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물부충생(物腐蟲生)
생물이 썩은 뒤에야 벌레가 생긴다는 뜻으로, 남을 의심한 뒤에 그를 두고 하는 비방이나 소문을 듣고 믿게 됨 또는 내부에 약점이 생기면 곧 외부의 침입이 있게 됨을 이르는 말이다.
物 : 물건 물(牛/4)
腐 : 썩을 부(肉/8)
蟲 : 벌레 충(虫/12)
生 : 날 생(生/0)
모든 생물은 반드시 죽어 썩는다. 생명이 없는 무생물이라도 영원히 그 모습을 유지하지는 못한다. 유기물이 미생물의 작용에 의해 분해되는 것이 부패다. 고약한 냄새를 동반한다.
만물이 썩으면(物腐) 벌레가 생겨난다(蟲生)는 이 말은 재앙이 생기는 것에는 반드시 내부에 그 원인이 있다는 것을 뜻한다. 외부의 침입을 부르는 것도 내부에 문제가 있었기 때문이다.
인간을 부패하게 하는 세균은 권력과 돈과 그리고 명성이라고 했다(이어령). 유한한 인간이 이러한 것들에 의해 부패를 재촉하고 생명도 단축되는 것이다.
성어가 먼저 등장하는 곳은 순자(荀子)의 권학(勸學)편이다. 성악설(性惡說)을 주장했던 중국 전국시대(戰國時代)의 유학자 순자의 사상을 모은 책이다. 그 부분을 뽑아 보자.
物類之起 必有所始,
榮辱之來 必象其德.
모든 사물의 발단에는 반드시 그 원인이 있고, 영예와 치욕이 오는 것도 반드시 사람의 덕에 의한다.
肉腐出蟲 魚枯生蠹,
怠慢忘身 禍災乃作.
고기가 썩으면 벌레가 나오고, 물고기가 마르면 좀이 생기며, 게을러서 사람의 도리를 잊게 되면 재앙이 생기게 된다.
고기가 부패한 뒤 벌레가 생긴다고 육부생충(肉腐生蟲)이라 한 곳도 있다. 이것이 모든 생물로 넓혀져 널리 사용된 것은 송(宋)나라의 문인이자 당송팔대가(唐宋八大家)의 한 사람 소식(蘇軾)이 쓴 범증론(范增論)에서다.
범증은 진(秦)나라 말기 군사를 일으킨 항우(項羽)가 아부(亞父)라 칭할 정도로 믿었던 모사였다. 비록 실패했지만 홍문지연(鴻門之宴)에서 항우에게 유방(劉邦)을 죽이라고 한 그 사람이다.
위협을 느낀 유방은 진평(陳平)의 계책대로 항우와 범증의 사이를 이간질하는데 성공했고 그로써 한(漢)을 세우게 된다. 소식은 이 사실을 언급하고 평한다.
物必先腐也(물필선부야)
而後蟲生之(이후충생지)
人必先疑也(인필선의야)
而後讒入之(이후참입지)
사물은 반드시 먼저 썩은 뒤에 벌레가 생기고, 사람은 반드시 먼저 의심하고 난 뒤에 모함이 먹혀든다.
어느 해나 마찬가지이지만 올해 유달리 지도층의 낯부끄러운 행위가 더 많아진 것 같다. 대통령은 말할 것도 없고, 현직 부장판사가 거액의 금품을 받아 구속됨으로써 현직 검사장과 검사장 출신 변호사 등 법조 3륜이 모두 부패의 치욕을 기록했다.
청와대선 비리와 위법이 확인된 민정 수석을 감싸고, 장관 인사청문회에서 부끄러운 행위로 만신창이가 되어도 아랑곳 않는다. 재계에선 어디의 지시를 받았는지 거금을 조달한다. 이 모두 냄새가 진동하는데 당사자만 못 느끼고 있다.
물부충생(物腐蟲生)
사물이 썩으면 벌레가 생겨난다는 뜻으로, 내부에 문제가 생기면 외부의 침입이 있게 된다는 말이다.
모든 생물은 반드시 죽어 썩는다. 생명이 없는 무생물이라도 영원히 그 모습을 유지하지는 못한다. 유기물이 미생물의 작용에 의해 분해되는 것이 부패다. 고약한 냄새를 동반한다.
만물이 썩으면(物腐) 벌레가 생겨난다(蟲生)는 이 말은 재앙이 생기는 것에는 반드시 내부에 그 원인이 있다는 것을 뜻한다. 외부의 침입을 부르는 것도 내부에 문제가 있었기 때문이다.
인간을 부패하게 하는 세균은 권력과 돈과 그리고 명성(이어령)이라고 했다. 유한한 인간이 이러한 것들에 의해 부패를 재촉하고 생명도 단축되는 것이다.
중국 북송(北宋) 때의 시인 소동파(蘇東坡)가 지은 범증론(范增論)에 나오는 다음 구절에서 유래한 성어이다.
物必先腐也(물필선부야)
而後蟲生之(이후충생지)
人必先疑也(인필선의야)
而後讒入之(이후참입지)
소동파는 “생물은 반드시 먼저 썩은 뒤에 벌레가 생기고, 사람도 반드시 먼저 의심을 하게 된 뒤에 남의 모함을 듣는다”라고 함으로써 항우(項羽)에게 버림받은 범증(范增)을 묘사하였다.
진(秦)나라 말, 범증은 항우의 숙부 항량(項梁)의 모사(謀士)로 진(秦)나라의 포악한 정치에 항거한 항량이 죽은 뒤 진(秦)나라에 대항한 항우를 도왔다.
용감한 항우는 슬기로운 계략에는 뛰어나지 못하여 늘 범증이 세우는 계책을 따랐다. 범증은 유방의 세력이 점점 강해지는 것을 보고 경계하여 항우에게 유방을 없애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범증은 홍문(鴻門)에서 열린 연회에 유방을 초대하여 죽이려고 계략을 꾸몄으나 뜻을 이루지 못하였다. 유방은 범증이 항우를 도와주는 동안은 항우와 마주 겨루기 어렵다는 것을 알고 범증을 비방하는 소문을 퍼뜨려 범증과 항우를 이간하였다.
유방의 계략에 끌려 들어간 항우는 범증의 헛소문을 믿고 범증을 의심하면서 멀리하자 범증은 항우의 곁을 떠나가 죽고 항우도 유방에게 패하였다.
생물이 썩으면 벌레가 생기듯이, 내부에서 부패하여 약점이 생기면 외부의 침입이 있다는 것을 비유하는 말이다.
순자(荀子)는 군자의 처세가 인격 도야에 의하여 이루어져야 함을 강조하고 있다.
物類之起 必有所始
모든 사물의 발단에는 반드시 그 기인이 있다.
榮辱之來 必象其德
영예와 오욕이 오는 것은 반드시 사람의 인품과 덕망에 의한다.
肉腐生蟲 魚枯生蠹
고기가 썩으면 벌레가 나오고, 물고기가 마르면 좀이 생긴다.
怠慢忘身 禍災乃作
게을러서 자신을 돌보는 것을 잊어버리면, 재화(災禍)가 곧 생기게 된다.
强自取柱 柔自取束
강한 것은 스스로 기둥의 노릇을 하게 되고, 부드러운 것은 스스로 물건을 묶는데 쓰이게 된다.
邪穢在身 怨之所構
악함과 더러움을 몸에 지니고 있으면, 원한이 맺어지는 까닭이 된다.
施薪若一 火就燥也
땔나무를 펼쳐 놓으면 불은 한결같이 마른 것을 태울 것이다.
平地若一 水就溼也
땅을 평평히 하면, 물은 한결같이 축축한 곳을 적실 것이다.
草木疇生 禽獸羣居
풀과 나무는 무리를 이루어 자라나고, 새와 짐승은 떼를 지어 사는데,
物各從其類也
모든 물건은 제각기 그의 종류를 따르게 마련이다.
是故 質的張而 弓矢至焉
그렇기 때문에 과녁을 펼쳐 놓으면 화살이 날아오게 마련이고,
林木茂而 斧斤至焉
나무숲이 무성하면 도끼가 쓰여지게 마련이고,
樹成蔭而 衆鳥息焉
나무가 그늘은 이루면 새떼들이 와서 쉬게 마련이고,
醯酸而 蜹聚焉
식초가 시어지면 바구미가 모여들게 마련이다.
故言有召禍也 行有招辱也
그러므로 말은 화를 부를 수 있고, 행동은 치욕을 초래할 수 있으니,
君子愼其所立乎
군자는 그 처세함에 신중해야 하는 것이다.
▶ 物(물건 물)은 ❶형성문자로 뜻을 나타내는 소 우(牛=牜; 소)部와 음(音)을 나타내며勿(물)이 합(合)하여 이루어졌다. 만물을 대표하는 것으로 소(牛)를 지목하여 만물을 뜻한다. 勿(물)은 旗(기), 천자(天子)나 대장의 기는 아니고 보통 무사(武士)가 세우는 색이 섞여 있는 것, 여기에서는 색이 섞여 있음을 나타낸다. 또한 物(물)은 얼룩소, 나중에 여러 가지 물건이란 뜻을 나타낸다. 그러나 옛 모양은 흙을 갈아 엎고 있는 쟁기의 모양과 牛(우; 소)로 이루어져 밭을 가는 소를 나타내었다. 나중에 모양이 닮은 勿(물)이란 자형(字形)을 쓰게 된 것이다. ❷회의문자로 物자는 ‘물건’이나 ‘사물’이라는 뜻을 가진 글자이다. 物자는 牛(소 우)자와 勿(말 물)자가 결합한 모습이다. 여기서 勿자는 무언가를 칼로 내리치는 모습을 그린 것이다. 그래서 物자는 소를 도축하여 상품화시키는 모습으로 해석하기도 한다. 그러나 고대에는 다양한 색이 뒤섞여있던 ‘얼룩소’를 物이라고 했었다. 그러나 후에 다양한 가축의 종류나 등급과 관계된 뜻으로 쓰이게 되면서 지금은 광범위한 의미에서의 ‘제품’이나 ‘상품’, ‘만물’이라는 뜻으로 쓰이고 있다. 그래서 物(물)은 (1)넓은 뜻으로는, 단순한 사고(思考)의 대상이건, 현실에 존재하는 사물이건을 불문하고, 일반으로 어떠한 존재, 어떤 대상 또는 어떤 판단의 주어(主語)가 되는 일체의 것 (2)좁은 뜻으로는, 외계(外界)에 있어서의 우리들의 감각에 의해서 지각(知覺)할 수 있는 사물(事物), 시간(時間), 공간(空間) 가운데 있는 물체적, 물질적인 것 (3)사람이 지배하고 이용할 수 있는 모든 구체적 물건. 민법 상, 유체물(有體物) 및 전기(電氣) 그 밖에 관리할 수 있는 자연력(自然力). 사권(私權)의 객체(客體)가 될 수 있는 것 등의 뜻으로 ①물건(物件) ②만물(萬物) ③사물(事物) ④일, 사무(事務) ⑤재물(財物) ⑥종류(種類) ⑦색깔 ⑧기(旗) ⑨활 쏘는 자리 ⑩얼룩소 ⑪사람 ⑫보다 ⑬살피다, 변별하다 ⑭헤아리다, 견주다(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알기 위하여 서로 대어 보다) 따위의 뜻이 있다. 같은 뜻을 가진 한자는 물건 건(件), 물건 품(品), 몸 신(身), 몸 궁(躬), 몸 구(軀), 몸 체(體)이고 반대 뜻을 가진 한자는 마음 심(心)이다. 용례로는 사람이 필요에 따라 만들어 내거나 가공하여 어떤 목적으로 이용하는 들고 다닐 만한 크기의 일정한 형태를 가진 대상을 물건(物件), 물건의 본바탕으로 재산이나 재물을 물질(物質), 물건 값을 물가(物價), 쓸 만하고 값 있는 물건을 물품(物品), 물건의 형체를 물체(物體), 물건의 분량을 물량(物量), 물건을 만들거나 일을 하는 데 쓰는 여러 가지 재료를 물자(物資), 어떤 사람의 좋지 않은 행동에 대해 많은 사람이 이러쿵 저러쿵 논란하는 상태를 물의(物議), 마음과 형체가 구별없이 하나로 일치된 상태를 물심일여(物心一如), 세상의 시끄러움에서 벗어나 한가하게 지내는 사람을 물외한인(物外閑人), 사물에는 근본과 끝이 있다는 물유본말(物有本末), 생물이 썩은 뒤에야 벌레가 생긴다는 물부충생(物腐蟲生), 물질적인 면과 정신적인 면의 양면을 물심양면(物心兩面), 물질계와 정신계가 어울려 한 몸으로 이루어진 그것을 물아일체(物我一體) 등에 쓰인다.
▶ 腐(썩을 부)는 ❶형성문자로 뜻을 나타내는 고기 육(肉=月; 고기)部와 음(音)을 나타내는 府(부)로 이루어져 고기가 썩는다는 뜻이다. ❷회의문자로 腐자는 '썩다'나 '상하다'는 뜻을 가진 글자이다. 腐자는 府(관청 부)자와 肉(고기 육)자가 결합한 모습이다. 腐자는 고기가 썩거나 상한 것을 뜻하기 위해 만든 글자로 肉자가 의미요소로 쓰였다. 그러나 腐자는 단순히 고기가 상한 것만을 뜻하진 않는다. 정직해야 할 관료들이 부정을 저지르는 것도 '부패했다'고 하기 때문이다. 腐자에 쓰인 府자는 '관청'을 뜻하는 글자이다. 그래서 府자는 발음역할을 하면서도 한편으로는 나랏일을 하는 관료들의 부정을 뜻하려 했던 것으로도 보인다. 府자에는 '주다'는 뜻의 付(줄 부)자까지 있으니 더욱 문자조합의 의도가 엿보인다. 그래서 腐(부)는 ①썩다 ②썩히다 ③나쁜 냄새가 나다 ④마음을 상하다 ⑤궁형(宮刑: 음부를 제거하는 형벌) ⑥개똥벌레(반딧불이) 따위의 뜻이 있다. 같은 뜻을 가진 한자는 썩을 후(朽)이다. 용례로는 썩어서 벌레 먹은 것처럼 삭음을 부식(腐蝕), 썩어서 무너짐을 부괴(腐壞), 근심 걱정으로 마음을 썩임 또는 무엇을 생각해 내느라고 몹시 애를 씀을 부심(腐心), 썩어 문드러짐을 부란(腐爛), 쓸모 없이 낡아 빠진 말을 부담(腐談), 남자는 음낭을 까버리고 여자는 음부를 도려내거나 감옥에 가두어 두던 형벌을 부형(腐刑), 약물을 써서 유리나 쇠붙이 따위에 새기는 일을 부각(腐刻), 골수염이나 골막염으로 뼈가 썩는 일 또는 그러한 뼈를 부골(腐骨), 썩은 나무를 부목(腐木), 식물이 생물의 썩은 몸이나 배설물을 양분으로 섭취하여 생활하는 일을 부생(腐生), 흙 속의 유기물이 썩음을 부식(腐植), 썩은 먹이를 먹는 것을 부식(腐食), 짐승의 썩은 고기를 부육(腐肉), 썩어서 풍기는 고약한 냄새를 부취(腐臭), 썩어서 깨어짐을 부파(腐破), 썩은 우물을 부정(腐井), 생각이 낡아 완고하고 쓸모 없는 선비를 부유(腐儒), 썩은 쥐라는 뜻으로 비천한 물건이나 사람을 부서(腐鼠), 케케묵음으로 새롭지 못함을 진부(陳腐), 썩는 것을 막음을 방부(防腐), 콩으로 만든 음식의 하나로 두부(豆腐), 두부를 얇게 썰어 기름에 튀긴 식품을 유부(油腐), 완고하고 진부함을 완부(頑腐), 창자를 썩히는 약이라는 뜻으로 맛 좋은 음식물과 술을 이르는 말을 부장지약(腐腸之藥), 생활이 바르지 못하고 썩을 대로 썩음을 일컫는 말을 부정부패(不正腐敗), 이를 갈고 마음을 썩이다는 뜻으로 대단히 분하게 여기고 마음을 썩임을 일컫는 말을 절치부심(切齒腐心), 흐르는 물은 썩지 않는다는 뜻으로 항상 움직이는 것은 썩지 않음을 이르는 말을 유수불부(流水不腐), 초목과 함께 썩어 없어진다는 뜻으로 해야 할 일을 못 하거나 이름을 남기지 못하고 죽음을 이르는 말을 초목동부(草木同腐), 생물이 썩은 뒤에야 벌레가 생긴다는 뜻으로 남을 의심한 뒤에 그를 두고 하는 비방이나 소문을 듣고 믿게 됨을 이르는 말을 물부충생(物腐蟲生), 낡은 것을 바꾸어 새 것으로 만듦을 일컫는 말을 환부작신(換腐作新) 등에 쓰인다.
▶ 蟲(벌레 충, 벌레 훼, 찔 동)은 회의문자로 虫(훼)는 통자(通字), 虫(훼)는 간자(簡字)이다. 벌레 훼(虫; 뱀이 웅크린 모양, 벌레)部를 셋 겹쳐 벌레의 총칭(總稱)으로 한다. 옛 모양은 뱀과 같이 몸이 긴 벌레를 나타낸다. 나중에 벌레 훼(虫)部 하나에, 뱀류 둘, 모든 벌레 셋, 작은 벌레로 나누었으나 지금은 벌레의 총칭(總稱)으로 쓰인다. 그래서 蟲(충, 훼, 동)은 (1)벌레 (2)회충(蛔蟲) 등의 뜻으로 ①벌레, 벌레의 총칭(總稱) ②동물(動物)의 총칭(總稱) ③구더기(파리의 애벌레) ④충해(蟲害: 해충으로 인하여 농작물이 입는 피해) ⑤조충서(鳥蟲書: 서체의 하나) ⑥좀먹다, 벌레 먹다, 그리고 ⓐ벌레(훼) 그리고 ㉠찌다(동) ㉡그을리다(동) ㉢훈제(燻製)하다(동) ㉣찌는 듯이 더운 모양(동) 따위의 뜻이 있다. 용례로는 벌레 먹은 이를 충치(蟲齒), 벌레 우는 소리를 충성(蟲聲), 벌레와 물고기를 충어(蟲魚), 벌레로 인해 입은 농사의 손해를 충해(蟲害), 벌레를 통틀어 이르는 말을 곤충(昆蟲), 사람이나 농작물 따위에 해를 주는 벌레의 총칭을 해충(害蟲), 아직 성충이 되기 전인 애벌레를 유충(幼蟲), 다 자라서 생식 능력이 있는 곤충을 성충(成蟲), 해충들을 없애 버림을 구충(驅蟲), 해로운 벌레를 막음을 방충(防蟲), 벌레나 해충을 죽임을 살충(殺蟲), 직간접으로 사람에게 이로운 벌레를 익충(益蟲), 몸에 털이 있는 벌레를 모충(毛蟲), 농작물을 병들게 하는 벌레를 병충(病蟲), 어떠한 철에만 나왔다가 그 철만 지나면 없어지는 벌레를 후충(候蟲), 겨울에는 벌레이던 것이 여름에는 풀이 된다는 뜻으로 동충하초과의 버섯을 통틀어 이르는 말을 동충하초(冬蟲夏草), 생물이 썩은 뒤에야 벌레가 생긴다는 뜻으로 남을 의심한 뒤에 그를 두고 하는 비방이나 소문을 듣고 믿게 됨을 물부충생(物腐蟲生), 살이 썩어 벌레가 꾄다는 뜻으로 모든 일은 근본이 잘못되면 그 폐해가 계속하여 발생함을 이르는 말을 육부출충(肉腐出蟲), 여름의 벌레는 얼음을 안 믿는다는 뜻으로 견식이 좁음을 비유해 이르는 말을 하충의빙(夏蟲疑氷), 쥐의 간과 벌레의 팔이라는 뜻으로 매우 쓸모없고 하찮은 것을 이르는 말을 서간충비(鼠肝蟲臂), 가죽에 난 좀이 가죽을 먹게 되면 마침내 가죽도 없어지고 좀도 살 수 없게 된다는 뜻으로 형제나 한 집안끼리의 싸움을 이르는 말을 자피생충(自皮生蟲) 등에 쓰인다.
▶ 生(날 생)은 ❶상형문자로 풀이나 나무가 싹트는 모양에서 생기다, 태어나다의 뜻으로 만들었다. ❷상형문자로 生자는 ‘나다’나 ‘낳다’, ‘살다’라는 뜻을 가진 글자이다. 生자의 갑골문을 보면 땅 위로 새싹이 돋아나는 모습이 그려져 있었다. 그래서 生자는 본래 ‘나서 자라다’나 ‘돋다’라는 뜻으로 쓰였었다. 새싹이 돋아나는 것은 새로운 생명이 탄생했음을 의미한다. 그래서 生자는 후에 ‘태어나다’나 ‘살다’, ‘나다’와 같은 뜻을 갖게 되었다. 生자가 다른 글자와 결합할 때는 본래의 의미인 ‘나다’를 전달하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면 姓(성 성)자는 태어남은(生)은 여자(女)에 의해 결정된다는 뜻이다. 그래서 生(생)은 (1)생명(生命) (2)삶 (3)어른에게 대하여 자기를 낮추어 이르는 말. 흔히 편지에 씀 등의 뜻으로 ①나다 ②낳다 ③살다 ④기르다 ⑤서투르다 ⑥싱싱하다 ⑦만들다 ⑧백성(百姓) ⑨선비(학식은 있으나 벼슬하지 않은 사람을 이르던 말) ⑩자기의 겸칭 ⑪사람 ⑫날(익지 않음) ⑬삶 따위의 뜻이 있다. 같은 뜻을 가진 한자는 날 출(出), 있을 존(存), 살 활(活), 낳을 산(産)이 있고, 반대 뜻을 가진 한자는 죽을 사(死), 죽일 살(殺)이 있다. 용례로 살아 움직임을 생동(生動), 목숨을 생명(生命), 살아 있는 동안을 생전(生前), 생명을 유지하고 있음을 생존(生存),말리거나 얼리지 않은 잡은 그대로의 명태를 생태(生太), 자기가 난 집을 생가(生家),생물의 환경과의 관계에 있어서의 생활 상태를 생태(生態), 세상에 태어난 날을 생일(生日), 사로 잡음을 생포(生捕), 태어남과 죽음을 생사(生死), 먹고 살아가기 위한 직업을 생업(生業), 활발하고 생생한 기운을 생기(生氣), 자기를 낳은 어머니를 생모(生母), 끓이거나 소독하지 않은 맑은 물을 생수(生水), 어떤 사건이나 사물 현상이 어느 곳 또는 세상에 생겨나거나 나타나는 것을 발생(發生), 배우는 사람으로 주로 학교에 다니면서 공부하는 사람을 학생(學生), 학생을 가르치는 사람을 선생(先生), 사람이 태어남을 탄생(誕生), 이 세상에서의 인간 생활을 인생(人生), 일단 못 쓰게 된 것을 손질하여 다시 쓰게 됨 또는 죄를 뉘우치고 마음이 새로워짐을 갱생(更生), 다시 살아나는 것을 회생(回生), 아우나 손아래 누이를 동생(同生), 사람이 삶을 사는 내내의 동안을 평생(平生), 어렵고 괴로운 가난한 생활을 고생(苦生), 살림을 안정시키거나 넉넉하도록 하는 일을 후생(厚生), 사람을 산채로 땅에 묻음을 생매장(生埋葬), 생명이 있는 물체를 생명체(生命體), 이유도 없이 공연히 부리는 고집을 생고집(生固執), 날것과 찬 것을 생랭지물(生冷之物), 산 사람의 목구멍에 거미줄 치지 않는다는 생구불망(生口不網), 삶은 잠깐 머무르는 것이고, 죽음은 돌아간다는 생기사귀(生寄死歸), 삶과 죽음, 괴로움과 즐거움을 통틀어 일컫는 말을 생사고락(生死苦樂), 살리거나 죽이고, 주거나 뺏는다는 생살여탈(生殺與奪), 학문을 닦지 않아도 태어나면서 부터 안다는 생이지지(生而知之) 등에 쓰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