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육성내력 |
|
수미(Superior)는 1961년 미국에서 육성된 품종으로 모본 B96-56에 부본 M59-44를 교배하여 1961년 Ag29라는 계통명으로 실생개체 선발하여 나온 조숙·내병·다수성 품종으로 품질이 좋아 식용 및 칩 가공용으로 재배되는 품종이다. 우리 나라에는 1975년 도 입되어 지역적응시험 및 농가실증시험을 거쳐 1978년 장려품종으로 선발되었다. |
|
|
|
|
2. 주요특성 |
|
봄, 여름재배의 대표적인 재배품종으로 식용 및 ? 가공용 많이 쓰이며 육성모지인 미국에서는 중만생종으로 생육기간이 다소 긴 편이나 우리 나라에서는 90~100일로 숙기가 빠르다. 괴경형태는 편원형이고 표피색은 담황색이며, 표피에는 그물모양 의 줄무늬가 있고 눈의 깊이가 얕다. 괴경의 복지가 비교적 길고 휴면기간은 80~90일 정도이므로 겨울재배를 할 경우에는 고랭지 여름재배에서 채종된 종서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주당 괴경수는 남작보다 적은 편이나 개당 평균 괴경중 이 무겁고 전분가가 높다. 과습한 토양에서도 피목비대가 적으며, 상온저장 시 환원당함량이 낮아 가공 적응성이 높고 모자이크 바이러스에는 남작보다 강하고 더뎅이병도 비교적 강한 편이나 잎말림바이러스 및 역병에는 약하다. |
|
|
|
|
표 1. 고유특성 |
|
숙기
|
초세
|
초형
|
잎크기
|
꽃색
|
덩이줄기모양
|
표피색
|
육색
|
눈깊이 |
조생
|
강
|
개장
|
중
|
담적
|
편원
|
담황
|
백색
|
얕음 | |
|
|
|
|
표 2. 일반특성 |
|
줄기길이
|
줄기수
|
땅 속 줄기수
|
땅 속 줄기길이
|
건물함량
|
환원당
|
용 도 |
61cm정도
|
3.2개/주
|
많음
|
중
|
19.9%
|
낮음
|
식용 및 가공용 | |
|
|
|
3. 수량성 |
|
|
|
표 3. 여름재배 수량성(대관령 직파재배, 고시 : 1984~1989) |
|
90일 |
120일 |
총수량 (kg/10a)
|
상서수량 (kg/10a)
|
상서율 (%)
|
총수량 (kg/10a)
|
상서수량 (kg/10a)
|
상서율 (%) |
2,735
|
2,120
|
78 |
2,915
|
2,700
|
93 | |
|
|
|
|
|
표 4. 봄 조기재배 (육아 PE멀칭, 고시 : 1985~1987) |
|
수확일
|
강릉
|
김제
|
광산
|
대구
|
진주 |
70일(㎏/10a) 80일(㎏/10a)
|
1,093 2,486
|
2,015 2,222
|
1,702 2,649
|
1,756 3,230
|
2,028 3,022 | |
|
|
|
|
|
표 5. 봄 일반재배 (직파, 고시) |
|
지역
|
90일
|
120일(황숙기) |
총수량
|
상서수량
|
상서율(%)
|
총수량
|
상서수량
|
상서율(%) |
운봉 제주 청주 대전 화성 춘천 대관령 |
3,244 2,522 2,231 2,021 3,123 2,657 2,782 |
2,752 2,324 1,749 1,715 2,718 2,333 2,390 |
85 92 78 85 87 88 86 |
4,003 2,783 3,509 2,772 4,822 4,219 4,035 |
3,703 2,569 3,112 2,482 4,467 3,961 3,842 |
92 94 89 90 93 94 95 | |
|
|
|
|
|
4. 적응지역 및 재배상 유의점 |
|
봄 조기재배시 수량성이 높아 답전작, 겨울시설재 배에 알맞다. 발아후 초기생육이 약간 지연되므로 생육초기 온도관리에 주의할 것이며 육아상 육묘시 온도가 낮으면 맹아가 2차 휴면에 돌입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온도관리(18~23℃)에 철저를 기하여야 한다. 파종전 절단면을 치유한 후 파종하여 종서의 부패를 방지하고 겨울재배용 씨감자는 고랭지 여름재배에서 채 종된 것을 사용해야 싹이 잘 튼다(수확 후 80~90일 경과되어야 휴면이 타파됨). 저장력이 약하므로 수확 후 상처를 잘 치유하여 저 장하여야 하고 가공원료(감자?)용 재배에 있어서 육아 PE멀칭재배 시에는 정식 후 80~90일에 수확해야 품질이 우수하다. 재 배는 전국적으로 가능하며 특히 조기·다수확 재배로 알맞는 품종으로 가을재배에는 부적합한 품종이다. |
|
|
|
|
|
|
|
|
|
그림 1. 수미의 괴경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