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힘당 전당대회 7월23일! 전당대회가 윤석열 對 한동훈 구도가 된다면? 趙甲濟
국민의힘 전당대회가 오는 7월23일로 결정된 가운데 김기현 전 국민의힘 대표는 연일 한동훈 전 비대위원장을 비판하고 있다. 그는 지난 13일 페이스북에서 이렇게 지적했다. “실패한 리더십이 아니라 당을 살리고 민생을 살릴 수 있는 새롭고 참신한 리더십을 세워야 한다. 지난 4·10총선에서 이·조(이재명·조국)심판으로 패배했는데도 또다시 그 논쟁에 매몰되어선 안 된다. 지구당 부활 같은 정치권 밥그릇 챙기기가 아니라 민생 문제를 해결하는 데 黨力을 모아야 한다.” 이·조 심판론과 지구당 부활은 한동훈을 지칭한다. 김 전 대표는 한 전 위원장 측이 ‘출마도 정치적 책임’이라는 논리를 펴자 기자들에게 “그건 궤변”이라고 비판했다. 16일 중앙일보와의 통화에서 “새 리더십을 세우지 않으면 국민 중 누가 국민의힘이 변했다고 하겠냐”며 “직접 출마할 생각은 없다. 대표를 지낸 사람으로서 당의 미래에 대한 걱정이 깊어지고 있다”고 했다. 중앙일보에 따르면, 김 전 대표는 최근 사석에서 “한 전 위원장은 두 번의 실패를 했다”며 이렇게 말했다고 한다. “하나는 법무부 장관으로서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법적 문제를 말끔하게 드러내지 못한 점이고, 또 다른 하나는 총선에서 패배한 점이다. 어떻게 그런 분을 우리 당의 세 번째 대표로 모시겠느냐.” 한 전 위원장이 지난 1월 영입 인재로 발표한 삼성전자 사장 출신 고동진 의원, TV조선 앵커 출신 신동욱 의원은 모두 김 전 대표가 지난해 대표를 지낼 때 영입한 뒤 발표만 남겨뒀던 인사였다고 한다. 한 전 위원장이 총선 공약으로 내세웠던 메가시티 정책도 김 전 대표가 지난해 10월 발표한 서울 편입론을 계승한 사안인데도 한 전 위원장은 김 전 대표 관련 언급은 거의 하지 않아 섭섭해 한다고 한다. 안철수 의원이 당 대표 출마를 접은 현재 나경원과 한동훈 대결로 좁혀질 가능성이 높다. 한동훈 전 위원장은 총선이 끝난 지 두 달이 지났는데도 윤석열 대통령을 만나지 않고 있다. 감정적으로 돌이킬 수 없는 관계로 보인다. 윤석열 대통령이 중립을 지킬 수 없는 감정 관계라고 하더라도 지지율이 20%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어 개입하기도 어렵다. 김기현 홍준표 시장 정도가 反한동훈 입장을 명백히 하고 있다. 당 대표 선거에선 여론조사가 20%만 반영되는데 당원 80%가 과거처럼 윤석열 대통령을 맹목적으로 지지할지도 불투명하다. 다만 나경원 의원은 2021년 당 대표 선거에서 당원 표에선 이준석 후보를 이겼지만 여론조사 반영에서 패배한 적이 있고 단단한 토론 실력과 이번 선거에서 이긴 실력이 있다. 윤석열 대통령이나 친윤 세력이 나경원 의원을 밀 것인가, 특히 경상도 현역의원들이 어떻게 나오는가가 볼 거리이다. 한동훈-나경원 대결 구도는 흥행 면에선 성공할 것이지만 후유증은 만만치 않을 것이다. 한동훈이 패배하면 차기 대통령 후보감을 잃는 것이고 이기면 윤석열 대통령이 국힘당을 잃는 것이 될지 모른다. "대통령 탈당"이란 말이 실감 있게 다가 올지도 모른다. 한동훈 전 위원장이 당선되든 낙선하든 국민의힘은 적전분열상을 보여줄 가능성이 있고 이는 윤석열 정부의 앞날을 어둡게 할 것이다. 국힘당은, 2016년 총선 패배 이후 새누리당이 걸어간 길을 거의 답습하고 있다. 최악의 상황은 이번 국힘당 전당대회가 윤석열-한동훈 구도가 되는 것이다. 동아일보 사설은 오늘 <국민의힘의 참패로 귀결된 4·10총선을 지휘했던 책임자로서 뒤늦었지만 평가를 내놓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선거 이튿날 “모든 책임은 내게 있다”며 사퇴한 지 몇 달 만에 같은 자리로 돌아오려면 합당한 이유가 제시돼야 한다는 것이다. 사설은 <이번 당 대표 출마가 혹여 총선을 주도하면서 형성된 인지도와 당내 영향력을 내려놓기 아까워서라면 곤란하다>면서 <지금 출마하지 않으면 잊혀질 것이라는 조급함 때문이라면 더욱 그렇다>고 했다. <집권당을 용산의 방패막이 역할에 머물게 할지, 필요할 때 할 말을 하는 집권당으로 만들지에 대한 설명도 나와야 한다. 정치는 시작할 때도 그렇지만 복귀할 때 명확하게 설명하는 것이 도리다. 정치인의 재등판은 전에도 있었다는 식의 판에 박힌 말로는 쓰러진 보수 정치를 일으켜 세우기엔 부족하다. 위기의 크기에 걸맞은 비전을 제시해야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