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시가 광역버스 대신 전세버스를 대거 투입해 시로부터 지원금을 챙긴 경진여객운수㈜에 대해 조사(본보 11월22일·24일·28일·12월7일자)를 벌이는 가운데, 한 달이 넘도록 뚜렷한 결과가 나오지 않으면서 경진여객운수㈜ 편의 봐주기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27일 수원시에 따르면 시는 지난달 25일 경진여객을 비롯한 광역 버스노선을 운영하는 버스업체들에 대한 조사에 착수했다. 당시 시는 버스업체를 상대로 배차표 시간 외 전세버스 운행 여부와 시 지원금 부정 수급 등 전방위에 걸쳐 위법행위를 살폈다.
특히 광역버스의 운행을 줄이고 경영진이 대표로 있는 전세버스를 투입, 시 지원금을 받아온 경진여객에 대해 집중조사를 벌였다.
그러나 경진여객을 포함한 버스업체들에 대한 조사 결과가 한달이 지나도 나오지 않으면서 버스업체 편의 봐주기가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되고 있다. 더욱이 시는 조사가 진행되는 동안 버스업체들에 노선별로 현재 진행되는 운행시간을 조정할 것을 지시하면서 의혹이 가중되고 있는 실정이다.
지난 6일 시가 버스업체를 조사하는 과정에서 내놓은 ‘광역버스 혼잡 해소 방안’을 살펴보면, 시는 경진여객과 용남고속 등이 운행하는 전세버스를 대신해 2층 버스와 49인승 버스를 도입한다고 발표했다. 그러나 시 지원금 문제가 빠진 채로 발표되면서 문제 덮기에 급급한 것 아니냐는 지적이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광역버스를 운행하는 버스업체들을 상대로 한 전방위 조사가 마무리 단계에 와 있는 상황”이라면서 “워낙 방대한 자료를 검토하다 보니 조사 결과 발표가 늦어졌을 뿐, 버스업체에 대한 편의 봐주기는 말도 안되는 소리”라고 말했다.
한편 지난 3월 경영진이 바뀐 경진여객은 광역버스 차량과 운행횟수를 줄이는 대신 경영진이 대표로 있는 전세버스를 총 4천여 회 투입하면서 시로부터 4억 원에 달하는 지원금을 받았다는 문제가 제기됐다. 특히 경진여객노조는 출퇴근 시간 혼잡율 개선을 위한 전세버스 투입이 회사의 수익창출 모델로 변질되고 있다고 주장하면서, 노사간 마찰을 빚은 바 있다.
이명관·정민훈기자
<저작권자 ⓒ 경기일보 (http://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