 또한 60년대부터 80년대말까지 부진한 성적을 내는데, 이러한 양교의 동반부진은 82년 출범한 프로야구에서 인천연고의 프로팀(삼미-청보-태평양)이 극심한 선수부족으로 만년하위팀을 전전하는 주원인이 되었습니다...
동산고뿐이 아니라 인천야구 전체의 오랜 부진을 벗어나게 해주는 구세주가 나타나는데 그 선수가 바로 절세투수 위재영입니다... 위재영은 1학년 시절인 88년의 황금사자기와 이듬해의 봉황기에서 동산고를 거의 혼자의 힘으로 모처럼 정상에 올려놓았습니다... 89년은 인천고 역시 35년만에 정상에 오른 해로 인천의 명문 두팀은 성쇠의 사이클이 이처럼 비슷한 특징이 있습니다...
동산의 에이스자리를 새로 입학하던 위재영에게 넘겨주고 88년에 졸업한 정민태도 고교정상권의 구위로 청소년대표에 선발되었던 선수였지만 팀을 우승권까지는 끌어올리진 못했습니다..
동산고는 인천이 낳은 대표적인 에이스들인 정민태와 위재영을 제외하면 한동안 인천을 상징하는 스타급선수들이 별로 보이지 않는 아쉬움이 있었습니다...
그 주원인이 동산고출신의 스타들이 졸업이후 타지에서 활약하는 모습이 많기 때문인데 군산에서 지도자생활을 꽃피운 최관수씨를 비롯해서 최근에 배출된 대표적인 프로선수들인 김충민, 송지만, 황우구, 심재윤 등은 공교롭게도 모두 현대가 아닌 한화에서 대부분의 선수생활을 했기 때문에 인천출신 스타라고 하기에는 생소한 감이 있었습니다...
동산고는 2000년대 들어와서 송은범이라는 전국최고 투수가 활약하면서 두대회 연속으로 황금사자기 결승에 진출했지만 각각 휘문고 북일고에게 지면서 큰 아쉬움을 남겼는데 송은범이 졸업한지 3년만에 또다시 최고의 투수가 나타나면서 위재영 이후 16년만에 우승을 거머쥡니다...
바로 류현진의 등장이었습니다...
류현진은 물론 뛰어난 선수임은 분명하나 최승준, 현천웅이 이끄는 타선이 폭발하면서 청룡기 결승에서 김성현이 던진 대구고를 10-8로 이기고 우승을 거뒀는데 류현진은 졸업후 프로입단과 함께 돌풍을 이끌면서 어린 나이에 국내를 대표하는 투수로 성장하게 됩니다...
하지만 류현진 역시 고향팀인 SK의 지명을 받지 못하고 역시나 동산고와 인연이 깊은 한화에 입단하게 됩니다...
동산고는 2008년 투수 황건주가 모처럼 SK의 1차지명을 받으면서 입단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