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방 유목 민족과 정복 왕조 |
정복왕조 | * 북방의 유목 민족 가운데서, 기마술을 바탕으로 한, 우세한 군사력을 기반으로 중국의 일부나 전부를 정복하고 나라를 세운 왕조를 말한다. * 거란의 요, 여진의 금, 몽골의 원, 여진(만주)의 청 등이 있다. |
(이중 통치 체제) 二重 統治 體制 | * 정복왕조가 정복한 지역에 했던 통치 방법 * 북방민족은 그들 고유의 <부족제>로, 한족은 중국식 <군현제>로 통치함. * 부족제(맹안모극제)는 유목민족에게, 군현제는 농경민족인 <한족과 발해인>에게 * 부족제 = 요(북면관제), 금(맹안모극제) * 요 = 거란족(북면관제) + 한족(남면관제) * 금 = 여진족(맹안모극제) + 한족(군현제) |
* 금나라 = 맹안모극제(여진족) + 한족(군현제) * 군사 100명 = 1모극, 10모극 = 1맹안 : 군사적 행정조직(맹안모극제) * 300 가정에서 1모극군을 만들고, 3,000 가정에서 1맹안군을 만듦 * 3가구(家口)에서 1명의 병사를 뽑음. * 모극은 백호장(百戶長, 백부장), 맹안은 천호장(千戶長, 천부장)을 의미함 * 모극과 맹안의 지위는 세습되었다. * 백호(百戶, 100), 천호(千戶, 100*10), 만호(萬戶, 100*100) |
흉노(匈奴) ∥ 진, 한나라 시대 | * 투르크계의 종족 * BC 3세기 말부터 AD 1세기 말까지 몽골고원 · 만리장성 지대를 중심으로 활약한 유목기마민족(遊牧騎馬民族)이다. * 흉노는 북몽고와 중앙아시아 일대에 국가를 형성하였다. * 흉노의 주요한 경제적 기지는 동(東)투르키스탄에 있었고, 군수기지는 내(內)몽골 · 오르도스에 있었다. * 흉노는 <한무제>의 공격과 내분으로 <남흉노>와 <북흉노>로 분열됨 * 흉노는 그 지배자를 ‘선우(單于)’라고 하였다. * ‘선우(單于)’는 북아시아의 유목국가의 君主를 ‘가한(可汗)’이라고 칭하기 이전에 사용한 칭호다. * 전성기, 흉노의 지배권은 동(東)은 러허[熱河]에서부터 서는 동(東)투르키 스탄까지, 북은 예니세이강(江) 상류에서부터 남은 오르도스까지에 이르게 되었다. * 後漢 무렵에 흉노족이 세운 대부분의 국가들은 와해되었다. * 흉노의 서방 이동이 훈족의 서방 이동과 연관되며, 훈족의 명칭이 흉노에서 비롯되었다고 여겨진다. <흉노 = 훈족>의 說 * 훈족의 이동이 게르만 민족의 이동을 촉발하였다는 것이다. |
돌궐 ∥ 수, 당나라 시대
| * 흉노족의 후손 * 투르크 계(돌궐 = ‘괵튀르크’의 假借式, 가차식 표기) : 튀르크 계 * 유연을 멸망시키고, 중앙아시아 ~ 만주 일대 장악 * 돌궐의 공격에 실패한 수나라는 멸망하게 된다. * 돌궐의 분열 = 동골궐(당에 복속) + 서돌궐(이슬람화) * 서돌궐의 <오구즈 투르크멘 부족>이 <셀주크 제국>의 기원이 됨 * 1299년 튀르크 족은 <오스만 제국>을 건설하였다. |
위구르 ∥ 당나라 시대 | * 몽골 고원과 중앙아시아 일대에서 활약한 투르크계(系)의 민족이다. * 744년 동돌궐을 멸망시키고 위구르 제국을 세움 * 중앙 아시아 지역에서 동서의 문화와 유목과 농경문화를 융합한 수준 높은 문화를 형성하였다. * 오늘날에는 중국 서북부에 있는 신장웨이우얼자치구[新疆維吾爾自治區]에 대부분 거주하고 있으며, 우즈베키스탄, 카자흐스탄, 키르키즈스탄, 터키, 파키스탄 등에도 분포해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