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교구 소속 본당. 경남 울산시 울주군 언양읍 송대리 422소재. 1926년 12월 5일 부산(현 범일) 본당으로부터 분리 · 설립되었으며, 주보는 그리스도 왕.
전사 및 공소 시대 일설에는 이 지역 출신 오한우(베드로)가 1790년에 영세한 뒤 신유박해 때 충청도 지역에서 관헌에게 체포되어 백지사(白紙死)를 당했으며, 오한우와 같이 영세한 김교희가 박해를 피해 내간월 불당골(佛堂谷, 현 울주군 상북면 등억리)로 숨어들어 교우촌을 형성하였고, 그리하여 언양 지역에는 이미 1800년대 초에 교우촌이 형성되어 있었다고 한다. 그러나 이러한 내용이 교회 측 자료에 전혀 나타나지 않으며, 또 백지사가 병인박해 와서야 비로소 시행된 사형의 한 방법이었던 점을 고려해 볼 때, 그 근거는 매우 희박한 편이다.
일반적으로 경상도 남부 지역에 신앙 공동체가 형성된 것은 1815년 을해박해 이후로 추정하고 있으며, 언양 지역은 그보다 훨씬 더 늦었던 것으로 짐작된다. 이 지역에는 경남 최초의 공소인 내간월 불당골 공소가 있었는데, 불당골은 김재권(金在權, 프란치스코)이 박해를 피해 이곳으로 이주해 온 뒤 다른 신자들과 함께 신앙 공동체를 형성했던 곳이다. 불당골은 선교사들을 맞이할 무렵 공소로 변모하였으며, 최양업(崔良業, 토마스) 신부와 다블뤼(A. Daveluy, 安敦伊) 주교가 방문하여 차례로 공소를 치르던 1850년대 말에는 언양 일대가 신자들의 집단 거주 지역으로 변모되어 간월, 죽림(대재, 죽령, 죽림골), 탑곡, 예씨네골, 진목정 등지에 교우촌이 형성되었다.
언양 지역의 교우촌들은 병인박해 때 심한 타격을 입었다. 문헌상으로 나타나는 이 지역 최초의 순교자는 김사집(필립보)으로, 그는 1866년 11월 진영 포졸에게 체포되어 이듬해 5월(음력)에 순교하였는데, 그때 그의 나이 23세였다. 이어 언양 대재[竹嶺] 교우촌에 살던 허인백(許仁伯, 야고보), 김종륜(金宗倫, 루카), 이양등(李陽登, 베드로) 등 3명이 1868년 9월 14일(음력 7월 28일)에 체포되어 울산 장대(將臺)에서 순교하였다.
박해가 끝난 뒤 교우촌이 재건되면서 1882년 대구(현 계산동) 본당의 주임으로 임명되어 경상도 지역을 담당하게 된 로베르(A. P. Robert, 金保祿) 신부가 1883년에 살티 공소를 설립하였는데, 이때의 신자수는 38명이었다. 이듬해에는 언양읍 공소도 설립되었다. 이 지역은 조조(M. Jozeau, 趙得夏) 신부가 1890년 초 부산 절영도에 정착하여 부산(정식 명칭은 초량) 본당을 설립하게 되면서 새 본당 소속이 되었다. 그 후 1898년 1월경 명례 임시 본당(현 밀양 본당)으로 잠시 이관되었다가 1901년에 부산 본당 관할로 환원되었다. 그리고 1904년 6대 주임 르 장드르(L. Le Gendre, 崔昌根) 신부 때에는 살티 공소 · 언양읍 공소 외에 순정 공소가 설립되었으며, 이 세 공소의 신자수는 153명에 달하였다.
본당 설립과 발전 언양 지역의 신자들은 이미 1888년부터 본당 설립을 위한 기성회를 조직하는 등 각고의 노력을 해왔다. 박우양(朴遇陽, 가브리엘) · 김문익(金文益, 안드레아)을 비롯한 이 지역 신자들의 노력에 힘입어 1926년 12월 5일 언양 본당이 설립되고 초대 주임으로 보드뱅(E. Beaudevin, 丁道平) 신부가 부임하였다. 이듬해 4월 4일 정식 임명을 받고 5월 14일 본당에 부임한 보드뱅 신부는 부임 즉시 성당 신축을 계획하였다. 그리고 1929년 봄 공사에 착수하여 1936년 10월 25일 성당과 사제관을 완공하고 드망즈(F. Demange, 安世華) 주교 집전으로 봉헌식을 거행하였다. 1940년 10월에 성가대, 1952년 8월에는 성모회가 조직되었다.
1954년 1월에 ‘소화 유치원’을 개원하였으며, 1956년 4월에는 울산(현 복산) 본당을 분리하고 356명의 교적을 이관하였다. 1957년에 강당을 마련하였고, 1962년에 성모상을 건립하였으며, 같은 해 7월에는 삼정 · 유촌 · 중리 · 소호 공소 강당을 신축하였다. 1974년 8월 25일 ‘안나 유치원’(옛 소화 유치원) 건물을 완공하였으며, 1976년 11월 5일에는 수녀원을 완공하고 축복식을 거행하였다. 1979년 11월 18일 세 명의 동정녀가 기증한 부지에 기증자의 이름을 따 ‘안나 데레사 회관’을 건립하였으며, 1981년 5월 24일에는 신용 협동조합을 창립하였다. 그리고 1986년 11월 9일에는 죽림굴 사적지를 발견하였으며, 1989년 7월 20일에는 사제관을 완공한 뒤 이듬해 12월 4일 옛 사제관 자리에 ‘신앙유물 전시관’을 개관하였다. [출처 : 한국가톨릭대사전 제9권]
보드뱅 신부가 직접 설계를 맡고, 명동 성당을 지었던 중국인 기술자들과 6년에 걸친 신자들의 피나는 노력으로 건립되어 봉헌식을 가진 언양 성당(사제관 포함)은 고딕식 형태로 부산교구의 유일한 석조 건물이다. 성당 뒷산에서 채취한 화강암으로 벽을 구성하여 들어서는 순간 시원한 냉기가 감돈다.
언양 성당은 또한 전국적 성소의 온상지로 70여 명의 성직자와 수도자 그리고 20여 명의 동정녀를 배출하였다. 또한 부산교구 내에서 가장 많은 5개의 공소를 둔 본당으로 순교선열의 발자취가 남아 있는 신앙의 뿌리가 되었다. 성당과 신앙유물 전시관은 2004년 9월 4일 대한민국 근대문화유산 등록문화재 제103호로 지정되었다.
성당 마당에서 대형 십자가가 세워져 있는 뒷산으로 올라가면 병인박해 순교자 오상선(오한우의 증손자)의 묘소가 나온다. 또 십자가의 길 기도를 바치면서 산을 따라 정상에 오르면 언양읍이 한눈에 내려다보이는 곳에 위치한 아름다운 성모동굴이 있다. 언양 성당에는 지역의 성지와 사적지를 소개하는 성지 안내원이 있다. 미리 연락을 하여 안내원의 설명을 들으며 성지를 돌아본다면 매우 뜻 깊은 시간이 될 것이다.
신앙유물 전시관 언양 성당과 함께 근대문화유산으로 지정되어 있는 신앙유물 전시관은 성당과 같은 형태의 석조슬레이트 건물이며 지하 1층, 지상 2층의 45평 건물로서 경사지에 지어져 반지하를 갖고 있다. 1936년부터 본당 사제관으로 사용되어 온 곳으로 1층은 주방, 2층은 신부님의 개인공간으로 사용되었다. 그 당시에는 예법이 엄격해서 식복사와 직접 만나는 것을 피하여, 물건이나 식사의 연결은 필요할 때마다 작은 종을 울려 의사표시를 하고 도르래를 움직여 1층과 2층간에 물건이 전달되었다고 한다.
언양 지역 천주교 선교 200주년을 기념하여 1990년 12월 4일 신앙유물 전시관으로 개관한 이곳은 신앙유물과 민속유물 등 총 700여 점이 전시되어 있고, 신앙유물은 교황청에 등록된 귀중한 자료들이다. 한번쯤 꼭 확인해 볼 유물로는 언양 천주공교협회 등 본당 단체들이 남긴 기록, 1800년대 초기의 독특한 성모상인 19cm 높이의 천상 모후상, 초기 천주교 포교 서적, 교리서, 성가책, 미사와 전례에 사용했던 제의와 제구, 해골이 새겨진 독특한 형식의 십자가들과 성 김대건 안드레아 신부, 성 앵베르(Imbert) 주교, 성 샤스탕(Chastan) 신부의 유해 등이 있다.
2층에는 민속유물로 선조들이 생활필수품으로 사용했던 물레, 절구통, 구유, 은비녀 등의 민속품들을 전시하고 있다. 전시관은 건물 안팎이 건립 당시의 원형을 잘 간직하고 있어 종교적 · 역사적으로도 의미가 큰 건물이다. 관람 시간은 오전 10-12시, 오후 2-5시까지다. [출처 : 부산교구 울산대리구, 들풀 바람 그리고 - 울산의 성지를 찾아서, 2010년, 내용 일부 수정 및 추가(최종수정 2011년 11월 22일)]
여름 휴가철이면 많은 사람들이 찾는 남해의 항구도시 부산에는 한국 천주교회의 초석을 이룬 순교자들의 귀중한 유물들이 차곡차곡 쌓여 있다. 지난 1982년 개관한 오륜대 한국순교자박물관(개관 당시 한국순교자기념관)은 소장품으로 볼 때 가히 한국 최고의 순교자 박물관이라 할 만하다.
뱃고동 소리 울리는 항구, 싱싱한 해물들이 지나는 사람들을 유혹하는 자갈치 시장, 파도가 철썩이는 해운대 해수욕장을 마다하고 흐르는 땀을 씻어 내면서 순교자들의 숨결을 찾아보는 것도 의미가 있을 것이다. 부산역에서 전철을 타고 30분 남짓이면 장전역, 여기서 마을버스로 10분 정도 거리에 위치한 오륜대 한국순교자박물관은 무성한 숲 사이에 자리하고 있다.
입구를 들어서면 먼저 예수성심상과 한복을 단아하게 입은 성모자상이 순례자들을 반기며 서 있고, 바위에 새겨진 “우리는 순교자의 후손”이란 글귀 너머로 박물관과 순교자 성당 그리고 그 뒤로 야트막한 산비탈에 우거진 숲이 시원하게 펼쳐진다. 박물관 외벽의 ‘오륜대 한국순교자박물관’이라는 명패를 보며 입구에 들어서면 “순교자의 후손은 살아 있다.”라는 글이 한눈에 들어와 자랑스러운 신앙 선조에 대한 뿌듯한 느낌을 갖게 된다.
박물관 옆에 있는 순교자 성당 앞에는 작은 배 하나가 눈에 띄는데, ‘라파엘호’라는 이름이 붙여진 이 배는 한국의 첫 사제인 김대건(金大建) 안드레아 신부가 사제품을 받고 페레올(Ferreol) 신부와 다블뤼(Daveluy) 신부를 대동하고 상해에서 제주도로 표류한 끝에 강경(江景) 부근 황산포(黃山浦)에 상륙한 배를 고증에 의거하여 절반 크기로 건조한 것이다.
그 옛날 이 땅에 복음의 빛을 건네주기 위해 거친 풍랑을 헤쳐 오던 김대건 신부가 뱃전에 선 모습이 눈에 선한데, 바로 그 옆에는 많은 천주교인들이 처형된 돌 형구가 놓여 있어 당시의 박해 상황을 한마디로 이야기해 주는 듯하다. 마치 맷돌같이 가운데 구멍이 뚫려 있는 이 돌 형구는 병인박해 당시 천주교인들의 학살로 민심이 동요되자 정치적으로 불안을 느낀 대원군이 ‘소리 없이 죽이는 기계’를 만들라고 명해 고안된 것이다. 수많은 천주교인들이 목에 밧줄이 매인 채 구멍을 통해 반대편에서 잡아당기는 우악스런 손길에 의해 목숨을 빼앗겼다.
성당을 왼쪽에 두고 돌아가면 십자가의 길과 묵주기도의 길이 이어지는데, 그 초입에 부산 순교자 8명의 무덤이 말끔하게 정돈되어 있다. 74세의 노구로 사형의 험한 꼴을 당한 이정식(요한), 그의 아들 이월주(프란치스코)와 아내 박조이(마리아) 등 일가를 포함한 8명의 순교자는 병인박해의 서슬 아래 1868년 9월 20일(음력 8월 4일) 부산 수영 장대(水營將臺)에서 군문효수형(軍門梟首刑)의 극형을 받고 순교했다.
이들 8명 중 이정식의 가족 4명의 시신은 친척들에 의해 수습되어 부산 동래구 명장동 산 96번지 부산 가르멜 수녀원 뒷산에 모셔졌다가 1977년 9월 19일 현재의 오륜대 한국순교자박물관 뒷동산으로 이장되었다. 다만 나머지 4명의 무덤은 찾을 수 없어 기념비만을 세워 두었다.
한국순교복자수녀회는 1946년 성 김대건 신부 순교 100주년이 되는 해에 방유룡(안드레아) 신부에 의해 ‘복음 선포와 순교자 현양’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한국순교복자수녀회는 설립 취지대로 순교자들의 정신을 기리고 순교 신앙을 후손 대대로 물려주기 위해 순교자 관련 유물과 교회사 관련 자료 등을 수집하거나 기증받아 이를 전시할 기념관 설립을 계획하였다. 마침 서울대교구에서 병인박해(1866년) 100주년 기념행사의 일환으로 1967년에 절두산 순교기념관(현 절두산 순교성지박물관)과 성당을 건립하자 한국순교복자수녀회는 서울에서 가장 멀리 떨어진 부산 지역에 한국순교자기념관을 건립키로 결정하고 현 오륜대 부지에 분원을 설치하였다.
부산 수영 장대에서 죽음으로써 신앙을 증거한 8명의 순교 100주년(1968년)을 기념해 오륜대에 한국순교복자수녀회 분원을 설치하고 곧이어 순교자기념관 및 순교자 성당 건립이 추진되었다. 1977년 7월 20일 제대 뒷벽에 한국 순교성인 유해 26위를 안치한 순교자 성당 축복식에 이어 1981년 10월 5일 한국순교자기념관 축복식과 척화비 복제, 라파엘호 모형 제작, 십자가의 길, 묵주기도의 길, 성모동굴 조성 등을 마쳤다.
1982년 9월 25일 개관한 현 오륜대 한국순교자박물관에는 한국순교복자수녀회 창설 초창기부터 윤병현(안드레아) · 홍은순(라우렌시오) 수녀 등 많은 수녀들이 전국에서 수집 · 연구하고 간직해 온 순교자들의 유물과 서책(書冊) 및 형구(刑具) 등이 풍부하게 전시되어 있어 양이나 질적인 면에서 매우 우수한 박물관으로 정평이 나 있다.
모두 3층으로 이루어진 박물관의 1층 한국 천주교회사 전시관에는 순교자들과 관련된 유물과 유품, 각종 자료와 형구 등이 전시되어 있고, 2층에는 한국교회사 · 궁중유물 · 오륜당(민족자료) · 성모성년 · 기념자료 전시관이 설치되어 있다. 3층에는 김인순 루갈다 기증품(민속품)과 도예작품 전시관과 특별 전시실이 마련되어 있고, 특별 전시실에서는 수시로 가톨릭 관련 전시 및 성화전 등을 기획하여 전시하고 있다.
1층 전시관 가운데에는 한꺼번에 많은 사람들을 죽이기 위해 고안된 대들보 사형틀이 있어 당시의 참혹한 광경을 연상케 한다. 또 죄인을 참수할 때 사용한 칼인 행형도자(行刑刀子), 태형이나 장형을 행할 때 쓴 태형대, 수십 종의 곤장, 목에 쓰는 칼 등이 철저한 고증에 의해 그 형태가 복원되어 전시되고 있다.
성 김대건 신부의 유물 중에는 유해를 관에 넣고 그 위를 덮었던 횡대(橫帶)와 친필 서간 등이 있고, 다산 정약용(세례자 요한), 성 베르뇌(Berneux) 주교와 권일신(프란치스코 하비에르)의 십자가 등도 눈에 띈다. 또 한 면에는 소학(小學), 다른 면에는 교리를 적어 둔 순교자 윤봉문(요셉)의 위장 교리서 등 희귀한 자료들이 풍부하게 소장되어 있다.
성모성년 특별 전시관에는 수십 수백의 성모상이 눈길을 끄는데 이중에는 필리핀의 수백 년 된 성모상에서부터 강화도 무명 순교자 무덤에서 발굴된 성모상과 일본의 ‘마리아 관음상’ 등 독특한 성모상들이 다수 있어 이채롭다. 또 2층과 3층에는 순종비(純宗妃) 순명효황후(純明孝皇后)와 의친왕비(義親王妃) 김수덕(金修德) 마리아가 기증한 궁중 유물, 대원군의 친필 등 왕실 유물과 김인순 루갈다가 기증한 조선시대 생활상을 알 수 있는 많은 민속품 등이 전시되어 있어 조선 말기와 개화기 연구에 중요한 자료가 되고 있다.
2009년 3월 2일 오륜대 한국순교자기념관은 부산시에 1종 전문 박물관인 ‘오륜대 한국순교자박물관’으로 등록되어 가톨릭 신자뿐 아니라 일반 대중에게도 친근하게 다가갈 수 있는 교육 · 문화 공간으로 거듭났다. 박물관 관람시간은 오전 10시부터 오후 5시까지고, 매주 월요일과 명절에는 휴관한다. [출처 : 주평국, 하늘에서 땅 끝까지 - 향내나는 그분들의 발자국을 따라서, 가톨릭출판사, 1996, 내용 일부 수정 및 추가(최종수정 2011년 11월 8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