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상도방언-문장끝에 자주
1. '~꼬'로 끝난다...
예) 뭐꼬?, 이란다꼬?, 우짤라꼬~, 뭐라꼬~
2. '~예'
예) 그렇지예~
3. '~등' or '~덩'
예) 웃거등~ 했거덩~
4. '~더'
예) 모르겠습니더~, 아입니더~
5. '~디'
예) 그랬는디~
6. '~꺼'
예) 할랍니꺼~
7. '~라'
예)해달라고 카는 기라~
8. '~카노'
예) 왜 그와카노~, 뭐라카노~
9.' ~소'
예) 형님이 한번 해보이소~, 어서 오이소~
10. '~하자카이'
예) 나온대로 하자카이~
11. '~뿐다'
예) 친구 안해뿐다~
문장 끝에 자주 나타나는 경상도 사투리
* 1.단디 ~ 하다
표준어로 "확실히", "분명히", "단단히"란 뜻. 가까운 관계에 있는 사람끼리 주고받는 상투적인 배려의 표시다. 부산/경남지역 20대 사이에 광역적으로 번져있는 관용구이며 서울사람이 한 번 맛들일 경우 정감 어린 새시대 새주인으로 거듭날 것이다.
*2.만다 그라노? 만다꼬?
"왜그래?" , "그럴 필요가 있을까?", "쓸데없는 짓 한다" 정도로 해석할 수 있다. 화들짝 놀란척, 걱정하는 척하며 안면을 약간 찌그리거나 목소리를 구엽게 질질 끌면 걱정의 강도가 더욱 깊어진다. "만다꼬" 뒤에(!) 표가 붙으면 "다 부질없다"라는 등 극단적 해석도 가능. 실제로 부산지역 고교/대학사회에서는 짝사랑의 아픔을 이 한마디로 대신하기도 한다.
*3.고마 쌔리, 마!
직설적이고 파괴본능을 감추며 살아가는 영남인의 인생관을 대변한다. 호전적이되 그 이면에는 여린 속살로 버팅기는 인간일수록 자주 애용한다. 20대는 주로 미팅에서 상처를 받았거나, 시험성적 저조할 때 사용하며, 그 밖에는 대체로 직접적인 폭력과 관련된 일부 거리의 시인들을 제외하곤 사용하지 않는 편이다.
*4. 문디
1,4 후퇴의 역사적 아픔에서 비롯되어 부산지역을 중심으로 생성된 문둥병 환자에 대한 속어이다. 그 후로 용어사용에 관한 논의가 계속되다가 인기스타 강호동을 통해 전국적으로 방송망을 타게 된 불멸의 역작이다. 현재는 동질환의 발병률이 상당히 낮은 관계로 가벼운 구박을 표현하는 용어로 발전하였다. "문디" 는 친구간, 가족간 회화시 사용해도 전혀 어색함이 없고, 연인사이에 통용되도 상스러움이 없다고 인식될 만큼 지역사회에서는 이미 굵직한 한 획을 긋고 있다. 어른에게 무단으로 사용하면 소정의 벌칙을 받게 된다.
*5. 우야꼬
충격적인 사건을 겪었거나, 말못할 사정으로 신체적 고통을 이겨내는 이에게 본인의 동정심과 걱정을 전달할 수 있는 단어이다. 일식 우동을 연상하시겠지만, 역시 아니올시다이다. "우야꼬"는 표준어로는 "어찌할까", 혹은 "이걸, 어쩌나"와 같은 용법으로 사용되며 이미 매스미디어를 통해 대중과 친숙한 지역사회의 용어이다. 20대가 어떻게 이런 말을 쓸 수 있느냐. 환경지배론!
*6.머째이 머째이 사회자 머째이! (= MC is cool so much!)
멋쟁이, 멋쟁이에 비음이 첨가되면서 유행한 행사용 멘트. 유난히 애교 많은 경상도 아가씨들이 기분 UP될때만 쓰는 말. 여기서 사회자는 불특정 다수의 깔삼한 남성들을 이른다. 이 문장은 여교 앞 튀김집 사장님에서부터 서면, 남포동 나이트클럽 부킹 男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한 영역의 남성을 사용자 임의대로 지정할 수 있으며, 퀸카로부터 이 말을 들어야만 공식적인 직업인으로 성장할 수 있다.
7. 그그는 그기고, 이그는 이기지....!
부산사람들은 유난히 시끄럽다. 그리고 그들 중 대부분은 냉철함보다 삶의 현장에 뛰어드는 것을 선호한다. 이것저것 전후사정을 놓고 따지기 좋아하는 이들은 위 문장을 목숨처럼 애용한다. 이러한 어조는 시내 교통사고 현장이나, 부산지방검찰청과 법원, 각 관할 구청 및 종합병원에서 쉽게 목격할 수 있다. 사용자의 감정상태에 따라 시비 가리기의 수단으로 사용될 수도 있고, 목소리 큰 깍두기들 사이의 친목용어로 활용될 수도 있다.
8. 으은~~다!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청춘의 심정을 그대로 표현한 半거절형식의 문장이다. S+V+O+C 의 복문형식에서 주술관계가 완전히 파괴된 문장으로 아무데나 갖다 붙이면 말이 된다. 발전과정에는 어린이들의 전유물로 여겨졌으나 현재는 젊은 여성층에서 많이 사용한다. 가끔 좌석버스에서 애인과 통화하는 남성으로부터 이 문장을 접할 때가 있는데 경청하지 말 것! 신의 저주가 이런 것이다. 이 때 입을 쭈삐 내밀고 연음발음을 하면 더 귀엽다. 등을 좌우로 살랑살랑 흔들어도 즉각적인 효과가 있다. 남자들이 할 경우, 음폭을 최대한 중후하게 해야 멋이 난다.
주의사항 : 부산사람이 서울말 반에 부산말 반 섞어 이야기 한다면 면박을 주자. 누가 들어도 당신이 잘했다고 할 것이다.
9. 내사 괘안타
가지기는 싫고 남 주긴 아까운 심정을 노래한 문장이다. 주로 나비처럼 날아온 여인을 놓쳤거나, 남정네를 다른데 빼앗긴 사람들이 즐겨 쓰는 말로 "..."는 절대 안 괜찮다는 대의가 숨어있다. 수많은 아쉬움과 회한이 함축되어 듣는 이의 마음을 아프게 한다. 예외적으로 가끔 지역사회를 배경으로 한 드라마에서 중년의 여인이 이 대사를 읊을 때가 있는데, 반드시 스토리 전개를 참조해가면서 문장을 파악해야 한다.
♧ 기타 약식 숙어
◆ 알라 오줌 만키로 : 갓난아기 오줌만큼 (매우 작은 양 = a little bit of)
◆ 됐다! 그마해라!: 이제 그만 좀 해둬! (이렇게 나오면 진짜 화난거다)
◆ 니 내 존나? : 사랑해, 니 마음은 어때?
◆ 맞나? : 오 그래?(상대방에게 장단 맞추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표현이다. 낮게 발음하면 상대방의 이야기를 듣고 있다는 증거로 입증되며, 고음 처리하면 방정맞게나마 동의한다는 심정을 표현할 수 있으므로 역시 활용빈도가 높다.)
※ 동의어 : "~글나?", "진짜가?", "대뽀아니고" 이 밖에도 성격 좋은 척 하려면 "고마 웃기" 또는 "실실 쪼개기" 등의 언어적 기술에 승부를 보라.
고등학교 수학 선생님
=고다꾜 쏵쌤(9:5)
-저것은 무엇입니까?
=저기 뭐꼬?(2:1)
-할아버지 오셨습니까?
=할뱅교?(3:1)
-저기 있는 저 아이는 누구입니까?
=쟈는 누고?(13:4)
-니가 그렇게 말을 하니까 내가 그러는 거지, 니가 안 그러는데 내가 왜 그러겠니?
=니 그카이 내 그카지, 니 안 그카믄 내 그카나?(31:17)
-나 배고파!/ 밥 차려놨어! 밥 먹어!
=밥도!(2:1)/ 자! 무라!(8:3)
-어, 이 일을 어떻게 하면 좋아?
=우야노!(11:3)
-어쭈, 이것 봐라! (2:1)
=이기요!
-너 정말 나한테 이럴 수 있니?!
=팍! (11:1)
-왜 그러시는 가요?
=멍교?(7:2)
-야, 그러지 좀 마!
=쫌!(6:1)
-이 물건 당신 건가요?
=니끼가?(8:3)
-네, 그건 제 물건입니다.
=인 도!(9:2)
-어디에 숨기셨나요?
=우쨌노?(7:3)
경상도방언-가족
표준말 |
사투리 |
표준말 |
사투리 |
할아버지 |
할부지, 할배 |
할머니 |
할무이, 할마시, 할매 |
아버지 |
아부지 |
어머니(시어머니) |
어무이, 어매(시어마이) |
형아 |
히야, 시야 |
누나 |
누부 |
너 |
니 |
첩 |
첩사이 |
아범 |
아바이 |
애들을 낮추어 부를때 |
종내기 |
아주머니 |
아지매, 아주무이 |
이놈아 |
임마 |
|
|
저놈아 |
절마 |
아이들 |
아들 |
이 아이가 |
야가 |
너하고, 나하고 |
니캉, 내캉 |
오라버니 |
오라바이 |
어린애 |
얼라, 알라 |
어미 |
어마이 |
그 아이가 |
가가 |
계집애, 가시내 |
지지바, 가시나 |
아이 |
아 |
사나이, 사내 |
머스마, 머시마 |
다른사람 |
다리 |
올케 |
월깨 |
저, 제가 |
지, 지가 |
자기가 |
지가(지가 기면서) |
곱사등이 |
곱사디, 꼽사디 |
벙어리 |
버버리, 뻘찌 |
점쟁이 |
점바치 |
문둥이 |
문디 |
거지 |
걸배이, 거러지 |
쌍둥이 |
쌍디 |
땜장이 |
때임재이 |
놈팡이 |
놈패이 |
깍쟁이 |
깍재이 |
멋장이 |
멋재이 |
엿장수 |
엿재이 |
시매부 |
시매시 |
미치광이 |
미친개이 |
장돌림 |
장똘배이 |
여편네(여편네들) |
인네, 안들 |
말랐는 사람 |
빼빼, 빼빼장구 |
잠을 많이 자는 사람 |
잠충이, 잠치이 |
뚱뚱보(뚱보) |
뚱땡이,뚱띠 |
잘 조는 사람 |
자부래미 |
병신 |
빙시 |
절름발이 |
찐빠리 |
앉은뱅이 |
안질배이 |
|
|
|
|
- 재밌는 경상도 사투리 -
안득깁니다!
" 안득기(B)가 선생님(A)께 불려 나갔습니다.
A : 니 이름이 뭐꼬?
B : 안득깁니다.
A : 안드끼나? 니그. 이. 름. 이. 머. 냐. 꼬오? 드끼제?
B : 예 !
A : 이 자슥바라. 내 니 이름이 머라꼬 안 무러보나?
B : 안득깁니다.
A : 정말 안드끼나?
B : 예 !
A : 그라모 니 성말고, 이름만 말해 보그라.
B : 득깁니다.
A : 그래! 드끼제? 그라모 성하고 이름하고 다대 보그라.
B : 안득깁니다.
A : 이자슥바라. 드낀다캤다,안드낀다캤다. 니 시방 나한테 장난치나?
B : 샘요 그기 아인데예!
A : 아이기는 머가 아이라! 반장아 퍼뜩 몽디 가온나!!
(껌을 질겅질겅 씹고 있던 반장은 안씹은척 입을 다물고 나간다)
반장 : 샘예. 몽디 가 왔는데예.
A : 이 머꼬? 몽디 가 오라카이 쇠파이프 가 왔나?
햐~! 요시키 반장이라는 시키가...(칭구를 직일라꼬 작정했꾸마)
야~! 시캬! 니 이반에 머꼬?
반장 : 예?? 입안에...껌인데예.......
A : 머라꼬? 니 이반에 껌이라꼬? 느시키 둘이 낼로 가꼬 노나? 어이~!
(우리네 교육 현실도 이렇게 커뮤니케이션이 안되는건 아닐런지...)
..................................................................................................................................
경상도 교사
경상도 출신 초등학교 교사가 서울로 발령을 받았다
첫 수업이 시작 되어
연못 속의 작은 생물들"이란 단원을 가르치게 되었다.
생물들의 그림을 보여주며 선생님은 다음과 같이 말했다.
"연못 속에 작은 생물들이 억수로 많제~~,그쟈?"
아이들이 의아한 표정으로 선생님을 바라보며
"선생님!, 억수로가 무슨 말입니까?" 하고 물으니
선생님은 "그것도 모르나???, 쌔-삐맀~따는 뜻 아이가~?"
아이들이 또 눈을 깜빡거리며
"선생님~!!, 쌔-삐맀따는 말은 무슨 뜻인데요?"
선생님은 약간 화가났습니다
그것은 수두룩 빽빽!!하다는 뜻이야!
다시말해서 항~거석 있다는 말이다.
그래도 이해를 못한 아이들은 선생님께 다시 물었다.
선생님, 수두룩 빽빽과 항거석은 또 무슨 말입니까?"
그렇게 설명을 자세하게 해 주었는데도 아이들이 이해를 못하자
화가 머리 끝까지 오른 선생님은 다음과 같이 외쳤습니다.
이 바보들아~!!
연못속에 작은 생물들이 천지빼가리 있다!! 이 말 아이가!!??
쬐매한 못에 생물들이 쌔비맀다카이
..................................................................................................................................
고구마와 고메
이것은 실화이다.옛날에 장학퀴즈에 진주 고등학교 팀이 출전한 적이 있었다.
문제-차인태: 이 식물은 조선말 구황작물로 일본에서 도입된 것으로 뿌리를 주로 식용하며 당분 함량이 많아 단 맛이 납니다. 감자와 함께 가장 즐겨먹는 구황작물로....
진주 고등학교 학생: 삐이..
차인태: 네, 진주고 모모모 학생...
진주고팀: 네 고메 입니다. (고구마의 사투리)
차인태: 아닙니다....
진주 고등학교 학생: (다급한 목소리로) 무- 무- 물고메요
다른팀: 삐이.....
차인태: 네.** 팀.
다른팀: 고구마입니다.
차인태: 네, 정답입니다....
진주고팀: !!!!!!!!!!!!
..................................................................................................................................
● "누구를 위하여 종은 울리나"
☞ 종아 니 와 우노?
● 통행에 불편을 드려서 죄송합니다.
☞ 나댕기는데 휘떡 뒤비나가 죄송합니데이
● "빨간 벽돌집 아가씨는 정말 예뻐요"
☞ 뻘건 보루코 집 가시나 직인다 지기
● "이야 너 립스틱 색깔 이쁜데~~~"
☞ 니 주디 와 그카노?
● "멋진 아가씨"
☞ 문디 가시나..
● "멋진 아저씨"
☞ 문디 자슥..
● "난 널 사랑해"
☞ 내 디져도 그런말 몬한다...
(경상도에선 욕이 아님...너그러운 이해를..)
● 아직도 그대는 내 사랑
☞ 시방도 니는 내끼다.
● 바다에 물고기들이 떼로 몰려 다닌다.
☞ 갱물에 괴기들이 떼거지로 댕긴다.
● 저 높은 곳을 향하여
☞ 저 만댕이를 꼬내서
● 해볼 테면 해봐!
☞ 히 볼티면 히봐. 히 보랑겨!
● 모두 엎드려
☞ 마~! 카! 수그리!
● 전번과 같이
☞ 아까 맹키로
● 옆으로
☞ 여풀때기로
● 통행에 불편을 끼쳐드려 대단히 죄송합니다.
☞ 댕기는데 걸그치서 억시기 미안쿠마
펌글..........
첫댓글 ㅎㅎㅎ 방대한 양의 경상도 사투리 사전이 집대성 되었구만..
"헌데 말랐는 사람"도 경상도 사투리 아녀?ㅎㅎ
저는 아무것도 몰라라~~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