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문서(羅文瑞) 연보
나문서(羅文瑞, 출생 연도 미상; 출생 추정 연도 1336년경 충숙왕(忠肅王) 복위 4년 생~1405년경 조선 태종(太宗) 10년 몰; 향년 69세)
고려 시대 후기 문신
삼중대광 문하시중•적라백(赤羅伯) 역임
고려 시대 후기 경북 의성 안정 출신 재상
신라 시대 부자(父子) 재상 나인(羅認)•나천업(羅千業)에 이은 제4의 고려 재상
고려 재상 삼형제(三兄弟) 문하시중 나천서(羅天瑞)•재상 나원서(羅元瑞)•문하시중 나문서(羅文瑞) 가운데 셋째 막냇동생
신라 나천업•고려 나천서•고려 나원서•조선 유성룡과 함께 재상을 지낸 경북 의성 출신의 대표적인 4정승
적라백(赤羅伯, 경북 군위 옛 지명) 봉작
적라백(赤羅伯)에 봉작된 군위인
본관 군위(軍威)
군위(軍威) 나(羅) 씨 중시조
선조
신라 정승 부자(父子)
신라 정승 나인(羅認, 서기 800년대; 나천업의 부친)
신라 정승 나천업(羅千業, 서기 800년대; 나인의 아들)
고려 재상 3형제(서기 1370년대)
고려조 문하시중 안정백 나천서(첫째 형, 1332년경~1398년경)
고려조 재상 상산백 나원서(둘째 형, 1334년경~사망 연도 미상)
고려조 문하시중 적라백 나문서(본인, 막냇동생, 1336년경~1405년경)
처 1339년생 모(某) 씨
나문서의 자녀 4남 1녀
아들 홍로서승 나석량(羅奭良)
후손
3대손 손자 지신사 나혁(羅爀, 생몰 연도 미상; 1392년 경북 의성 은거, 지중추부사 나명우의 3대조 선조)
4대손 증손자 통덕랑 나건(羅鍵)
5대손 고손자 진사 나주세(羅冑世)
6대손 지중추부사 나명우(羅明佑)
7대손 찰방 나빈(羅贇), 나무(羅碔, 나명우의 첫째 아들, 조선조 문과 급제), 나옥(羅鈺, 나명우의 둘째 아들; 4대조 선조 나혁(羅爀)의 행장을 짓다 세간의 여론이 나빠져 제주 대정현(大靜縣)으로 유배)
8대손 진도군수 나광수(羅光秀)
9대손 경기도사 나희준(羅希俊, 나광수의 아들)
10대손 참봉 통정대부 나사륜(羅嗣倫, 나광수의 손자)
11대손 참봉 나기수(羅麒壽, 나사륜의 둘째 아들, 나광수의 증손), 어모장군 훈련원판관 나인수(羅麟壽, 나사륜의 셋째 아들, 나광수의 증손)
사재감청정 나대정(羅大汀)•내금위장 부호군 나대연(羅大演) 형제
부호군 나세침(羅世琛)•훈련원판관 나세근(羅世瑾) 형제(나대연의 아들 형제)
1336년경 출생 연도 미상, 출생 추정 연도; 1세 경북 의성 안정 출생
1356년경 20세 결혼, 자녀 4남 1녀
1357년경 21세 첫째 아들 홍로서승 나석량(羅奭良) 출생
1370년 공민왕 19년 첫째 형 나천서(羅天瑞)가 문하시중에 임명되었고, 안정백 겸 안천군에 봉작 및 봉군되어 안정현을 식읍(食邑)으로 안천군에 봉해졌다.
1370년대 고려조 문하시중 역임
1392년 고려 멸 후, 손자 나혁(羅爀)과 함께 경북 의성으로 은거 추정
1398년경 두문동72현 사건 후 사망설; 향년 63세
1405년경 사망 연도 미상. 확실한 사망 연도는 알려져 있지 않으며, 나천서의 사망 추정 연도 1398년을 기준으로 추정. 고향 경북 의성 안정에서 서거, 향년 69세
묘역
경북 군위군 군위읍 하곡리 산 6번지 계좌정향(癸坐丁向)
묘비명
구 묘비 1. 고려 시중 적라백 나공 문서지묘
구 묘비 2. 고려 시중 삼중대광 적라백 나공 문서지묘
신 묘비. 고려 삼중대광문하시중 적라백 나공 문서지묘
1896년 조선 고종 33년 8월 4일 군위현을 군위군으로 승격 개칭
2023년 7월 1일 대구광역시 군위군으로 편입
* 본관 군위(軍威): 경북 군위(軍威)는 신라 시대 노동멱현(奴同覓縣), 일명 여두멱현(如豆覓縣)이라고 했으며, 757년 신라 시대 경덕왕(景德王) 16년 적라현(赤羅縣)으로 개칭된 이래로 숭선군(崇善郡, 선산(善山))의 관할이었다. 고려 왕건(王建)이 후삼국을 통일할 당시 후백제군을 공격하면서 이 지역을 지날 때 지역 촌장에게 군위(軍威)라고 명명하고 군위현으로 개칭케 했으며, 이것이 군위라는 지역 명칭의 유래가 되었다. 1018년 고려 현종(顯宗) 9년 군위가 상주목(尙州牧)에 귀속되었다. 1143년 인종(仁宗) 21년 일선군(一善郡)에 소속되었다. 1390년 공양왕(恭讓王) 2년 효령현(孝寧縣)이 군위현으로 귀속되었다. 1896년 조선 시대 고종(高宗) 33년 군위현이 군위군으로 개편되었다. 1914년 의흥군(義興郡)과 의성군 일부가 군위군으로 병합되었다. 1979년 군위면이 군위읍으로 승격되었다.
* 나정승(羅政丞) 이야기: 경북 의성군 단밀면 위중 1, 2리는 옛 단밀현 나 씨 토성(土姓)의 봉토였으며, 나 씨는 경북 지역의 토착 성 씨였다. 나 정승은 신라 시대 서기 8백년대 신라 정승 나인(羅認)과 신라 정승 나천업(羅千業) 부자 재상과 또한 고려 시대 재상 삼형제 문하시중 나천서, 재상 나원서, 문하시중 나문서 등 여러 인물들이 있지만, 그 가운데 현재는 단밀면 부근에는 신라 정승 나천업유허비와 나천업의 묘역 그리고 나 정승을 기리는 나정(羅亭)이 있거나 그 흔적이 남아 있다. 현재 나천업유허비는 소실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나천서의 둘째 동생 나원서가 상산백(상주의 옛 지명)을 봉토했으며, 그 지역 상산고을 단밀면 위중1리 저곡(渚谷)마을과 용곡1리 도리비마을에 나천업의 묘소, 나천업유허비, 나정이 있었다. 나천업의 묘역은 경북 의성군 점곡면 사촌(경북 의성군 단밀면 위중1리 저곡마을)에 소재하며, 나정도 저곡마을 부근에 소재하고, 나천업유허비는 경북 의성군 단밀면 용곡1리 도리비마을에 소재했다. 신라 정승 나천업은 문창후 고운 최치원의 장인이었으며, 문창후 최치원보다 높은 최고위 정승에 자리하고 있었다. 조선 시대 먼 후손 나만갑이 이곳을 찾아 묘역을 증축 정비하고 사초를 하며 조상을 추모했다는 역사적 기록이 남아 있다. 한편, 나천업의 부친 신라 정승 나인은 경북 비안 출신이며, 묘역은 경북 비안군 북쪽 15리 해망산(海望山)이다. 한편, 안정인으로 알려진 신라 정승 나인과 안정 나 씨 시조 나천서는 둘 다 안정 해망산에 묘역이 있다. 경주 최 씨 족보인 『경주최보』(慶州崔譜)에는 최치원이 857년 생이며, “문창후 최치원의 부인은 나 정승 업(業)의 여식이다”(崔致遠文昌侯配羅氏政丞業之女)라고 기록되어 있다고 한다. 이 기록으로 나천업이 서기 800년대 신라 시대 인물임을 알 수 있으며, 나만갑 등의 안정 나 씨 후손들이 그들의 묘역을 관리한 것을 알 수 있다. 현재는 경북 의성 단밀면 위중리와 용곡리 등 저곡마을 나 씨 토성(土姓) 지역에는 나 씨가 거의 남아 있지 않다고 한다.
* “고려의 유(有) 삼나(三羅)”: “고려의 유(有) 삼나(三羅)”는 고려 시대 후기 공민왕조 나 씨 재상 3형제 나천서, 나원서, 나문서를 가리킨다. 세 인물 모두 안정인이었으며, 첫째 나천서는 문하시중 안정백(안정)에 봉해졌고, 둘째 나원서는 재상 상산백(상주)에 봉해졌으며, 셋째 나문서는 문하시중 적라백(군위)에 봉해졌다. 이들 중 나천서는 안정 나 씨 시조가 되었으며, 나문서는 군위 나 씨 시조가 되었다. 또한 1392년 고려 멸 후, 나천서는 길재와 같이 금오산으로 은거하기도 했으며, 나천서의 독자 아들 나직경의 처가 해평 길(吉) 씨였으며, 나천서의 손녀 역시 야은 길재의 손자와 결혼함으로써 길재의 손자가 나천서의 손녀사위(孫壻)가 되는 혼인 관계를 맺기도 했을 정도로 친분이 두터웠다.
* 군위 나 씨: 군위(軍威) 나 씨의 본관 군위는 경북의 중심 지역에 위치하며, 신라 시대 노동면현(여두멱)이었으며, 757년 통일 신라 경덕왕 16년 군위현으로 바꾸고 숭선군(선산)의 속현으로 삼았으며, 1018년 고려 현종 9년 군위현을 상주목의 속현으로 두었고, 적라현이라고도 했으며, 1896년 조선 고종 33년 8월 4일 군위현을 군위군으로 승격 개칭했으며, 1979년 5월 1일 군위면이 군위읍으로 승격했으며, 2023년 7월 1일 대구광역시 군위군으로 편입되었다.
군위 나 씨는 고려 재상 3형제 나문서가 고려조 삼중대광 문하시중 적라백(赤羅伯, 옛 군위 지명)에 봉토되어 군위 나 씨의 시조가 되었다. 나문서의 묘역 소재지는 경북 군위읍 하곡리 산 6번지이다. 나문서의 묘비명은 구비명이 “고려 시중 삼중대광 적라백 나공 문서지묘”이며, 나문서의 신비명은 “고려 삼중대광 문하시중 적라백 나공 문서지묘”이다. 군위 나 씨 세보(世譜)에 따르면, 시조 고려 재상 문하시중 나문서(羅文瑞), 1세손 홍로서승 나석량(羅奭良), 2세손 지신사 나혁(羅赫), 3세손 통덕랑 나건(羅鍵), 4세손 진사 나주세(羅冑世), 5세손 지중추부사 나명우(羅明佑), 6세손 찰방 나윤(羅贇), 7세손 진도군수 나광수(羅光秀), 8세손 경기도사 나희준(羅希俊), 9세손 참봉•통정대부 나사륜(羅嗣倫) 등으로 계보가 계승되었다.
* 수성(壽城) 나(羅) 씨 계보: 수성(壽城) 나(羅) 씨 계보는 다음과 같다. 1세는 상서공 나위(羅緯)이며, 2세 나광우, 3세 나만, 4세 나유겸, 5세 나상지, 6세 화동부사 나순손, 7세 나수경, 8세 나이동, 9세 나경문, 10세 나응기, 11세 나언륜, 12세 나선, 13세 나이헌, 14세 나수천, 15세 나학용, 16세 나삼령, 17세 나석흥, 나석승, 18세 나광수, 나삼수, 19세 나상찬, 20세 나봉열, 21세 나문기(羅文基), 22세 나진용, 나진헌, 나진길, 나진우, 나점연, 나점숙, 23세 나성연, 나호연, 나상화, 나홍택, 나현정, 나은영, 나동연, 나세은 등으로 이어지고 있다. 현대의 수성 나 씨 주요 인물에는 양산시장 나동연, 국립합창단장 나영수와 그의 딸 가수 나윤선 등이 있다.
* 비안(比安) 나(羅) 씨: 비안(比安) 나(羅) 씨는 본관이 경북 의성 비안(比安)이며, 시조는 나준기(羅俊奇)이다.
* 나문서의 선조 첨의정승•동경유수•부사 나윤(羅允)과 나윤의 아들 밀직사지신사•도승지 나천부(羅天富)의 생몰 연도: 금성 나 씨 나윤(羅允)의 생몰 연도는 미상이다. 생몰 추정 연도는 나윤의 형 장군 나유(羅裕)의 생몰 연도 1224년 생~1292년 몰을 기준으로, 추정 출생 연도 1226년경 생이며, 1300년 고려 충렬왕조 동경유수 재직을 기준으로 1300년경 이후로 한다. 그러므로 나윤의 생몰 추정 연도는 1226년경~1300년 이후(향년 75세)이다.
한편, 고려 금성인 밀직사지신사•도승지 나천부(羅天富)는 생몰 연도 미상이며, 생몰 추정 연도는 1267년경~1340년경이다. 향년 75세로 추정되며, 첨의정승 나윤의 아들이다. 도승지 나천부(羅天富)의 여식 금성(錦城) 나(羅) 씨가 조선 시대 대사헌•대제학 성석린(成石璘, 1338년~1423년)의 어머니이며, 창녕부원군 성여완(成汝完, 1309년~1397년)의 처이다.
* 나(羅) 씨 본관: 2000년 기준 나 씨 본관은 총 19본이 확인되었다. 나주, 금성, 안정, 군위, 수성, 비안, 정산, 경주, 김해, 안동, 영천(永川), 의성, 장성, 전주, 지재(知載), 진주, 평산(平山), 풍천(豐川), 해주(海州)이다. 나 씨 본관은 본래 전국 55본으로 알려져 있다.
* 군위 나 씨 원조(元祖)와 중시조: 군위 나 씨 원조(元祖)는 신라 정승 나인(羅認)이며, 군위 나 씨 중시조는 고려 재상 나문서(羅文瑞)이다. 군위 나 씨 원조 신라 정승 나인과 금성 나 씨 고려 형부상서 나득황의 아들 나인(羅認, 본명 나윤(羅允))과는 아무런 관계가 없다.
참고로 금성 나 씨 나득황과 나인의 계보는 다음과 같다. 도승지 나천부(羅天富, 생몰 연도 미상; 생몰 추정 연도 1267년경~1340년경; 향년 75세; 첨의정승 나윤의 아들)를 기준으로, 증조부 고려조 예부상서 나효전(羅孝全), 조부 고려조 형부상서 나득황(羅得璜), 부 고려조 첨의정승•동경유수•부사 나윤(羅允, 생몰 추정 연도 1226년경 고려 고종(高宗) 13년~1300년 이후 고려 충렬왕(忠烈王) 복위 2년; 향년 74세), 나윤의 처 고려조 무신 김방경(金方慶)의 맏아들 김선의 맏딸 안동(安東) 김(金) 씨로 이어졌다. 고려조 금성인 밀직사지신사•도승지 나천부(羅天富)는 생몰 연도 미상이며, 생몰 추정 연도는 1267년경~1340년경이고, 향년 75세이다. 첨의정승 나윤의 아들이다. 도승지 나천부(羅天富)의 여식 금성 나 씨가 조선 시대 대사헌•대제학 성석린(成石璘, 1338년~1423년)의 모(母)이며, 창녕부원군 성여완(成汝完, 1309년~1397년)의 처이다. <끝> <나종혁 글>
* 참고 자료: 「안정나씨, 군위나씨 시조 묘」, <http://m.blog.naver.com>; 이정웅, 「단밀의 나정승(羅政丞)과 나정(羅亭) 이야기」, <http://ljw1674.tistory.com>; 한국의 희성-軍威羅氏(군위나씨)―17, 경주이씨 국당공파, <http://cafe. daum.net/>; 안정나씨, 군위나씨 시조 묘, 삽짝풍수, <http://blog.naver.com>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