절친(切親)을 생각해 보는 하루
진정한 친구(목월과 지훈)
술 익는 마을마다
타는 저녁놀
진정한 친구
청록파(靑鹿派) 시인
박목월(朴木月, 1916~1978)과
조지훈(趙芝薰, 1920~1968)은
목월이 네 살 많다.
그러나 그들은 친구다.
지훈은 복사꽃이 피어 있는데도
진눈깨비를 뿌리는 희한한
어느 흐드러진 봄날,
목월을 찾아 경주(慶州)로 내려온다.
둘은 석굴암을 오르기 위해
불국사에 들러, 가지고 온
찬술을 나무 그늘에서 나눠 마시고,
그 취기로 지훈이 한기가 들어
재채기를 한다.
형뻘인 목월은 입고 있던 봄 외투를 벗어
오한으로 떨고 있는 지훈의
가슴을 따습게 데워준다.
지훈은 보름 동안 경주에 머물면서
목월과 함께 안강(安康) 자옥산기슭
옥산서원(玉山書院) '독락당(獨樂堂)'에
방 하나를 얻어,
그동안 밀려있던 이야기보따리
끈을 풀어 헤친다.
세상에 관한, 시에 관한,
그리고
그들의 진로에 관한 수많은 얘기들을
나눴으리라.
'차운산 바위 위에
하늘은 멀어 산새가 구슬피
울음 운다.
구름 흘러가는 물길은 칠백 리
나그네 긴 소매 꽃잎에 젖어
술 익는 강마을의 저녁노을이여
이 밤 자면 저 마을에 꽃은 지리라
다정하고 한 많음도 병인 양 하여
달빛 아래 고요히 흔들리며 가노니...'
경주 여행을 마치고 집이 있는
영양(英陽) 주실(注室)
마을로 돌아간 지훈은
위 「완화삼(玩花衫)」이란
시를 써 '목월에게'란 부제를 달아
경주로 보낸다.
지훈은
산새 소리, 유장한 강 물길,
저녁노을, 낙화의 슬픔 등
애잔한 이미지를,
안주할 곳 없는 나그네와 결합시켜
유랑과 한,
그리고 애수가 적절히 가미된
명시로 탄생시킨다.
목월이란 친구가 없었다면
이 시가 세상에 나올 수 있었을까?
친구란 바로 이런 것이다.
'가고 옴'이 친구 사이에서
서로의 이익을 위한 형태로
이뤄질 때는,
그것은 천박하기
짝이 없는 일이지만
목월과 지훈에게서 완성된 시의
'주고받음'은 우리 문학사에 영원히
빛나는 금자탑으로 기록될 것이다.
'강나루 건너서
밀밭 길을
구름에 달 가듯이
가는 나그네
길은 외줄기
남도 삼백 리
술 익는 마을마다
타는 저녁놀
구름에 달 가듯이
가는 나그네...'
목월은 지훈에게서 「완화삼」이란
시를 받고 바로 엎드려
위 「나그네」란 시를 쓴다.
그는 이 시의 표제 옆에
'술 익는 마을의 저녁노을이여
-지훈에게'라고 쓰고,
이를 주실 마을로 올려보낸다.
지훈이 보내온 시의 답시로 쓰인
「나그네」는 「완화삼」의 이미지와
비슷하지만, 절제되고 표백된
간결미는 아주 특출하다.
그래서 이 시는
'우리나라 낭만시의 최고'라고
칭송받는다.
목월에게 지훈이라는 친구가
없었다면 이 시 역시 탄생하지
못했을 것이다.
친구는 그래서 위대하다.
세상에는
세 종류의 친구가 있다고 한다.
꽃과 같은 친구,
저울과 같은 친구,
산과 같은 친구가
이들 세 유형이다.
꽃과 같은 친구는
지고 나면 돌아보지 않고,
저울과 같은 친구는
이익을 먼저 따져 무거운
쪽으로 기운다고 한다.
그런데,
산과 같은 친구는
생각만 해도 마음이 든든하고,
한결 같은 마음이 변하지
않는다고 한다.
‘산과 같은 친구'가
같은 하늘 아래 살건만
쉬이 못 만나고 있으니
이 또한 슬픈 일 아닌가...
나이가 드니
참 벗의 소중함이
더욱 간절해지는 오늘이다.
절친(切親)을 생각해 보는 하루
옛말에 신발과 친구와 마누라는
오래될수록 편안하다는 말이 있다.
그래서 그런지 친구 사이를 논하는
사자성어가 많다.
물고기와 물의 관계처럼,
뗄래야 뗄 수 없는 특별한 친구 사이를
수어지교(水魚之交, 군신, 부부,
유비와 제갈공명)라 했고,
간과 쓸개를 서로 내놓고 보인다는 뜻으로
서로 마음을 터놓고 허물없이 지내는 친구 사이를
간담상조{肝膽相照, 유종원(兪宗元)과
그의 절친 유우석(兪酉錫)}라 하였으며,
서로 거역하지 않는 친구를
막역지우{莫逆之友, 자사(子祀),
자여(子輿), 자려(子犂),
자래(子來)}라 하였다.
금이나 난초와 같이 귀하고
향기로움을 풍기는 친구를
금란지교{金蘭之交, 『주역(周易)』
계사전(繫辭傳)}라 하고,
관중과 포숙의 사귐과 같은
변함없는 친구 사이를
관포지교(管鮑之交)라 한다.
어릴 때부터 대나무 말을 같이 타고 놀며
같이 자란 친구를
죽마고우{竹馬故友,
환온(桓溫)의 용서를 받지 못 한
은호(殷浩)}라 하고,
친구 대신 목을 내 주어도 좋을 정도로
신빙성이 깊은 친구를
문경지교{刎頸之交, 인상여(藺相如)와
염파(廉頗)}라 하며,
벗끼리 좋은 감화를 주고받는 향기로운 풀인
지초(芝草)와 난초(蘭草) 같은 친구를
지란지교(芝蘭之交, 명심보감 교우편의
내용에서 유래)라고 하였다.
아교(膠)와 옻칠(漆)처럼
끈끈한 사귐이란 뜻으로
아주 친밀하여 떨어질 수 없는 교분(交分)을
이르는 말로 교칠지교{膠漆之交,
백낙천(白樂天)과 원미지(元微之)}라 하였으며,
친구간의 두터운 교분으로
쇠붙이도 끊을 만큼 단단한 우정을
단금지교{斷金之交, 斷琴之交,
백아(伯牙)와 종자기(鐘子期)}라 하였다.
잘 나가던 추사 김정희
(金正喜, 1786~1856) 선생이
41세 때 충청우도 암행어사를
지낸 적이 있었는데,
그 때 비인현감으로 있던
김우명이란 자의 비리가 발견되어
봉고파직시키는 조치를 내린 일이 있었다.
안동 김씨였던 김우명은
이때의 수모를 원한으로 품고
추사를 모함하여
제주도로 귀양살이 유배를 가게되자
그 많던 친구들은 다 어디로 갔는지
뚝 끊어졌고, 찾아오는 친구가
한 사람도 없었다.
그런데 예전에 중국에 사절로 함께 간
선비 이상적이
중국에서 많은 책을 구입하여
유배지인 제주도까지 부쳐왔다.
극도의 외로움과 어려움에
육체적 정신적으로 힘들어 하던
추사 김정희에게
그 책들은 엄청난 위로와 용기,
감동을 주었다.
나중에 추사는
둘 사이의 우정을 한 폭의 그림에 담았다.
그 것이 그 유명한 세한도(歲寒圖)다.
세한도란 논어에서 따 온 말이다.
‘날씨가 차가워지고 난 후에야
소나무의 푸르름을 안다.
(歲寒然後知松栢之後彫也)’
세한도(歲寒圖)
국보 제180호인 세한도(歲寒圖)라는
그림이 있다.
세한도 제목 옆에는
藕船是賞(우선시상)이라 쓰여있는데,
藕船은 제자 이상적(李尙迪,
1804~1865)의 호이며,
'是賞'은 '감상하게나'라는 정도로
해석할 수 있다.
이상적은 추사 김정희
(1786~1856)의 제자로
추사가 유배를 당한 혹독한 상황에서
외면하지 않고 늘 한결 같은 모습으로
곁에 있어준다.
특히 청나라 사신으로 갈 때마다
귀한 최신 서적을 구하여
추사에게 보내기도 한다.
이 그림은 1844년
제주에 유배 중이던 추사 김정희가
한결 같은 모습으로 곁에 있어준
제자 이상적에게 고마운 마음을 담아
건낸 그림이다.
발문에는 다음과 같이 적혀 있다.
‘세한연후지송백지후조
(歲寒然後知松柏之後凋).’
즉 ‘추운 겨울이 되어서야
비로소 소나무와 잣나무가
시들지 않음을 안다’
혹한의 추위 속에서도
변함없이 꿋꿋한 자태를 보이는
소나무와 잣나무를 통해
신의를 저버리지 않는
이상적에 대한 고마움을
표현한 것이다.
냉혹한 겨울이 되어야
소나무와 잣나무가 시들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사람도 마찬가지이다.
어려움을 겪어봐야
제대로 볼 수 있다.
잎이 무성한 여름에는
모든 나무가 푸르지만
날씨가 차가워지는 늦가을이 되면
상록수와 활엽수가 확연히 구분된다.
모름지기 친구관계 또한
이러한 자연의 이치와 무엇이 다르랴?
인생에 있어 삶의 전부는 돈도 아니요,
지위나 권력도 아니다.
상대방의 높고 낮음이 아닌
본연의 덕을 가려 사귀어온
믿음의 친구야 말로 진짜 '벗'이다.
누구나 친구는 많이 있을수록 좋겠지만,
참다운 벗은 그리 흔치 않은데
신의(信義), 의리(義理), 충절(忠節), 지조(志操)로
엮인 세한도 같은 친구가 있기를
기대할 수 있는 삶이 됐으면 좋겠습니다.
오늘도 좋은 친구 만나
멋진 날 만들어 보세요.
감사합니다.
너무나 좋은 글 속삭임
생명보다 더 귀한 것이 뭘까요?
나이가 드니까
나 자신과
내 소유를 위해 살았던 것은
다 없어집니다.
남을 위해 살았던 것만이
보람으로 남습니다.
만약 인생을 되돌릴 수 있다면?
60세로 돌아가고 싶습니다.
젊은 날로는 돌아가고 싶지 않아요.
그 때는 생각이 얕았고,
행복이 뭔지 몰랐으니까요.
65세에서 85세까지가
삶의 황금기였다는것을
그 나이에야 생각이 깊어지고,
행복이 무엇인지,
세상을 어떻게 살아야
하는지를 알게 되었습니다.
나이가 들어서 알게 된 행복은?
사랑하는 사람을 위해
함께 고생하는 것.
사랑이 있는 고생이
행복이라는 것.
맑은 정신상태로는
잘 가본 적이 없는 경지
육신의 나이가 거의 100세에
다다르는 한 석학이
후배 60~70대 젊은이(?)들에게
이야기합니다.
살아보니,
지나고 보니,
인생의 가장 절정기는
철없던 청년시기가 아니라.
인생의 매운 맛,
쓴 맛 다 보고.
무엇이 참으로 좋고
소중한지를 진정
음미할 수 있는 시기
60대 중반~70대 중반이
우리 인생의 절정기입니다.
그렇구나.
나의 인생은 우리의 인생은
아직도 진행형이고
상승기 절정기인 것을
누가 함부로 인생의 노쇠를
논하는가?
인생의 수레바퀴.
인생의 드라마가.
어떻게 돌아갈지 또한
알 수 없지요.
그게 삶이고 인생입니다.
65세이상 들어서신 분은
이제 삶의 황금기의 입구에
서 계십니다. 75세이상 되신 분은
지금 인생의 절정기요
황금시기를 누리고 계십니다.
열심히 사십시오.
즐겁게 사십시오.
베풀고
봉사하며 사십시오.
사랑하며 넓은 마음을
가지고 사십시오.
노자의 섭생(攝生)
대추나무에 대추를 많이 열리게 하려면
염소를 매어 놓는다고 합니다.
묶여있는 염소는 특성상
잠시도 그냥 있지 않고
고삐를 당기며
나무를 흔들어 괴롭힙니다.
그러면 대추나무가 잔뜩 긴장하면서
본능적으로 대추를 많이 열도록 하여
열매를 번식시키려는
필사적 노력을 하게 된다는 것입니다.
식물들이 위기를 느끼면
씨앗 번식에 전력을 다하는 것은
생명에 위기를 느낀 소나무가
솔방울을 많이 만드는 예에서도
볼 수 있는 현상입니다.
우리 몸도 그냥 편히 두면
급속히 쇠퇴하고
질병과 노화에 취약해 집니다.
적게 먹고 많이 움직이고
굽혔다 펴기도 하고
흔들어 주고 문질러 주고
비틀어 주기도 하여야
생기가 살아나고 더욱 발랄해집니다.
노자는 이러한 논리를
귀생(貴生)과 섭생(攝生)으로 설명
했습니다.
귀생(貴生):
자신의 생을 너무 귀하게 여기면
오히려 생이 위태롭게 될 수 있고,
섭생(攝生):
자신의 생을 적당히 불편하게 억누르면
생이 오히려 더 아름다워질 수 있다는
가르침입니다.
선섭생자, 이기무사지
(善攝生者, 以基無死地)
섭생(攝生)을 잘 하는 사람은
죽음의 땅에 들어가지 않는다는
말입니다.
내 몸을 적당히 고생시키는
'섭생'이 '건강'한 생을 산다는 것을 설파한
노자의 지혜가 오늘날에 더욱 돋보입니다.
기분이 우울하면 걸어라.
그래도 여전히 우울하면 다시 걸어라.
(히포크라테스 명언)
在釜大師九回 同期
연호(蓮湖) 구자훈 소설가가
카톡으로 보내준 글 편집
연호 동기는
장남이 동천고, 부산대 의대
이비인후과를 졸업하여
이비인후과 전문의로 개원중이고,
차남이 금성고, 서울대 치대를 졸업하여
치과 전문의로 개업중이고,
둘째 며느리가 안양에서 고교를 졸업하고
이화여대 의대 영상의학과를 졸업하여
전문의로 병원 원장으로 근무하고 있어서.
고소득 선망 직종 의사가 3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