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부경 숫자는 허수 성질(음)과 실수 성질(양)을 동시에 겸유한 숫자다
실수實數 real number
허수虛數 imaginary number
복소수複素數 complex number
● 소수(素數, 문화어: 씨수, 영어: prime number)
소수(素數, 문화어: 씨수, 영어: prime number)는 1보다 큰 자연수 중 1과 자기 자신만을 약수로 가지는 수다. 예를 들어, 5는 1×5 또는 5×1로 수를 곱한 결과를 적는 유일한 방법이 그 수 자신을 포함하기 때문에 5는 소수이다
허수 단위(imaginary unit 또는 unit imaginary number)
허수단위 i 는 제곱해서 "-1"이 되는 상상의 수, 즉 복소수를 말한다
복소수(複素數, 영어: complex number)는 실수와 허수가 섞여 있는 수로 a+bi 형식으로 이루어진 수다
여기서 i는 허수 단위라고 불리는 수이며, "-1"의 제곱근이다
a는 실수부(real part), b는 허수부(imaginary part)라고 한다.
복소수의 집합은 체를 이루며, 대수학의 기본 정리가 성립한다. 그러나 실수와 달리 표준적인 전순서를 줄 수 없다.
기하학적 관점에서, 복소수의 공간은 2차원 복소평면과 같으며, 이는 실수 공간을 나타내는 1차원 실수선을 확장하여 얻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