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32장
道常無名. 樸雖小, 天下不敢臣. 侯王若能守, 萬物將自賓, 天地相合, 以降甘露, 人莫之令而自均. 始制有名. 名亦旣有, 夫亦將知止. 知止, 知所以不殆. 譬道之在天下, 猶川谷之與江海.
(아주 먼 옛날의 제후와 임금의 다스림의) 이치는 늘 그러하게 (일부러 일삼아 지어 불린) 이름을 가지는 바가 없었다. (따라서 백성은 무위가 질박한) 통나무가 되었고, 따라서 (백성은 유위를 가지는 바가) 작아지게 되었으며, (따라서) 천하는 감히 신하로 일삼아지지 않게 되었다. (아주 먼 옛날의) 제후와 임금은 (도道를) 지키기를 잘했는데, 백성은 따라서 저절로 그러하게 (무위의) 옷을 입었고, (따라서) 하늘과 땅은 서로 어우러졌으며, 따라서 (하늘과 땅은) 단 이슬을 내렸고, (따라서) 백성은 (일부러 일삼아 그렇게 되도록) 시키는 바를 가지는 바가 없었지만, 저절로 그러하게 (단 이슬을) 고르게 건네받았다. (그러나 지금의 제후와 임금은) 일부러 일삼는 바를 비롯하고, (따라서 백성은 일부러 일삼아) 지어 부르는 이름을 가지는 바가 있다. (지금의 백성은 일부러 일삼아) 이름을 지어 부르는데, 이른바 (일부러 일삼는 바를) 가지는 바가 있는데, 따라서 (지금의 백성은) 유위를 멈출 줄 알아야 한다. 유위를 멈출 줄 알게 되면, (몸이) 위태롭게 되지 않게 되고, (따라서) (몸이) 오래 살며 오래 보여지게 되는 바를 알게 된다. (이른바, 아주 먼 옛날의 제후와 임금의 다스림의 이치는) 도道가 (저절로 그러하게) 천하에 자리하는 모습에 비유되고, 시냇물과 계곡물이 (저절로 그러하게) 강물과 바닷물과 더불어 하는 모습에 비유된다.
道者, 自然而已. 非名言之, 所可容也.
(아주 먼 옛날의 제후와 임금의 다스림의) 이치는 (두 손을 앞으로 모은 채) 저절로 그러한 것일 따름이었다. (따라서 일부러 일삼아) 지어진 이름과 (일부러 일삼아) 불려진 이름은 (백성에게) 품어안아질 수 있는 바가 아니었다. 〔홍석주는 치인治人의 입장에서 이 장을 해석하고 있다〕
大上與道爲一. 民, 亦無得而名之. 此之, 謂樸. 樸者, 質之未毁者也.
(아주 먼 옛날, 무위無爲의 정도와 수준이) 크고 높았던 제후와 임금은 (백성을 다스림에 있어서) 도(道; 自然·性·德·無爲·命)와 더불어 했고, (도道와 더불어) 하나되는 바를 일삼았다. 백성은 따라서 (이름을 일부러 일삼아 짓는 바를) 얻는 바와 (이름) 그것을 (일부러 일삼아) 부르는 바를 가지는 바가 없었다. 이것이 박(樸; 통나무가 되었다)의 뜻이다. (이른바) 박樸은 (아주 먼 옛날, 본래 저절로 그러한 성性대로 무위無爲가 어그러지지 않은 채) 질박했던 (백성의) 모습과 (본래 저절로 그러한 명命대로 무위無爲가 질박한 채) 어그러지지 않았던 (백성의) 모습을 뜻한다.
其次, 則不能不有爲, 旣有爲, 亦不能不有名. 然僅, 可以名言, 而止爾. 文, 不使其勝本, 其去道, 猶未遠也. 此之, 謂知止.
(그러나 시대가 흘러, 노자가 살았던) 그 다음이 되자, (제후와 임금이) 유위有爲하지 않을 수 없(는 세상이)게 되었고, 따라서 (제후와 임금은) 유위有爲하게 되었으며, 따라서 (백성은 일부러 일삼아 지어 부르는) 이름을 가지는 바가 있지 않을 수 없게 되었다. 따라서 (제후와 임금은 백성이 일부러 일삼아) 이름 짓는 바와 (일부러 일삼아) 이름 부르는 바를 삼가도록 하게 되었고, 따라서 (그것이) 멈춰지게 되었을 따름이다. (일부러 일삼은) 겉모양(文; 有爲)이 그 (본래 저절로 그러한) 속바탕(本; 無爲·德·命)을 이기지 못하도록 하게 되었고, (따라서) 그 (본래 저절로 그러한) 도(道; 自然·性)를 떠나가는 바가 멀어지지 않게 되었다. 이것이 지지(知止; 지금의 백성은 유위有爲를 멈출 줄 알아야 한다)의 뜻이다.
道之, 在人也. 把之, 無物, 視之, 無形. 人之, 有道也. 泊然, 若無有, 退然, 若不能, 可謂小矣. 而擧天下, 莫能上之. 故曰不能臣.
도(道; 自然·性·無爲·德·命)는 (본래) 사람에게 자리하는 바이다. (따라서 아주 먼 옛날의 제후와 임금은 도道) 그것을 잡은 채, (일부러 일삼은) 물건(物; 有爲)을 가지는 바가 없었고, (도道) 그것을 살핀 채, (일부러 일삼은) 모양(形; 有爲)을 가지는 바가 없었다. 사람은 (본래) 도道를 가지는 바가 있다. (따라서 아주 먼 옛날의 백성은 무위無爲에) 이르렀고, 따라서 (유위有爲를) 가지는 바가 없었으며, (따라서 유위有爲로부터) 물러났고, 따라서 (유위有爲를 일삼기를) 잘하지 않았다. (이것이) 소(小; 아주 먼 옛날의 백성은 유위有爲를 가지는 바가 작았다)의 뜻이다. 따라서 예를 들어 천하는 (신하로서 다른 사람들의) 위가 되는 바를 잘하는 바를 가지는 바가 없게 되었다. 따라서 (노자는) 일컬었다. “(천하가 감히) 신하로 일삼아지지 않았다.”
賓, 服也.
빈賓은 (비유컨대 무위無爲의 옷을) 입었다는 말이다.
天地之, 和凝. 而爲甘露. 露之, 潤物也. 非有劑量分布, 而自無不均, 物之, 受露也. 亦非有把取營求, 而自無不洽. 道之, 及民, 亦猶是也.
(비유컨대, 아주 먼 옛날) 하늘과 땅은 (도道와 더불어) 어우러지고 아우러졌다. 따라서 (하늘과 땅은) 단 이슬(甘露; 無爲)을 일삼았다. (따라서 단) 이슬은 세상 사람들을 적셨다. (따라서 하늘과 땅은 세상 사람들을 일부러 일삼아) 나눈 채 (단 이슬을) 내리거나, (세상 사람들을 일부러 일삼아) 가른 채 (단 이슬을) 뿌리는 바를 가지는 바가 있지 않았다. 따라서 저절로 그러하게 고르지 않는 바를 가지는 바가 없이, 세상 사람들은 (단) 이슬을 건네받았다. 이른바, (아주 먼 옛날의 하늘과 땅은 단 이슬을 적심에 있어서, 세상 사람들을 일부러 일삼아 나누거나 가르는 바를) 잡거나 얻거나 일삼거나 구하는 바를 가지는 바가 있지 않았는데, 따라서 (세상 사람들은) 저절로 그러하게 적셔지지 않는 바를 가지는 바가 없게 되었다. (아주 먼 옛날의 제후와 임금의 다스림의) 이치가 백성에게 미쳤던 모습이 이와 같았다.
若有意, 人人, 而喣濡, 物物, 而宰制. 則是, 所謂嫗嫗之仁, 孑孑之義, 而非所以爲道矣.
(제후와 임금이 다스림에 있어서 유위有爲한) 마음을 가지는 바가 있게 되면, (『장자莊子』가 「대종사大宗師」에서 일컬은 것처럼) 백성이 (일부러 일삼아 입으로 거품을) 불어내 (상대를) 적시게 되고, 백성이 (일부러 일삼아) 다듬질 되고, (일부러 일삼아) 마름질 되게 된다. 따라서 이것은 (일부러 일삼아) 안아서 따뜻하게 하는 인仁이자, (일부러 일삼아) 홀로 서는 의義로서, (아주 먼 옛날의 제후와 임금의 다스림의) 이치가 아니다.
始制, 不詳, 疑指法度制作而言. 吳幼淸曰, 制, 猶言爲也. 不殆, 謂可長久, 不敝壞也.
시제始制는 (아주 먼 옛날의 시대가 흘러, 노자가 살았던 당시가 되자, 제후와 임금이 백성을 일부러 일삼아 (다듬질하고) 마름질하는 바를 비롯하게 되었다는 말로서, 제후와 임금이 무위無爲에 대한 자세가) 분명하지 못하게 되었다는 뜻이자, (제후와 임금이 무위無爲를) 의심하고, (유위有爲를) 지향한 채, (유위有爲한) 법령과 제도로써, (백성을) 이끌고 일삼게 되었다는 뜻이다. (따라서 중국 원元나라의) 오징(吳澄, 1249~1333)은 (『도덕진경주道德眞經註』 제27장 주註에서) 일컬었다. “제制는 일부러 일삼는 바(爲; 有爲)를 뜻한다. 불태不殆는 (몸이 본래 저절로 그러한 성性·명命대로) 오래 살고 오래 보여지게 되고, (일부러 일삼아) 망가지거나 어그러지지 않게 된다는 뜻이다.”
愚謂, 爲身而徇名者, 身危. 爲國而徇名者, 國亦危. 徇名與徇利, 不同, 然其離道而徇外, 則一也.
(나는) 어리석지만, 일컫는다. “몸을 일부러 일삼는 바로써, (자신의) 이름을 (일부러 일삼아) 드러내게 되면, (그) 몸이 (일부러 일삼아) 위태로워지게 된다. 나라를 일부러 일삼는 바로써, (나라의) 이름을 (일부러 일삼아) 드러내게 되면, (그) 나라가 (일부러 일삼아) 위태로워지게 된다.” (자신의) 이름을 (일부러 일삼아) 드러내고, (나라의) 이익을 (일부러 일삼아) 드러내는 일은 (그 드러내는 대상이 더불어) 같지 않지만, 그것이 도道를 떠나가게 되고, (그 이름과 이익의) 바깥(外; 危·殆)을 드러내게 된다는 것은 하나이다.
川谷, 以猶天下. 江海, 以猶道. 有道者, 在於天下也. 無心於天下. 而天下, 自歸之. 亦猶川谷之, 歸江海也. 然比諸甘露之潤物, 則有迹焉. 故以無名者, 喩露. 而以有名者, 喩江海也.
시냇물과 계곡물은 천하를 비유한다. 강물과 바닷물은 도道를 비유한다. (이른바) 도道를 가지는 바가 있는 사람은 (저절로 그러하게) 천하에 자리한다. (따라서 그는) 천하에 대해 (유위有爲한) 마음을 가지는 바가 없다. 따라서 천하는 저절로 그러하게 그에게 되돌아가게 된다. 이른바, 시냇물과 계곡물은 (저절로 그러하게) 강물과 바닷물로 되돌아간다. 그러나 (강물과 바닷물은 하늘과 땅의) 단 이슬이 세상 사람들을 적시는 것에 비교하면, (유위有爲한) 발자국을 가지는 바가 있다. 따라서 무명無名은 (단) 이슬을 비유한다. 따라서 유명有名은 강물과 바닷물을 비유한다. 〔옮긴이가 생각하기에, 홍석주의 설명은 적절하지 못한 것 같다. 첫째, “강물과 바닷물은 도道를 비유한다”는 문장이나 “유명有名은 강물과 바닷물을 비유한다”는 문장이 상충되기 때문이다. 둘째, 노자가 일컬은 “비도지재천하譬道之在天下, 유천곡지여강해猶川谷之與江海”는 “(아주 먼 옛날의 제후와 임금의 다스림은) 도道가 (저절로 그러하게) 천하에 자리하는 모습에 비유되고, 시냇물과 계곡물이 (저절로 그러하게) 강물과 바닷물과 더불어 하는 모습에 비유된다”로 해석될 수 있기 때문이다〕
첫댓글 잘못된 부분이 있다면, 모두 저의 부족함 탓입니다.
일부 수정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