벽지에 페인트 칠하는 것과 관련하여
여러가지 의견이 있으며 문의를 많이 합니다
즉 벽지에 페인트만 칠하면 되는지?
칠하기전에 초벌재를
칠해야하는지?
칠한후 마감재를
칠해야하는지?
특히 실크벽지와 시멘트면 등에 칠할때
초벌재(젯소 또는 프라이머)를 칠해야하는지를 많이 문의합니다
이는 페인트 종류에 따라 다를수 있습니다만
대부분 별도 초벌재를 칠하지 않고 바로 페인트를 벽지에 칠하면 됩니다
초벌재 역할을 보면 접착력을 좋게하고 기존
색상을 은폐하는 역할을 합니다
초벌재를 칠해야한다고 하는
이유는
실크벽지가 매끄러우니 젯소를 칠해야한다는
것입니다
페인트가 접착력이 약한 경우에는 젯소를
칠해야 겟지만 대부분 페인트는 그정도의 접착력이 있기 때문에
젯소를 칠하지 않고 바로 페인트를 칠하면
됩니다
그리고 시멘트면에 젯소를 칠한후 페인트를
칠해야한다는 경우에는
시멘트면의 기존 색상을 은폐하는 역할을 하는
것입니다
그러나 젯소를 칠하여 은폐하는 방법도 잇지만
페인트를 2회 정도 칠하면 거의 은폐가 가능합니다
만약 은폐가 덜 되면 페인트를 1회 더
칠해주는 것이 효과적이고 경제적입니다
요약을하면 실크벽지나 시멘트면에 페인트
칠할때 대부분의 페인트는
젯소를 칠하지 않고 바로 페인트를 칠하면
됩니다
젯소를 칠한후 페인트를 칠해야하는 페인트는
젯소 비용이 추가되기 때문에 비용도 많이들고
젯소 칠하는 작업이 추가되기 때문에 시간이
더 걸리고 번거롭습니다
그래서 벽지에 페인트 칠할 경우 젯소를
칠하지 않고 벽지에 바로 칠하는 페인트를 선정하는 것이
경제적이고 효과적입니다
그리고 벽지에 페인트를 바른후 나중에 때가
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마감재인
바니쉬를 칠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에도 바니쉬가 페인트보다 더
비싸기 때문에 미리 때 타는 것을 방지하려고
바니쉬를 칠하는 것보다 나중에 때가 타면
차라리 페인트를 다시 칠하는 것이 비용도 덜 들로
색상도 깨끗하게되고 더
좋습니다
그다음 벽지에 페인트 바를 경우 제품선정이
중요합니다
벽지페인트가 유해성물질이 있을 경우 벽면에서
냄새가 나거나 유해성물질이 배출된다면
저녁에 잘때 호흡기를 통하여 체내로
흡수하게되면 건강 악화 요인이 될 수 있습니다
그래서 페인트에서 유해성물질이 없거나
최소화된 제품을 사용해야합니다
그리고 칠한후에 벽면에서 음이온발생 등
기능이 있는 제품이면 더욱 좋습니다
항균기능이 있으면 곰팡이방지에
효과적입니다
사이트를 둘러보시면 벽지에 칠하는 페인트에
관한 정보가 있으니 필요하시면 참고하식 바랍니다
벽지용 천연페인트 제품보기 - 클릭이동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