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at patients who develop schizophrenia and related psychotic disorders (schizoaffective disorder and schizophreniform disorder) are at very high risk of relapse in the absence of antipsychotic treatment. Emerging evidence suggests this may even be true for first-episode patients; some studies (46, 218) have shown that more than 80% of such patients who do not receive antipsychotic treatment experience some recurrence of symptoms in the 5 years after remission. Unfortunately, there is no reliable indicator to differentiate the minority who will not relapse from the majority who will relapse. Antipsychotics are highly effective in the prevention of relapse in remitted first-episode patients. One-year relaps risk varies from 0% to 46% of patients who are prescribed antipsychotics (210-213). Adherence to maintenance antipsychotic medication likely has an influence on effectiveness and may contribute to varying relapse rates. The most prudent treatment options that clinicians may discuss with remitted first- or multi-episode patients include either 1) indefinite antipsychotic maintenance medication or 2) medication discontinuation (after at least 1 year of symptom remission or optimal response while taking medication) with close follow-up and with a plan to reinstitute antipsychotic treatment on symptom recurrence. However, evidence indicates that sustained treatment is associated with fewer relapses than is targeted intermittent treatment (219). In addition, intermittent treatment strategies appear to increase rather than decrease the risk of tardive dyskinesia. Clinicians should engage patients in a discussion of the long-term potential risks of maintenance treatment with the prescribed antipsychotic (see Part B, Section V.A.1, "Antipsychotic Medications") versus the risks of relapse (e.g. the effect of relapse on social and vocational functioning, the risk of dangerous behaviors with relapse, and the risk of developing chronic treatment-resistant symptoms). If a decision is made to discontinue antipsychotic medication, the discontinuation should be gradual (e.g., reducing the dose by 10% per month). Additional precautions should be taken to minimize the risk of a psychotic relapse. The physician should educate the patient ant the family about early signs of relapse, advise them to develop plans for action should these signs appear, and suggest that the patient continue to be seen by a physician on a regular basis.
조현병 및 관련 정신병적 장애 (조현정동장애 및 조현형 장애) 가 발병한 환자들 대다수는 항정신병 약물치료를 받지 않을 때 매우 높은 재발 위험에 놓인다. 최근의 증거는 이것이 첫-삽화 환자에게도 사실일 수 있음을 시사해준다. 일부 연구 (46, 218) 는 항정신병 약물치료를 받지 않은 첫-삽화 환자의 80% 이상이 증상완화 후 5년 이내에 증상의 일부 재발을 경험한다는 점을 보여준다. 불행히도 재발할 다수로부터 재발하지 않을 소수를 구별해 줄 수 있는 믿을만한 지표가 전혀 없다. 항정신병 약물은 증상이 완화된 첫-삽화 환자들의 재발예방에 매우 효과적이다. 1년 내 재발 위험성은 항정신병 약물을 처방받은 환자의 0%에서 46%까지 다양하다 (210-213). 항정신병 약물치료 유지에 대한 준수가 효과성에 영향을 줄 수 있으며, 다양한 재발율에 기여할 수 있다. 임상가가 첫-삽화 또는 중다-삽화 환자와 의논할 수 있는 가장 신중한 치료 대안들은 다음 중 한 가지이다. 1) 무기한의 항정신병 약물 유지치료 2) 증상재발시의 재입원 항정신병 약물치료 계획을 세워두고 잦은 추수면담을 행하면서 약물치료 중단 (약물복용을 하는 동안 최소한 1년간의 증상완화 또는 최적반응이 있고 난 후). 아무튼, 증거는 지속적인 치료가 표적적인 간헐적 치료에 비해 보다 적은 재발을 보인다는 점을 보여준다 (219). 더욱이, 간헐적 치료전략은 지연성 운동장애(TD)를 감소시키기보다 오히려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임상가는 처방된 항정신병 약물의 유지치료에 따른 장기적인 잠재적 손해들과 (파트 B, V.A.1 절 “항정신병 약물” 참조) 재발에 따른 손해 (예로써 재발이 사회적 및 직업적 기능에 미치는 영향, 재발에 따른 위험행동의 가능성, 그리고 만성적인 치료-저항적 증상들의 발달 가능성) 에 대해 환자와 의논해야만 한다. 만일 항정신병 약물치료를 중단하기로 의사결정이 내려지면, 약물중단은 점진적으로 이루어져야만 한다 (예로써, 매달 10%씩 약물을 감량하기). 정신병적 재발의 가능성을 최소화하기 위한 추가적인 예방책을 취해야만 한다. 의사는 환자와 가족에게 재발의 조기경고신호에 대해 교육해야만 하고, 이 신호들이 나타날 때 취해야 할 행동계획을 개발하도록 조언해야 하고, 환자가 의사와의 면담을 정기적으로 지속하도록 제안해야 한다.
Indefinite maintenance antipsychotic medication is recommended for patients who have had multiple prior episodes or two episodes within 5 years. Patients taking antipsychotic medication should also be monitored for signs and symptoms of impending or actual relapse, since even in adherent patients the risk of relapse in chronic schizophrenia is about 30% per year. The treatment program should be organized to respond quickly when a patient, family member, or friend reports any symptoms that could indicate an impending or actual relapse. Early intervention using supportive therapeutic techniques and increasing medication as indicated can be very helpful in reducing the likelihood or relapse and hospitalization (220). During prodromal episodes, patients and family members should be seen more frequently for treatment, monitoring, and support, and assertive outreach, including home visits, should be used when indicated.
무기한의 유지 항정신병 약물치료는 여러 차례 이전 삽화를 보였거나 5년 이내에 2번의 삽화를 보인 사람에게 권고된다. 항정신병 약물을 복용하는 환자는 또한 임박한 또는 실제적인 재발의 신호와 증상을 모니터해야만 하는데, 왜냐하면 약물준수를 잘 하는 환자의 경우에도 만성 조현병의 재발 가능성은 1년에 약 30% 정도이기 때문이다. 치료 프로그램은 환자, 가족원, 또는 친구가 임박한 또는 실제적인 재발을 암시하는 어떤 증상을 보고할 때 신속하게 반응하도록 조직화되어야만 한다. 징후가 있을 때 지지적인 치료기법과 약물용량 증가를 사용하는 조기개입은 재발과 입원의 가능성을 감소시키는데 매우 유용하다 (220). 전구기 삽화 동안에, 치료, 모니터링, 그리고 지지를 위해 환자와 가족원을 보다 빈번하게 면담해야만 하며, 또한 징후가 있을 때는 가정방문을 비롯한 적극적인 현장방문을 해야만 한다.
첫댓글 <바람직한 증상관리 게시판>에서 붐님의 글에 대한 답글로 올린 제 게시글을 <스크랩>해서 이 게시판 <약물치료>에 올립니다.
권영탁 정신과 의사님은 조현병에서 단약은 99% 재발이라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