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정보
지산조아
 
 
 
카페 게시글
고전의향기 스크랩 정지상(鄭知常)-송인(送人)
지산 추천 0 조회 2 07.08.07 14:20 댓글 0
게시글 본문내용
   
                 이 사진은 서예세상에 화벽님이 올리신 경주보문호 사진입니다
 
 송인(送人)
 
 
   정지상(鄭知常)

  
    雨歇長堤草色多(우헐장제초색다) 비 갠 긴 둑에 풀빛이 진한데, 

    送君南浦動悲歌(송군남포동비가) 남포에 임 보내니 노랫가락 구슬퍼라.

    大洞江水何時盡(대동강수하시진) 대동강 물은 어느 때나 마를 건가?

    別淚年年添綠派(별루년년첨록파) 해마다 푸른 물결 위에 이별의 눈물만 더하네.
 
 
 자구풀이

送人 : 사람을 떠나 보냄. 雨歇 : 비가 그침. ‘헐(歇)’은 쉴 헐  長堤 : 긴 둑.
草色多 : 풀빛이 짙음. ‘풀빛이 선명함'을 일컬음. ‘다(多)’는 짙음, 푸르름, 선명하다는 뜻.
送君 : 친구를 보냄. 南浦 : 대동강 하구에 있는 진남포. 動悲歌 : 슬픈 이별의 노래가 울림. 別淚 : 이별의 눈물. 添綠波 : 푸른 물결에 보태어 줌.
 
 삼도헌과 함께 맛보기

 정지상의 <송인(送人)>은 『동문선(東文選)』등에 실려 전하는 우리나라 한시 중 송별시(送別詩)의 백미로 일컬어진다. 이 시는 이별을 제재로 한 한시의 걸작이며, 중국 왕유의 시 <송원이사안서>와 함께 이별시의 압권으로 평가되고 있다. 기구에서는 비내린 뒤 강변정경을 그리고 있다. 비극적 정서를 자아냈던 비도 그치고 강 언덕 긴 둑에 한결 짙어진 풀빛은 지속될 한의 길이를 상징하고 있다. 승구의 슬픈노래는 이 시의 주제이기도 하고, 효과음이기도 한데, 강나루에 은은히 울려 퍼지는 뱃노래의 구슬픈 가락은 심금에 와 부딪히는 울림이라고 읊조린다. 전구에서는 이별과 상관없이 유유히 흘러가기만 하는 푸른 강물에 대한 애꿎은 원망을 표현하며, 이 시를 대표할만한 별루(別淚)라는 시어로 흐르는 강물을 바라보는 작가의 심정을 드러내고 있다. 결구에서는 해마다 강물을 바라보면서 이별의 슬픔을 노래할 사람이 있어서 강물이 마르지 않을것이라는 뛰어난 시어로 마감하고 있다.

 이 시는 한시를 짓는 소객(騷客) 가운데 평하지 않은 사람이 없을 정도로 많은 사람의 사랑을 받고 있다. 또한 이 시는 대동강의 부벽루(浮碧樓) 정자에 걸려 있는데, 이 부벽루에는 고려, 조선 시대의 숱한 시인들이 여기에 올라 대동강의 아름다움을 읊었다고 한다. 중국에서 사신이 올 때는 반드시 평양에 들렸고, 평양에서 꼭 찾는 명소가 부벽루였는데 거기에 걸려있는 이 시를 보면서 모두 신품(神品)으로 극찬하였다 전하니 국내외에서 높은 평가를 받은 유명한 시이다.
 
 정지상 [鄭知常, ?~1135]

고려시대 문신으로 1114년(예종 9) 문과에 급제, 1127년(인종 5) 좌정언(左正言)으로서 척준경(拓俊京)을 탄핵하여 유배되게 하고, 1129년 좌사간(左司諫)으로서 시정(時政)에 관한 소를 올렸다. 1135년(인종 13) 묘청의 난 때 이에 관련된 혐의로 김안(金安),백수한과 함께 김부식(金富軾)에게 참살되었다. 시(詩)에 뛰어나 고려 12시인의 한 사람으로 꼽혔으며 역학(易學),불전(佛典),노장철학(老莊哲學)에도 조예가 깊었다. 그림,글씨에도 능했으며 저서로는 《정사간집(鄭司諫集)》이 있다.
 
 
 
 

 

 

 

 

 

 

<출처;blog.empas.com/meongseog>

 

 

 

 

 
다음검색
댓글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