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간판탈출증(경추간)
1. 추간판탈출증(경추간)의 분류
가. 연성 추간판탈출증
수핵이 섬유륜을 뚫고 탈출하여 신경조직을 압박하는 상태이며, 어느 연령층에서나 올 수 있으며 외상과 관계가 깊고, 해부학적 구조 때문에 후측방보다는 후중앙부에 많이 돌출되어 척수압박이 발생하고 사지의 운동약화나 배뇨와 배변의 장애를 보이는 척수병증을 보이는 경우가 드물지 않다.
후측방으로 탈출되면 신경근 압박에 의한 상지의 방사통과 근육의 약화가 올 수 있다.
나. 경성 추간판탈출증
진정한 의미의 추간판탈출이 아니고 퇴행성 변화인 추간공 골극에 의해 일어나므로 경추척추증 및 Luschka 관절비대가 동반되며, 후측방 돌출에 의한 신경근 압박이 많다.
2. 증상
가. 증상 : 연성과 경성 추간판탈출증의 증상은 거의 같아서 목을 마음대로 움직일 수 없으며, 경부통증, 견갑골내측의 흉배부 통증 그리고 상지로 뻗치는 방사통의 특징적인 증상을 일으킨다. 또한 정도의 차이는 있으나 상부 전방 흉부의 동통이 유발되는 경우도 있어서 심장질환과의 감별이 필요한때도 있다.
탈출된 추간판 또는 골극에 따라서 경추신경근만을 혹은 척수만을 혹은 해당부위의 신경근과 척수를 같이 압박하여 각각 척수신경근병증, 척수병증, 척수병-척수신경근병증의 증상을 일으킨다.
나. 검사방법 : 머리를 약간 뒤로 젖히고 외측으로 돌린 다음 머리위에서 아래로 누르면 동통이 심화되면 이러한 현상을 Spurling`s sign양성이라 하고 신경학적 검사상 가장 의미있는 징후이며,
고개를 앞으로 숙이거나 혹은 뒤로 젖힐 때에 흔히 호소하는 신경학적 증상으로 흉복부 또는 등쪽 몸통 혹은 팔, 다리로 찌릿찌릿하게 전기오는 듯한 증상이 유발될 수도 있는데 이 증상은 자세로 인해서 척수가 앞에서 기계적으로 더욱 눌릴 때에 탈수상행로가 자극되어 자발적으로 방전을 하면서 나타는 소견으로 Lhermitt`s sing 양성이라고 하며 척수가 압박 당함을 뜻하는 징후임.
다. 부위별 증상
① C4-5 추간판탈출증 : 제5경추 신경근이 압박되어 상지의 삼각근 외측부위에 동통과 삼각근, 상, 하극근의 운동약화가 오며 때로는 이두근 운동약화나 이두근 반사의 감퇴를 볼 수 있다.
② C5-6 추간판탈출증 : 제6경추신경근이 압박되며 전박부의 배면과 상지의 상단 측방으로 방사되는 통증과 지각이상을 볼 수 있다. 특히 동통과 지각이상은 무지와 시지에서 관찰되며 이두근과 상완요골근의 운동약화가 온다.
③ C6-7 추간판탈출증 : 제7경추신경근이 압박되어 시지와 제3지에 지각이상이 나타나고 삼두근의 운동약화와 삼두근의 반사가 감퇴된다.
④ C7-T1 추간판탈출증 : 제8경추신경근이 압받괴어 지각이상을 상지와 전박의 척골측에서 보이며 동통은 제4, 5지 부위에서 심하다. 또 손목의 신전요골근을 제외한 수근의 모든 신전근들과 수근요골근을 제외한 모든 굴절근의 운동약화를 보이며 손의 고유근의 운동약화가 보인다.
⑤ 그 외에도 추간판이나 골극이 주로 후중앙부로 돌출되는 경우에 척수가 앞에서 눌리면 전척수증후군을 일으킬 수도 있다.
3. 수술적요법
가. 접근방법에 따른 분류
수술은 전방접근과 후방전근법이 있는데, 주로 전방접근방법은 중앙부 탈출된 추간판뿐만 아니라 추간공으로 파급된 추간판탈출이나 골극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수술으로 기관지와 경동맥 사이로 추체골에 접근하여 돌출된 추간판과 상하의 골극을 제거하여 척수 및 신경근을 감압한다.
나. 골유합 여부에 따른 분류
디스크만을 제거하고 골유합을 않는 수술과 디스크를 제거하고 환자 본인의 장골 또는 비골을 이용하는 자자골 이식을 하거나, 동종골이식을 이용하여 시행하는 전방척추체간 고정술 등이 있다.
(이러한 내고정술은 골유합이 일어나 인접 운동분절에 과도한 하중을 줌으로써 퇴행성변화가 더욱 빨리 진행되는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 신경외과학(발행 : 대한신경외과학회)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