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9월 5일 함양 산삼축제와 물레방아축제를 미리 보기 위하여 갔었는데 비가 오는 바람에 옳게 구경도 못하고 꽃무릇도 한창 줄기가 올라오는 상태라 꽃도 보지 못하고 돌아 왔다.
그 뒤 9월 11일 다시 갈려고 했는데 비가 와서 못가고 9월 16일 가기로 했는데 일기예보에 비가 온다는 예보가 있어서 포기 했었다. 그런대 비는 한방울도 안왔다. 엉터리 일기예보 때문에 공치고 드디어 9월 18일 함양 축제가 끝난뒤에 갔다왔다.
한가지 다행한 것은 함양축제는 끝났지만 산청한방약초축제를 볼 수 있었던 것이었다.
날씨도 쾌청하고 꽃무릇도 한창이고 전에 못보았던 황화코스모스가 장관을 이루고 있었다.
함양에는 여러 가지 꽃들을 정성들여 가꾸고 볼곳도 많았는데 이번에는 주마간산으로 보았지만 1박2일 정도는 해야 거의 볼 수 있늘 것 같다.
동영상 보기 행운























요즘 주변에서 코스모스를 쉽게 볼 수 있다.
경주 첨성대와 함양 상림공원등에 황화코스모스가 만개해서 사람들이 사진을 많이 찍으러 다니는데 황화코스모스와 금계국을 구별을 잘 못하는 분이 의외로 많다.
금계국을 노랑 코스모스라고 부르는 사람도 많은데 그건 좀 아니다.
위에 사진을 보면 꽃모양은 다 비슷비슷한데 하지만 자세히 보면 다 다르게 생겼다.
금계국은 병아리처럼 샛노란 색이고 코스모스보다는 꽃잎이 통통하고 황화코스모스보다는 조금 덜 통통하다.
코스모스는 여름부터 가을까지 피고 황화코스모스는 늦여름부터 가을에 피지만 금계국은 여름에 핀다. 그래서 여름에 금계국과 코스모스가 같이 피면 금계국을 노랑코스모스로 오해하기도 한다.
황화코스모스는 주황색에 더 가깝다.
나는 황화코스모스 보다 흰색, 연분홍, 진분홍등 색이 여러가지인 코스모스를 더 좋아하는데
삼락공원이나 태화강대공원등에 거의 활짝 피었다고 하는데 보러 갈까???

























값싼 당뇨약 메트포민, '무병 장수약'으로 뜨나?
이진희 : 기사입력 2017-09-10 20:20 최종수정 2017-09-10 20:52
◀ 앵커 ▶
값싼 당뇨병 약이 암과 심장병, 치매를 예방하고 노화 속도를 늦추는 무병 장수약으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임상 시험을 앞두고 인간 수명을 획기적으로 연장할 수 있을지 기대감도 커지고 있습니다.
뉴욕에서 이진희 특파원의 보도입니다.
◀ 리포트 ▶
당뇨병 전조 증세가 있었던 59살의 변호사 마이클 캔터 씨.
당뇨병 치료제 메트포민을 복용한 뒤 당 수치가 정상으로 돌아왔지만, 건강을 위해 이 약을 계속 복용하고 있습니다.
[마이클 캔터/변호사]
"나에게 이 약은 기적의 약입니다."
이 약은 지난 60여 년간 가장 보편적인 당뇨병 치료제로 사용됐습니다.
한 알에 50원이 조금 넘는 값싼 약이지만, 암과 심장병, 치매 등 노인성 질병을 예방하고 인간의 수명을 획기적으로 연장해 줄 물질로 다시 조명을 받고 있습니다.
미국 알버트 아인슈타인대학교의 노화방지 연구팀은 지난 2014년 영국인 18만 명의 의료 기록을 조사해, 메트포민을 복용한 당뇨 환자가 다른 당뇨약을 쓴 환자보다 더 오래 살았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습니다.
심지어 이 약을 복용한 70대 초반 당뇨 환자들은 당뇨가 없는 같은 연령대 노인보다 생존율이 15% 더 높았습니다.
어지러움과 메스꺼움 등의 부작용이 생길 수 있어, 건강한 사람이 굳이 복용할 필요는 없다는 전문가도 있습니다.
하지만 바질라이 교수 연구팀은 곧 노인 3천 명에 대한 임상 시험으로 효과를 입증한 뒤, 노화 방지약으로 개발할 계획입니다.
[니르 바질라이/아인슈타인대학교 노화 연구소장]
"노인성 질환 발병을 2~3년 더 늦출 수 있다면, 그 효과는 2050년까지 7천7백조 원에 이를 것으로 추산됩니다."
노화 방지약이 나오면 늙는다는 것을 삶의 당연한 과정이 아니라, 치료해야 할 질병으로 분류하게 될지도 모른다고 노화 전문가들은 전망합니다.
뉴욕에서 MBC뉴스 이진희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