三六一. 人蔘琥珀丸
治癲癎.
人蔘 琥珀(另硏) 茯神 白茯苓 石菖蒲(小者) 遠志(酒浸) 各半兩 乳香(另硏) 硃砂(水飛) 棗仁(溫酒浸半日 去殼 紙上炒香) 各二錢半
上爲末 煉蜜丸 桐子大. 每服三五十丸 食後溫酒送下 日再服. 如不能飮者 棗湯下. 此可常服.
361. 인삼호박환(人蔘琥珀丸)
전간(癲癎)을 치료(治)하느니라.
인삼(人蔘) 호박(琥珀)(따로 연(硏)) 복신(茯神) 백복령(白茯苓) 석창포(石菖蒲)(소(小)한 것) 원지(遠志)(주(酒)에 침(浸)) 각 반량(半兩) 유향(乳香)(따로 연(硏)) 주사(硃砂)(수비(水飛)) 조인(棗仁)(온주(溫酒)에 침(浸)하기를 반일(半日)하고 각(殼)을 거(去)하며 지상(紙上)에서 초향(炒香)) 각 2전반(錢半)
가루 내고 연밀(煉蜜)로 환(丸)을 동자(桐子) 크기로 만드느니라. 매 30~50환(丸)을 복용하니 식후(食後)에 온주(溫酒)로 송하(送下)하며 하루에 두 번 복용하느니라. 음(飮)하지 못하면 조탕(棗湯)으로 하(下)하느니라. 이는 상복(常服)할 수 있느니라.
三六二. [集驗]秘方半夏丸
治心風癲狂. 張德明傳 其內人失心狂數年 服此藥而愈 後再作 服人蔘琥珀丸而安.
半夏 一兩(用生薑汁煮三五十沸 取出切作塊 更煮令熟 焙乾爲末) 麝香 一錢(硏) 水銀 半兩 生薄荷 一大握(用水銀硏如泥)
上藥同薄荷泥更硏千百下 丸如芥子. 每服十五丸 金銀湯臨臥服 三日再服.
362. [집험]비방반하환([集驗]秘方半夏丸)
심풍(心風) 전광(癲狂)을 치료(治)하느니라.
장덕명전([張德明傳])에 그 내인(內人)이 실심(失心)하여 광(狂)하기를 수년(數年)하더니 이 약(藥)을 복용하고는 나았느니라. 그 후에 다시 작(作)하여 인삼호박환(人蔘琥珀丸)을 복용하고는 안(安)하였느니라.
반하(半夏) 1량(兩)(생강즙(生薑汁)으로 달여서 30~50비(沸)하면 꺼내고 절(切)하여 괴(塊)로 작(作)하며 다시 달여서 숙(熟)하게 하고 배건(焙乾)하면 가루 내느니라.) 사향(麝香) 1전(錢)(연(硏)) 수은(水銀) 반량(半兩) 생박하(生薄荷) 1대악(大握)(수은(水銀)으로 연(硏)하여 니(泥)와 같게 함)
약(藥)을 박하니(薄荷泥)와 같이 다시 연(硏)하기를 100~1000번하고 환(丸)을 개자(芥子) 크기로 만드느니라. 매 15환(丸)을 복용하니 금은(金銀)의 탕(湯)으로 임와(臨臥)에 복용하느니라. 3일에 다시 복용하느니라.
三六三. 神應丹
治諸癎.
辰砂 佳者 不拘多少
上硏細 猪心血和勻 以蒸餠裹劑蒸熟 就熱取出 丸桐子大. 每服一丸 人蔘湯下 食後臨臥服.
363. 신응단(神應丹)
제간(諸癎)을 치료(治)하느니라.
진사(辰砂)(가(佳)한 것) 다소(多少)에 불구(不拘)
세(細)하게 연(硏)하고 저심혈(猪心血)에 고루 섞고 증병(蒸餠)에 제(劑)를 싸고 증숙(蒸熟)하느니라. 열(熱)하면 꺼내고 환(丸)을 동자(桐子) 크기로 만드느니라. 매 1환(丸)을 복용하니 인삼탕(人蔘湯)으로 하(下)하느니라. 식후(食後) 임와(臨臥)에 복용하느니라.
三六四. [楊氏]五癎神應丸
治癲癎潮發 不問新久.
白附子(炮) 半兩 半夏 二兩(湯洗) 南星(薑製) 烏蛇(酒浸) 白礬(生) 各一兩 全蝎(炒) 二錢 蜈蚣 半條 白殭蠶(炒) 一兩半 麝香 三字(硏) 皂角 二兩(槌碎 用水半升揉汁去渣 同白礬一處熬乾爲度 硏) 硃砂(飛) 二錢半
上爲細末 生薑汁煮麵糊爲丸 桐子大. 每服三十丸 生薑湯食後送下.
364. [양씨]오간신응환([楊氏]五癎神應丸)
전간(癲癎)의 조발(潮發)을 치료(治)하니 신구(新久)를 불문(不問)하느니라.
백부자(白附子)(포(炮)) 반량(半兩) 반하(半夏) 2량(兩)(탕(湯)으로 세(洗)) 남성(南星)(강(薑)으로 제(製)) 오사(烏蛇)(주(酒)에 침(浸)) 백반(白礬)(생(生)) 각 1량(兩) 전갈(全蝎)(초(炒)) 2전(錢) 오공(蜈蚣) 반조(半條) 백강잠(白殭蠶)(초(炒)) 1량반(兩半) 사향(麝香) 3자(字)(연(硏)) 조각(皂角) 2량(兩)(방망이로 부수고 물 반승(半升)으로 즙(汁)을 주무르고 찌꺼기는 버리며 백반(白礬)과 같이 일처(一處)에서 오(熬)하여 건(乾)할 정도로 하고 연(硏)) 주사(硃砂)(비(飛)) 2전반(錢半)
세(細)하게 가루 내고 생강즙(生薑汁)으로 자(煮)한 면호(麵糊)로 환(丸)을 동자(桐子) 크기로 만드느니라. 매 30환(丸)을 복용하니 생강(生薑)의 탕(湯)으로 식후(食後)에 송하(送下)하느니라.
三六五. [局方]牛黃淸心丸
治心志不定 神氣不寧 驚恐癲狂 語言譫妄 虛煩少睡 甚至棄衣登高 踰垣上屋 或小兒風痰上壅 抽搐發熱 或急驚痰盛發搐 目反口噤 煩燥等證.
牛黃 一兩二錢 白朮 麥門冬 枯黃芩 各兩半 人蔘 神麯 蒲黃(炒) 各二兩半 山藥 七兩 炙甘草 五兩 杏仁(去皮尖 炒黃色 另硏) 桔梗 各二兩二錢 大豆黃卷(微炒) 當歸 肉桂 各一兩七錢 阿膠 白蘞 各七錢半 白茯苓 一兩二錢 川芎 防風 麝香 氷片 各五錢 羚羊角(鎊) 一兩 犀角(鎊) 二兩 雄黃 八錢(飛) 乾薑(炮) 七錢 大棗 百枚(蒸熟去皮 硏膏) 金箔 一千四百張(內四百爲衣)
上另硏爲末 煉蜜與棗杵勻 每兩作十丸 用金箔爲衣. 每服一丸 溫水化下.
365. [국방]우황청심환([局方]牛黃淸心丸)
심지(心志)의 부정(不定)과 신기(神氣)의 불녕(不寧)으로 경공(驚恐) 전광(癲狂)하고 어언(語言)이 섬망(譫妄)하며 허번(虛煩) 소수(少睡)하고 심(甚)하면 기의(棄衣) 등고(登高)하고 유원(踰垣) 상옥(上屋)하거나 소아(小兒)의 풍담(風痰)의 상옹(上壅)으로 추축(抽搐) 발열(發熱)하거나 급경(急驚)으로 담성(痰盛) 발축(發搐)하고 목반(目反) 구금(口噤) 번조(煩燥)하는 등의 증(證)을 치료(治)하느니라.
우황(憂惶) 1량(兩) 2전(錢) 백출(白朮) 맥문동(麥門冬) 고황금(枯黃芩) 각 1량반(兩半) 인삼(人蔘) 신국(神麯) 포황(蒲黃)(초(炒)) 각 2량반(兩半) 산약(山藥) 7량(兩) 자감초(炙甘草) 5량(兩) 행인(杏仁)(피첨(皮尖)을 거(去)하고 초(炒)하여 황색(黃色)이 되면 따로 연(硏)) 길경(桔梗) 각 2량(兩) 2전(錢) 대두황권(大豆黃卷)(미초(微炒)) 당귀(當歸) 육계(肉桂) 각 1량(兩) 7전(錢) 아교(阿膠) 백렴(白蘞) 각 7전반(錢半) 백복령(白茯苓) 1량(兩) 2전(錢) 천궁(川芎) 방풍(防風) 사향(麝香) 빙편(氷片) 각 5전(錢) 영양각(羚羊角)(방(鎊)) 1량(兩) 서각(犀角)(방(鎊)) 2량(兩) 웅황(雄黃) 8전(錢)(비(飛)) 건강(乾薑)(포(炮)) 7전(錢) 대조(大棗) 100매(枚)(증숙(蒸熟)하고 피(皮)를 거(去)하며 연(硏)하여 고(膏)) 금박(金箔) 1,400장(張)(그 중에서 400장(張)은 옷을 입힘)
따로 연(硏)하여 가루 내고 연밀(煉蜜)과 대조(大棗)를 넣고 고루 빻느니라. 매 1량(兩)으로 10환(丸)을 작(作)하고 금박(金箔)으로 옷을 입히느니라. 매 1환(丸)을 복용하니 온수(溫水)로 화(化)하여 하(下)하느니라.
三六六. [醫統]牛黃丸
治癲狂風癎心風 神不守舍 時發無常 仆地吐涎 不自知覺.
牛黃 珍珠 麝香 各五分 硃砂 龍齒(各另硏) 犀角 琥珀 各二錢 天門冬(去心) 麥門冬(去心) 人蔘 茯苓 各四錢 水銀 五分 防風 黃芩 知母 龍膽草 石菖蒲 白芍藥 全蝎 甘草 各五錢 蜂房 三錢 金箔 銀箔 各七十片
上爲末 共和勻 煉蜜和搗千杵 丸如梧桐子大. 每服十五丸 食後臨臥新竹葉湯下.
366. [의통]우황환([醫統]牛黃丸)
전광(癲狂) 풍간(風癎) 심풍(心風)으로 신(神)이 수사(守舍)하지 못하고 시(時)로 발(發)하여 무상(無常)하며 부지(仆地)하여 토연(吐涎)하고 스스로 지각(知覺)하지 못하는 것을 치료(治)하느니라.
우황(牛黃) 진주(珍珠) 사향(麝香) 각 5분(分) 주사(硃砂) 용치(龍齒)(각 따로 연(硏)) 서각(犀角) 호박(琥珀) 각 2전(錢) 천문동(天門冬)(심(心)을 거(去)) 맥문동(麥門冬)(심(心)을 거(去)) 인삼(人蔘) 복령(茯苓) 각 4전(錢) 수은(水銀) 5분(分) 방풍(防風) 황금(黃芩) 지모(知母) 용담초(龍膽草) 석창포(石菖蒲) 백작약(白芍藥) 전갈(全蝎) 감초(甘草) 각 5전(錢) 봉방(蜂房) 3전(錢) 금박(金箔) 은박(銀箔) 각 70편(片)
가루 내고 같이 고루 섞어 연밀(煉蜜)과 섞고 찧기를 100번 저(杵)하고 환(丸)을 오동자(梧桐子) 크기로 만드느니라. 매 15환(丸)을 복용하니 식후(食後) 임와(臨臥)에 새로운 죽엽(竹葉)의 탕(湯)으로 하(下)하느니라.
三六七. [萬氏]牛黃淸心丸
方在小兒九四.
治心熱神昏.
367. [만씨]우황청심환([萬氏]牛黃淸心丸)
방(方)은 소아(小兒) 94번에 있느니라.
심열(心熱)의 신혼(神昏)을 치료(治)하느니라.
三六八. [錢氏]牛黃丸
方在小兒九二.
治小兒痰涎風癎.
368. [전씨]우황환([錢氏]牛黃丸)
방(方)은 소아(小兒) 92번에 있느니라.
소아(小兒)의 담연(痰涎)의 풍간(風癎)을 치료(治)하느니라.
三六九. [雜著]牛黃丸
方在小兒九三.
治小兒驚癎 痰涎壅盛.
369. [잡저]우황환([雜著]牛黃丸)
방(方)은 소아(小兒) 93번에 있느니라.
소아(小兒)의 경간(驚癎)에 담연(痰涎)이 옹성(壅盛)한 것을 치료(治)하느니라.
三百七十. 三味牛黃丸
方在小兒九五.
治小兒驚熱疳積.
370. 삼미우황환(三味牛黃丸)
방(方)은 소아(小兒) 95번에 있느니라.
소아(小兒)의 경열(驚熱) 감적(疳積)을 치료(治)하느니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