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북 고창과 경계를 이룬 축령산(621.6m) 일대에는 4~50년생 편백과 삼나무 등 늘푸른 상록수림대 1,148ha가 울창하게 조성되어 있어 이국적인 분위기를 자아내고 있다. 독림가였던 춘원 임종국선생은 6·25동란으로 황폐화된 무입목지에 1956년부터 21여년간 조림하고 가꾸어 지금은 전국최대조림 성공지로 손꼽히고 있다. 편백나무는 스트레스를 확 풀리게 하는 피톤치트라는 특유한 향내음이 있어 삼림욕의 최적의 장소로 널리 홍보되어 특히 국·내외 단체 관광객들이 즐겨 찾는 곳으로 유명하다. 축령산 입구 괴정 마을에는 민박촌과 관광농원이 조성되었고, 산 중턱에 40여명의 동자승들이 수도하는 해인사의 진풍경, 산 아래 모암마을에는 통나무집 4동이 있어 체험하고 체류할 수 있는 관광을 즐길수 있고, 휴양림을 관통하는 임도를 지나가면 태백산맥과 내마음의 풍금을 촬영하던 금곡영화촌이 연결되어 있다.
장성 축령산! 한 사람이 있었다. 살아 있었을 때 그는 숲이었다. 숲이 될 거라고 누군가에게 약속한 적은 없다. 혼자서 묵묵히 숲이 되는 길을 걸었다. 그리고 어느 날 쓸쓸하게 죽었다. 그가 세상을 떠난 후에도 자신과의 약속은 여전히 유효했다. 그가 심은 나무들은 그 후로도 오랫동안 그리고 천천히 자라면서 숲으로 변해갔다.
춘원 임종국 선생이 죽는 순간까지 나무를 심고 보살폈다는 그 숲, 축령산에 간다.
장성 서삼면 모암리와 북일면 문암리 일대를 뒤덮고 있는 50여년생 편백나무와 삼나무들, 그 넓이가 무려 258ha이다. 빈틈없이 자란 그 나무들, `숲으로 된 성벽’이다. 벌거숭이 땅에 1956년부터 나무를 심기 시작해 87년 다른 세상으로 가는 순간까지도 그 나무들만 생각했다는 애림가. 임종국 선생은 자신의 땅도 아닌 국유지에 나무를 심고, 그 나무들이 곧게 자랄 수 있도록 했다.
그러나 세상을 떠날 때 그 나무들은 선생의 것이 아니었다. 나무 심는 일에 모든 가산을 내어주고도 그 일을 멈출 수 없었던 선생은 다 자란 나무를 담보로 빚을 얻어 계속 나무를 심었다. 결국 그 빚을 감당하지 못해 선생에게는 자식 같았던 그 나무들이 다른 사람의 손에 넘어가고 말았던 것이다.
나무에 모든 것을 내준 선생의 인생도 어느 정도 보상이 이루어졌다. 산림청은 2002년 그 숲을 사들인 후 `고(故) 임종국 조림지’로 이름지었다. 그 숲을 가꾼 공로가 인정되어 2001년에는 선생의 이름 석 자가 `숲의 명예의 전당’에 헌정되기도 했다. 그리고 2005년 선생은 자신의 숲으로 되돌아 왔다. 평생을 가꾸었던 그 숲에 수목장(樹木葬) 되었다.
사람들은 축령산 편백나무와 삼나무 숲에 기대어 삶의 위안을 찾는다. 우리 모두는 그 숲을 통해 얻은 만큼의 행복을 임종국 선생에게 빚지고 있는 셈이다.
괴정마을 → 삼거리주차장(춘원 임종국선생기념비) → 헬기장 → 능선갈림길 → 정상 → 임도 → 삼거리주차장 → 금곡마을(총8.8㎞, 3시간 25분 소요)
금곡마을 → 춘원 임종국선생기념비 → 능선갈림길 → 정상 → 해인사 → 괴정마을(총6.5㎞, 2시간 30분 소요)
(괴정마을 → 삼거리주차장(춘원 임종국 선생기념비) → 헬기장 → 우물터 → 모암갈림길 → 통나무집 → 산림욕장 → 우물터 → 삼거리 주차장(기념비) → 괴정마을(총 5.5㎞, 2시간 소요)
※ 자연생태를 보호하고 방문객이 맑은공기와 쾌적한 산림욕을 즐길 수 있도록 2009. 9. 17일부터
축령산내 도로와 임도의 차량을 통제하고 있습니다.
거동이 불편하신 분이나 노약자는 모암마을 주차장에 차량을 주차하고 산림욕을 즐기실 수 있습니다
구분 | 구간 | 운행횟수 | 역ㆍ터미널ㆍ공항 | 전화번호 |
---|---|---|---|---|
비행기 | 서울-광주 제주-광주 |
19회운행 20회운행 |
광주공항(아시아나) 광주공항(대한항공) |
1588-8000 1588-2001 |
기차 | 용산-대전-장성 목포-광주-장성 |
36회운행 18회운행 |
장성역 | 1544-7788 |
K T X | 용산-대전-장성 | 18회운행 | 장성역 | 1544-7788 |
버 스 | 서울-광주 광주-장성 |
수시운행 수시운행 |
광주버스터미널 장성버스터미널 |
062)360-8114 061)393-2660 |
출발지 | 주 경유지 | 종점 | 시간 |
---|---|---|---|
장성(버스터미널) | 신흥, 오산, 광암 | 금곡 | 상행) 06:10 08:20 10:20 12:20 15:20(율리,궁평) 17:20 18:20(밀등) 하행) 07:00(밀등) 09:00 11:05 13:05(궁평,율리) 16:10 18:00 19:10 *(마을)-경유 |
장성(버스터미널) | 장성육거리, 황룡시장, 해주아파트, 황룡중, 필암 | 추암 | 상행) 06:40 09:20 13:50 18:20 하행) 07:30 09:50 14:10 18:50 |
장성(순환) | 문화센터, 서삼면소재지, 임곡, 모암, 상평 | 장성 | 상행) 06:30, 13:45(문) 하행) 17:15(문) 19:20 *(문)-문화센터 경유 |
장성(버스터미널) | 문화센터, 서삼면소재지, 임곡 | 모암 | 상행) 08:10 11:00(문) 12:25(문) 16:00(문) 하행) 08:30 11:25(문) 12:50(문) 16:25(문) |
상호 | 연락처 |
---|---|
추암관광농원(서삼 추암) | 394-4601 |
추암골산장(서삼 추암) | 393-0960 |
백 련 동(서삼 추암) | 393-7076 |
상호 | 연락처 | 상호 | 연락처 |
---|---|---|---|
모암 민박 (서삼 모암 355) |
393-9490 010-9252-9490 |
서현 민박 (서삼 추암 751) |
393-8783 |
모암 통나무집 (서삼 모암 665) |
393-9605 010-9881-9605 |
축령산 산장 (서삼 추암 793-1) |
393-3593 |
백년 휴양촌 (서삼 모암 79) |
010-8600-4391 393-4396 |
안동순 민박 (서삼 추암 810) |
393-4576 010-358-8617 |
대지사슴목장집 (서삼 추암 124) |
394-3489 016-229-0564 |
흑염소농장 민박 (서삼 추암 816) |
393-8136 011-632-8136 |
산정 민박 (서삼 추암 585-1) |
394-7558 011-619-7558 |
추암골산장 민박 (서삼 추암 19-3) |
393-0960 016-633-7070 |
하늘아래첫집 (서삼 추암 586) |
393-6471 011-602-1230 |
테마 민박 (북일 문암 683) |
393-4838 018-306-5220 |
백련동 (서삼 추암 663) |
393-7077 011-677-0803 |
축령산 울림 (북일 문암 668) |
393-1144 010-4630-8253 |
홍길동 숲마을체험장 (서삼 추암 804 ) |
393-7001 010-9432-8964 |
산이네 민박 (북일면 문암 669) |
393-4290 010-6359-4290 |
추암관광농원 민박 (서삼 추암 산24) |
394-4600 010-4614-8783 |
추암숲속나라 (서삼 추암 794-5) |
010-7767-14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