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제금시세 동향]
밤사이 1온스당(=트로이온스/1oz=31.1035g) 1,099.50$ ~ 1,112.10$의 변동폭을 보이던 국제금시세는 현재 1,112.60$입니다. 강력한 상승으로 인하여 어제 온스당 1,100$를 돌파하여 1,112.10$ 달러를 돌파하는 괴력을 보여준 상황입니다. 돌파의 이유로는 여러가지가 있지만 가장 중요한 포인트는 세계경제 상황입니다.
최근 인도중앙은행에서 IMF가 내놓은 200톤의 금을 69억달러(=오늘매매기준율적용)에 매입한 소식을 출발점으로 1,088.50$ 돌파하며 연말에 돌파할것으로 보이던 금값은 1,100$를 넘어서 1,112.10$를 기록 국제금값상승에 대한 불안감이 조성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이런 상황속에서 스리랑카에서 인도만큼은 아니지만 금을 꾸준하게 매입중이라는 소식이 전해지고 있습니다. 인도의 경우 주얼리분야와 보석가공에 메카인곳에서 주얼리 생산량은 줄고 골드바 구매가 크게 늘었다는것은 달러헤지와 연관성이 있다고 볼수 있습니다.
미정부가 올해들어 금융위기를 극복하고자 막대한 달러를 발행하면서 인플레이션 발생에 대한 불안감으로 달러자산이 금(GOLD)으로 전환되는 상황이 발생하였고 특히 기업이나 투자회사가 아닌 개인투자자들이 직접 투자를 하는 경우가 많아졌으며, 세계경제상황에 맞추어 각 나라마다 금의 구입량을 늘리거나 대량으로 금을 구입하려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달러에서 안전자산인 금으로 분산투자를 하여 효율성을 높이는 상황입니다.
6일날 미국 월간 실업율이 10% 넘었다는 소식에 국제유가가 떨어지는 상황이 발생된것처럼 미국의 경제상황이 세계경제 흐름에 큰영향을 주고 있는 상황입니다. 미국의 해당 퍼센트의 실업율은 1983년 이후로 거의 26년만에 처음으로 발생된 하였습니다. 금융위기와 세계경제의 회복에 대한 불안감이 아직도 전세계적으로 느끼고 있기 때문에 안전자산으로서 금의 가치에 대하여 생각을 해보게 되는 시기입니다.
국내 금시세의 경우 국제시세의 급등세와 달리 원달러 환율의 하락으로 인하여 어제보다 500~1,000원 사이의 소폭 상승세를 보여주고 있으며, 금의 추가 상승을 예상한다면 원달러 환율이 낮을때 금을 구입하는것이 좋으며, 개인이 금을 매도하실경우 10월~11월중에 가장 고가의 매입시세이므로 오늘 파시는것도 좋을것 같습니다. 국내 금매매의 경우 국제금시세가 급등하면 원달러 환율이 떨어지있고 금값이 소폭상승한것으로 보아 오늘 금을 사고 팔기에는 좋은 상황입니다.
[원/달러 시장동향]
오늘 미국시장의 원달러 환율은 1,160.50원으로 하락세를 보이며 마감하였습니다. 미국 증시의 급등과 글로벌 달러의 약세로 인하여 어제부터 환율이 급락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1,150~1,160 사이를 오가며 하락세를 보일것으로 예상되며 국내외 시장에서 팔자는 매도성 물량이 많이 나올것으로 보이므로 하락세에 압력을 가할것으로 보여집니다.
그러나 외환당국이 하락세의 상황에서 개입 강도를 높일수 있는 상황이 발생될 수 있기 때문에 추가하락은 쉽지 않을것으로 예상됩니다. 국내외 경제상황에 영향을 크게 받고 있는 상황이므로 당분간 각종 정보에 대한 모니터링도 필요할것으로 보입니다. 오늘의 예상환율은 매매기준율은 1,150원 ~ 1,167원 사이로 예상됩니다.
첫댓글 많은 정보에 감사
앞으로도 관심가져 주시구요. 앞으로도 좋은 정보를 더열심히 올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이런정보는 어디서 구하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