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채소 간(䓸)자는 의부(義符)로 풀 초(艸,艹)자에 성부(聲符)로 간사할 간(姧)자를 했습니다. 간사할 간(姧)자는 의부(義符)로 여자 여(女)자를 상하(上下)로 두 개 하고 옆에 성부(聲符)로 방패 간(干)자를 했습니다. 간사할 간(姦)자는 여자 여(女)자만 세 개를 겹친 글자입니다.
+ + + = 䓸
밥이 쉴 의(䓹)자는 풀 초(艸,艹)자에 밥 식(食)자를 했습니다. 풀 숲 아래에 있는 밥입니다. 풀 숲에 버린 밥이거나 그냥 둔 밥이라도 쉰 밥일 겁니다. 밥 식(食)자는 집에서 배불리 먹을 수 있ㄴ느 것임을 나타냈습니다. 여기서 배불리 먹는다는 뜻은 좋을 량자를 보면 짐작할 수 있을 것입니다.
+ = 䓹
맥문동 미(䓺)자는 의부(義符)로 풀 초(艸,艹)자에 성부(聲符)로 아름다울 미(美)자를 했습니다. 아름다울 미(美)자는 양 양(羊)자 아래에 사람을 나타내는 큰 대(大)자를 해서, 양 같은 사람을 표시한 글자입니다. 양은 희생 제물로 바치는 짐승입니다. 사람에게는 한없이 착하고 좋은 짐승이지요. 아름답다는 말은 바로 희생 제물로 목숨을 바치는 양 같은 사람이라는 뜻입니다.
+ = 䓺
육두구 구(䓻)자는 의부(義符)로 풀 초(艸,艹)자에 성부(聲符)로 도적 구(宼)자를 했습니다. 도적 구(宼,寇)자는 집 면(宀)자 아래에, 으뜸 원(元)자를 하고 그 옆에 두드릴 복(攴,攵)자나 여자 여(女)자를 했습니다. 집에 들어와서 두드려 부수면서 집안에서 가장 으뜸으로 생각하는 것을 훔쳐 가지고 나간다는 뜻을 표시했습니다. 또는 여자도 데리고 도망갔습니다. 육두구(肉荳蔲)는 육두구과의 상록 활엽 교목입니다.
+ = 䓻
모을 수(蒐)자는 풀 초(艸,艹)자에 귀신 귀(鬼)자를 했습니다. 꼭두서니라는 풀은 전설에 의하면 사람의 피가 변하여 된 풀이라고 하여 풀 초(艸,艹)자에 귀신 귀(鬼)자를 했다고 합니다. 귀신의 특징은 머리는 크고, 발은 없어 스르르 날듯이 다니는 것입니다. 보이지는 않지만 이런 귀신의 특징을 상상해서 잘 그린 상형(象形) 글자입니다.
蒐
풀빛 푸른 은(蒑)자는 의부(義符)로 풀 초(艸,艹)자에 성부(聲符)로 성할 은(殷)자를 했습니다. 성할 은(殷)자는 돌아갈 은(㐆)자에 창 수(殳)자를 했습니다. 돌아갈 은(㐆)자는 사람이 돌아 선 모양을 그린 상형(象形) 글자입니다. 성할 은(殷)자는 세력이 큰 것에 맞닥뜨려서 모두 도망가는 모양을 표시한 글자입니다.
+ = 蒑
싸락풀 사(蒒)자는 의부(義符)로 풀 초(艸,艹)자에 성부(聲符)로 스승 사(師)자를 했습니다. 스승 사(師)자는 장수 수(帥)자에서 오른쪽에 한 일(一)자를 더 한 글자입니다. 스승 사(師)자나 장수 수(帥)자는 모두 거느린다는 뜻이 있습니다. 장수 수(帥)자는 깃발을 앞세워 거느린다는 표시를 한 글자입니다. 그런데 스승 사(師)자는 오른쪽에 한 일(一)자를 더하여 장수의 기상을 막아서 그저 거느리기만 하는 사람임을 표시하였습니다. 스승이란 아이가 자라는 것을 지켜보는 사람입니다.
+ = 蒒
순채 순(蒓)자는 의부(義符)로 풀 초(艸,艹)자에 성부(聲符)로 생사 순(純)자를 했습니다. 생사 순(純)자는 의부(義符)로 가는 실 사(糸,糹)자에 성부(聲符)로 진칠 둔(屯)자를 했습니다. 진칠 둔(屯)자는 공격이나 방어를 위하여 한 쪽을 열어놓고 삼면을 둘러싸서 방어를 한 진을 그린 상형(象形) 글자입니다. 졸 순(盹), 광대뼈 순(肫)자는 진칠 둔(屯)자가 들어 있어서 ‘순’으로 읽습니다.
+ = 蒓
모종낼 시(蒔)자는 의부(義符)로 풀 초(艸,艹)자에 성부(聲符)로 때 시(時)자를 했습니다. 때 시(時)자는 의부(義符)로 때를 뜻하는 날 일(日)자에 성부(聲符)로 관청 시(寺)자를 했습니다. 관청 시(寺)자는 흙 토(土)자 아래에 마디 촌(寸)자를 했습니다. 여기서 흙 토(土)자는 발 지(止)자의 변형이고, 마디 촌(寸)자는 팔과 손의 변형입니다. 관청 시(寺)자는 발과 손으로 일을 하는 표시입니다. 관청 시(寺)자는 절 사(寺)입니다.
蒔
성한 모양 온(蒕)자는 의부(義符)로 풀 초(艸,艹)자에 성부(聲符)로 어질 온(𥁕)자를 했습니다. 어질 온(昷)자는 해를 뜻하는 날 일(日)자 아래에 그릇 명(皿)자를 해서 그릇에 담아놓은 물이 햇볕에 따뜻해지는 것을 나타낸 글자입니다. 어질다는 것은 마음이 따뜻한 사람을 일컫는 말입니다.
+ = 蒕
명협의 열매 진(蒖)자는 의부(義符)로 풀 초(艸,艹)자에 성부(聲符)로 참 진(眞)자를 했습니다. 참 진(真)자는 참 진(眞)자의 간체자(簡體字)입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약자(略字)로도 사용합니다. 참 진(眞,真)자는 눈 목(目)자에 눈 목(目)자 위에는 비수 비(匕)자를 했고, 눈 목(目)자 아래는 뿔을 그려서 조개임을 나타냈습니다. 여기서 비수 비(匕)자는 사람을 표시한 글자입니다. 사람이 조개 즉 재물을 보는 마음이 참 마음이라는 뜻입니다. 그 사람의 참 모습을 보려면 돈 거래를 해 보면 안다는 말이 있습니다.
+ = 蒖
지명에 쓰이는 글자 랑(蒗)자는 의부(義符)로 풀 초(艸,艹)자에 성부(聲符)로 물결 랑(浪)자를 했습니다. 물결 랑(浪)자는 물 수(水,氵)자 변에 좋을 량(良)자를 했습니다. 좋을 량(良)자는 어긋날 간(艮)자에 점 주(丶)자를 더해서 어긋나지 않고 순종하는 착하고 좋은 뜻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어긋날 간(艮)자가 밥을 많이 먹어서 외면을 한 글자인데 좋을 량(良)자는 밥을 많이 먹어서 기분이 좋아 만족스러움을 나타낸 글자가 된 것입니다. 수크령 랑(莨), 물결 랑(浪), 사나이 랑(郞), 밝을 랑(朗), 이리 랑(狼), 옥 이름 랑(琅), 산 이름 랑(崀), 햇볕에 쬘 랑(㫰), 광랑나무 랑(桹)자들은 좋을 량(良)자가 들어 있어서 ‘랑’으로 읽습니다. 지명에 쓰이는 글자 랑(蒗)자는 운남성의 지명입니다.
+ = 蒗
찰풀 나(蒘)자는 의부(義符)로 풀 초(艸,艹)자에 성부(聲符)로 붙잡을 나(挐)자를 했습니다. 붙잡을 나(挐)자는 붙잡을 나(拏)자와 동자(同字)입니다. 붙잡을 나(挐)자는 붙잡는 일은 손으로 하니까, 손 수(手,扌,才)자 변에 같을 여(如)자를 했습니다. 같을 여(如)자는 누구나 먹어야 산다는 뜻으로 의부(義府)로 입 구(口)자를 하고, 성부(聲符)로는 여자 여(女)자를 한 글자입니다. 붙잡을 나(挐)자에 같을 여(如)자는 붙잡을 나(拏)자에서 종 노(奴)자를 한 것과 같은 것입니다. 같을 여(如)자를 종 노(奴)자의 변형으로 보는 것이 종 노(奴)자를 같을 여(如)자의 변형으로 보는 것보다 더 합리적이라는 말입니다.
+ = 蒘
입을 몽(蒙)자는 의부(義符)로 풀 초(艸,艹)자에 성부(聲符)로 덮어쓸 몽(冡)자를 했습니다. 덮어쓸 몽(冡)자는 덮을 멱(冖)자 아래에 한 일(一)자를 하고 돼지 시(豕)자를 했습니다. 돼지를 덮어 놓은 모양입니다. 입을 몽(蒙)자는 돼지를 덮은 그림에 풀로 한 번 더 덮은 모양입니다.
蒙
산 마늘 력(蒚)자는 의부(義符)로 풀 초(艸,艹)자에 성부(聲符)로 솥 력(鬲)자를 했습니다. 솥 력(鬲)자는 고대 사용했던 솥을 그린 상형(象形) 글자입니다.
蒚
뚜껑 덮을 결(蒛)자는 의부(義符)로 풀 초(艸,艹)자에 성부(聲符)로 이지러질 결(缺)자를 했습니다. 이지러질 결(缺)자는 장군 부(缶)자에 깎지(활을 쏠 때 손가락에 사용하는 연모) 결(夬)자를 했습니다. 터질 결(決), 항문 결(䏐), 이별할 결(訣), 도려낼 결(抉,刔), 연기나는모양 결(炔), 패옥 결(玦), 쓰르라미 결(蚗), 맺을 결(結)자는 결(夬)자가 들어 있어서 ‘결’이라고 읽습니다.
+ = 蒛
달래 산(蒜)자는 의부(義符)로 풀 초(艸,艹)자에 성부(聲符)로 셀 산(祘)자를 했습니다. 셀 산(祘)자는 보일 시(示)자를 두 개 좌우(左右)로 배열했습니다. 보일 시(示)자는 신 앞에 차려놓은 제사상을 그린 상형(象形) 글자입니다. 제사상이 두 개 나란히 있으니까, 세어본다는 뜻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蒜
줄기와 잎 퍼질 원(蒝)자는 의부(義符)로 풀 초(艸,艹)자에 성부(聲符)로 근원 원(原)자를 했습니다. 근원 원(原)자는 기슭 엄(厂)자에 샘 천(泉)자를 해서 강물의 근원인 샘을 표시한 글자입니다. 샘 천(泉)자는 샘물이 솟아오르는 샘을 표시한 상형(象形) 글자입니다.
蒝
다다를 리(蒞)자는 의부(義符)로 풀 초(艸,艹)자에 성부(聲符)로 다다를 리(涖)자를 했습니다. 다다를 리(涖)자는 의부(義符)로 물 수(水,氵)자 변에 성부(聲符)로 자리 위(位)자를 했습니다. 자리 위(位)자는 사람 인(人,亻)자 변에 설 립(立)자를 했습니다. 사람이 서 있는 자리를 표시한 글자입니다. 다다를 리(莅)자도 자리 위(位)자가 들어 있어서 ‘리’로 읽습니다. 다다를 리(莅)자는 의부(義符)로 풀 초(艸,艹)자에 성부(聲符)로 자리 위(位)자를 했습니다. 자리 위(位)자는 사람 인(人,亻)자 변에 설 립(立)자를 했습니다. 사람이 서 있는 자리를 표시한 글자입니다. 다다를 리(莅)자나 다다를 리(涖)자 모두 자리 위(位)자가 들어 있어서 ‘리’로 읽습니다.
+ + = 蒞
구장 구(蒟)자는 의부(義符)로 풀 초(艸,艹)자에 성부(聲符)로 다듬을 구(竘)자를 했습니다. 다듬을 구(竘)자는 의부(義符)로 설 립(立)자에 성부(聲符)로 글귀 구(句)자를 했습니다. 구장(蒟醬)은 후춧과의 풀입니다.
蒟
나물 식(蒠)자는 의부(義符)로 풀 초(艸,艹)자에 성부(聲符)로 숨쉴 식(息)자를 했습니다. 숨 쉴 식(息)자는 코를 그린 상형(象形) 글자인 스스로 자(自)자 아래에 마음 심(心)자를 해서 사람이 살아 있다는 증거는 숨을 쉰다는 것임을 나타냈습니다. 코는 숨쉬는 것이 본분입니다. 숨 쉴 식(息)자는 하던 일을 잠시 멈추고 쉰다는 뜻도 가지고 있습니다.
+ = 蒠
인동덩굴 방(蒡)자는 의부(義符)로 풀 초(艸,艹)자에 성부(聲符)로 두루 방(旁)자를 했습니다. 두루 방(旁)자는 의부(義符)로 거리를 표시하는 먼데 경(冂)자 아래에 성부(聲符)로 모 방(方)자를 했습니다. 거리를 표시한 것은 두루 먼 범위까지를 포함한다는 뜻입니다. 여기서 설 립(立)자는 거리를 표시하는 먼데 경(冂)자의 변형입니다.
+ = 蒡
까마종이 제(蒢)자는 의부(義符)로 풀 초(艸,艹)자에 성부(聲符)로 덜어낼 제(除)자를 했습니다. 덜어낼 제(除)자는 언덕을 뜻하는 언덕 부(阜,阝)자 변에 나 여(余)자를 했습니다. 언덕 아래 숨어 있는 나를 나타냈습니다. 덜어낼 제(除)자는 나의 생명이 위험하여 언덕 아래 숨어 있는 모습을 해서 생명이 없어지지 않기를 꾀하는 글자입니다. 까마종이는 가지과에 딸린 한해살이풀입니다. 어려서 짙은 자줏빛 작은 열매를 따서 먹었던 기억이 납니다.
蒢
풀이름 서(蒣)자는 의부(義符)로 풀 초(艸,艹)자에 성부(聲符)로 천천할 서(徐)자를 했습니다. 천천할 서(徐)자는 의부로 조금 걸을 척(彳)자에 성부(聲符)로 나 여(余)자를 했습니다. 늘어질 서(䋡), 차례 서(敍), 천천히 걸을 서(俆), 베풀 서(叙), 의심스러울 서(悇), 차례 서(敘), 홀 서(瑹), 두꺼비 서(蜍)자들은 나 여(余)자가 들어 있어서 ‘서’로 읽습니다. 서(蒣)라는 풀은 물고기를 잡는데 사용하는 독이 있는 풀입니다.
+ = 蒣
호장(虎杖) 도(蒤)자는 의부(義符)로 풀 초(艸,艹)자에 성부(聲符)로 도랑 도(涂)자를 했습니다. 도랑 도(涂)자는 물 수(水,氵)자에 나 여(余)자를 했습니다. 나 여(余)자는 무기(창)를 그린 상형(象形) 글자입니다. 자기를 지킨다는 뜻이지요. 도랑도 하나의 자기 방어 수단이 됩니다. 길 도(途), 토할 도(唋), 산 이름 도(峹), 궁글릴 도(捈), 노나무 도(梌), 찰벼 도(稌)자들은 나 여(余)자가 들어 있어서 ‘도’로 읽습니다. 호장은 식물의 이름입니다.
+ = 蒤
향풀 류(蒥)자는 의부(義符)로 풀 초(艸,艹)자에 성부(聲符)로 머무를 류(留)자를 했습니다. 머무를 류(畱)는 머무를 류(留)자와 동자(同字)입니다. 머무를 류(留)자는 성부(聲符)로 장부구멍 묘(卯)자 아래에 의부(義符)로 밭 전(田)자를 했습니다. 버들 류(柳), 죽일 류(劉), 쇠 류(鉚), 월다말 류(駵)자들은 장부구멍 묘(卯)자가 들어 있어서 ‘류’로 읽습니다.
+ = 蒥
자 확(蒦)자는 의부(義符)로 풀 초(艸,艹)자에 성부(聲符)로 새 한 마리 척(隻)자를 했습니다. 새 한 마리 척(隻)자는 새 추(隹)자에 또 우(又)자를 했습니다. 두리번거릴 확(矍)자도 새 한 마리 척(隻)자가 들어 있어서 ‘확’으로 읽습니다. 자 확(蒦)자는 풀밭(艸,艹) 위를 새 한 마리(隻)가 깡충깡충, 일정한 거리를 반복해서 뛰어가는 모양을 자로 재는 것에 비유한 글자입니다.
蒦
사람이름 점(蒧)자는 의부(義符)로 풀 초(艸,艹)자와 무성할 무(戊)에 성부(聲符)로 차지할 점(占)자를 했습니다. 무성할 무(戊)자는 삐침 별(丿)자를 하고 창 과(戈)자를 해서 무기를 들고 삼엄하게 군사들이 서 있는 모양을 나타냈고, 차지할 점(占)자는 차지할 점(占)자는 점 복(卜)자 아래에 입 구(口)를 했습니다. 여기서 점 복(卜)자는 차지한 땅에 내 것이라는 표시로 깃발을 꽂아 표시를 해놓은 모습이고, 입 구(口)자는 차지한 영토를 표시한 글자입니다. 증점(曾蒧)은 한 때 공자를 모셨던 사람입니다.
+ + = 蒧
풀 더부룩할 천(蒨)자는 의부(義符)로 풀 초(艸,艹)자에 성부(聲符)로 예쁠 천(倩)자를 했습니다. 예쁠 천(倩)자는 의부(義符)로 사람 인(人,亻)자에 성부(聲符)로 푸를 청(靑)자를 했습니다. 붉은 비단 천(綪), 나무 이름 천(棈), 상여 차 덮개 천(輤)자들은 푸를 청(靑)자가 들어 있어서 ‘천’으로 읽습니다.
蒨
띠 거적 조(蒩)자는 의부(義符)로 풀 초(艸,艹)자에 성부(聲符)로 구실 조(租)자를 했습니다. 구실 조(租)자는 의부(義符)로 벼 화(禾)자 변에 성부(聲符)로 또 차(且)자를 했습니다. 끈 조(組), 조상 조(祖), 도울 조(助), 도마 조(俎), 거칠 조(粗), 험할 조(阻)자들은 또 차(且)자가 들어 있어서 ‘조’로 읽습니다.
蒩
양하 박(蒪)자는 의부(義符)로 풀 초(艸,艹)자에 성부(聲符)로 펼 부(尃)자를 했습니다. 클 보(甫)자는 보따리를 그린 상형(象形) 글자입니다. 펼 부(尃)자는 클 보(甫)자 아래에 마디 촌(寸)자를 해서 보따리를 푸는 모양을 나타냈고, 오로지 전(專)자는 보따리를 싸는 모양을 나타낸 글자입니다. 펼 부(尃)자와 오로지 전(專)자는 보따리를 풀고 싸는 글자들입니다. 넓을 박(博), 잡을 박(搏), 묶을 박(縛), 불에 말릴 박(煿), 박공 박(牔), 짐승 이름 박(猼), 양하 박(蒪), 박초 박(䗚), 종 박(鎛)자들은 펼 부(尃)자가 들어 있어서 ‘박’으로 읽습니다. 양하(蘘荷_는 생강과에 딸린 숙근초(宿根草)입니다. 파초(芭蕉) 박(蒪)자로 전주(轉注)되었습니다.
+ = 蒪
냉이 씨 차(蒫)자는 의부(義符)로 풀 초(艸,艹)자에 성부(聲符)로 어긋날 차(差)자를 했습니다. 어긋날 차(差)자는 옛 글자를 보면 서로 다르다는 표시를 했습니다. 사람 둘을 그리고 글자 아래에 손 수(手)를 하고 다르다는 표시로 두 이(二)자를 했습니다. 이(二)자는 선을 두 개 그음으로써 서로 다름을 표시한 것입니다. 이 선 두 개가 나중에 장인 공(工)자로 변했습니다. 사람 둘을 그리고 손 수(手)를 하고 두 사람 가운데를 나누어 놓은 것이 양 양(羊)자처럼 보이지마는 양(羊)자가 아니라 사람 둘이 다르다는 것을 그린 표시입니다.
+ = 蒫
풀이름 원(蒬)자는 의부(義符)로 풀 초(艸,艹,䒑)자에 성부(聲符)로 원통할 원(寃)자를 했습니다. 원통할 원(寃,冤)자는 집 면(宀)자 아래에, 토끼 토(兎)자를 했습니다. 면할 면(免)자는 글자의 오른쪽 아래에 점(丶)이 없습니다. 토끼 토(兎)자에는 토끼의 꼬리를 표시하느라고 점(丶)이 있습니다. 잡혀서 집안에서 기르는 토끼는 원통한 토끼입니다. 원통할 원(寃,冤)자는 회의 글자입니다.
蒬
꼴 추(蒭)자는 의부(義符)로 풀 초(艸,艹)자에 성부(聲符)로 꼴 추(芻)자를 했습니다. 꼴 추(芻)자는 왼손 좌(屮)자를 쌀 포(勹)자로 에워싼 모양입니다. 여기서 왼손 좌(屮)자는 풀을 뜻합니다. 풀을 베어 짐승의 먹이로 사용하려고 싸서 갈무려 둔 것이라는 말입니다.
+ = 蒭
앵두나무 욱(蒮)자는 풀 초(艸,艹)자에 오를 흑(隺)자를 했습니다. 오를 흑(隺)자는 덮을 멱(冖)자에 새 추(隹)자를 했습니다. 오를 흑(隺)자에서 덮을 멱(冖)자는 새가 날아오른다는 표시입니다.
蒮
황모 괴(蒯)자는 새끼줄 괴(蒯)자로 전주(轉注)되어 쓰입니다. 새끼줄 괴(蒯)자는‘붕(萠 풀 초(艸,艹)자에 벗 붕(朋)자)를 하고, 칼 도(刀,刂)자를 했습니다. 여기서 풀 초(艸,艹)자에 벗 붕(朋)자를 한 것은 볏짚을 여러 겹 꼬아서 만드는 새끼줄을 나타낸 글자입니다. 칼 도(刀,刂)자는 새끼줄이 길어지면 끊어 사용한다는 뜻입니다. 황모는 띠(茅)의 한 종류입니다.
蒯 + + = 蒯
풀이름 반(蒰)자는 의부(義符)로 풀 초(艸,艹,䒑)자에 성부(聲符)로 돌 반(般)자를 했습니다. 돌 반(般)자는 배 주(舟)자에 창 수(殳)자를 했습니다. 창 수(殳)자는 몽둥이 수(殳)자로 전주 되었습니다. 그러나 실제로 여기서는 상앗대를 표시한 글자입니다. 배와 상앗대, 배가 바로 움직인다는 뜻입니다. 움직이는 배를 나타냈습니다.
+ = 蒰
도박 포(蒱)자는 의부(義符)로 풀 초(艸,艹)자에 성부(聲符)로 사로잡을 포(捕)자를 했습니다. 사로잡을 포(捕)자는 의부(義符)로 손 수(手,扌,才)자 변에 성부(聲符)로 클 보(甫)자를 했습니다. 개 포(浦), 펼 포(鋪), 밭 포(圃)자들은 클 보(甫)자가 들어 있어서 ‘포’로 읽습니다.
+ = 蒱
부들 포(蒲)자는 의부(義符)로 풀 초(艸,艹)자에 성부(聲符)로 개 포(浦)자를 했습니다. 개 포(浦)자는 의부(義符)로 물 수(水,氵)자 변에 성부(聲符)로 클 보(甫)자를 했습니다. 클 보(甫)자는 보따리를 그린 상형(象形) 글자입니다. 사로잡을 포(捕), 포도 포(葡), 펼 포(鋪), 밭 포(圃), 포 포(脯), 먹을 포(哺), 길 포(匍), 달아날 포(逋)자들은 클 보(甫)자가 들어 있어서 ‘포’로 읽습니다.
蒲
배 매는 동아줄 납(蒳)자는 의부(義符)로 풀 초(艸,艹)자에 성부(聲符)로 바칠 납(納)자를 했습니다. 바칠 납(納)자는 의부(義符)로 가는 실 사(糸,糹)자에 성부(聲符)로 안 내(內)자를 했습니다. 안 내(內)자는 일정한 범위를 뜻하는 멀 경(冂)자에 들 입(入)자를 했습니다. 안 내(內)자는 일정한 범위 안인, 그 속을 뜻하는 글자입니다. 고삐 납(軜), 기울 납(衲), 장가들 납(妠), 도룡뇽 납(魶)자들은 모두 내(內)자가 들어 있어서 ‘납’으로 읽습니다.
+ = 蒳
삭조 삭(蒴)자는 의부(義符)로 풀 초(艸,艹)자에 성부(聲符)로 초하루 삭(朔)자를 했습니다. 초하루는 그 달의 첫 번째 날입니다. 거스를 역(屰)자는 그달의 첫 번째 들어가는 날이라는 뜻으로 사용한 글자입니다. 달 월(月)자는 그 달을 가리키는 글자입니다. 삭조(蒴藋)는 넓은 잎 딱총나무입니다.
+ = 蒴
들메끈 혜(蒵)자는 의부(義符)로 풀 초(艸,艹)자에 성부(聲符)로 어찌 해(奚)자를 했습니다. 어찌 해(奚)자는 손톱 조(爪)자 아래에 작을 요(幺)자를 하고, 큰 대(大)자를 했습니다. 곤충의 작은 알을 손으로 줍는 그림입니다. 작은 것에 대한 관심을 보이는 글자이지요. 지름길 혜(蹊), 묶을 혜(傒), 샛길 혜(徯), 나무이름 혜(榽), 씽씽 매미 혜(螇), 창피줄 혜(謑), 뒵뜰 혜(豀), 돼지 새끼 혜(豯), 생가죽신 혜(鞵), 야생말 혜(騱), 생쥐 혜(鼷)자들은 어찌 해(奚)자가 들어 있어서 ‘혜’로 읽습니다. 들메끈은 신을 발에 동여매는 끈입니다.
+ = 蒵
풀 쌓을 분(蒶)자는 의부(義符)로 풀 초(艸,艹)자에 성부(聲符)로 어지러워질 분(紛)자를 했습니다. 어지러워 질 분(紛)자는 의부(義符)로 가는 실 사(糸,糹)자에 성부(聲符)로 나눌 분(分)자를 했습니다. 나눌 분(分)자는 둘로 잘 나누어진 것을 표시하는 여덟 팔(八)자에 칼 도(刀)자를 해서 나눌 때에는 칼로 나눈다는 뜻을 나타냈습니다.
+ = 蒶
풍지 운(蒷)자는 의부(義符)로 풀 초(艸,艹)자에 성부(聲符)로 수효 원(員)자를 했습니다. 수효 원(員)자는 입 구(口)자 아래에 조개 패(貝)자를 했습니다. 여기서 입 구(口)자는 소리를 내어 큰 소리로 재물을 센다는 뜻이고, 조개 패(貝)자는 재물입니다. 수효를 셈하는데 가장 중요한 것은 재물을 헤아리는 일입니다. 덜 손(損)자도 수효 원(員)자가 들어 있어서 ‘손’으로 읽습니다. 평지는 십자화과의 두해살이풀입니다.
+ = 蒷
찔 증(蒸)자는 의부(義符)로 풀 초(艸,艹)자에 성부(聲符)로 김 오를 증(烝)자를 했습니다. 도울 승(丞)자는 받들 승(氶)자 아래에 한 일(一)자를 했습니다. 받들 승(氶)자는 두 손으로 받들어 들고 있는 모양을 표시했습니다. 도울 승(丞)자에서 한 일(一)자를 더한 것은 손으로 도와 받든다는 뜻을 분명하게 한 것입니다. 순일할 증(䒱)자는 받들 승(丞)자가 들어 있어서 ‘증’으로 읽습니다.
蒸
갈대 겸(蒹)자는 의부(義符)로 풀 초(艸,艹)자에 성부(聲符)로 겸할 겸(兼)자를 했습니다. 겸할 겸(兼)자는 겸하여 모은다는 뜻이 있는 모을 집(亼)자 아래에 나무 목(木)자를 두 개하고 그 나무 두 그루를 묶어놓았습니다. 겸한다는 말은 두 개 이상을 모두 겸하고 있다는 뜻입니다. 허구리란 허리 양쪽의 갈비뼈 아래 잘록한 부분을 가리키는 말입니다.
蒹
남가새 질(蒺)자는 의부(義符)로 풀 초(艸,艹)자에 성부(聲符)로 병 질(疾)자를 했습니다. 병 질(疾)자는 의부(義符)로 병들어 기댈 녁(疒)자에 성부(聲符)로 화살 시(矢)자를 했습니다. 화살 시(矢)자는 화살을 그린 상형(象形) 글자입니다. 여기서 화살 시(矢)자는 잃을 실(失)자의 변형입니다. 화살 시(矢)자로 보지 말고 잃을 실(失)자로 보아야 합니다. 차례 질(秩), 갈마들 질(迭), 넘어질 질(跌). 책갑 질(帙)자들은 잃을 실(失)자가 들어 있어서 ‘질’로 읽습니다. 남가새는 남가샛과에 딸린 한해살이풀입니다.
+ = 蒺
부들 약(蒻)자는 의부(義符)로 풀 초(艸,艹)자에 성부(聲符)로 약할 약(弱)자를 했습니다. 약할 약(弱)자는 아직 깃털도 제대로 나지 않은 새의 새기를 그린 상형(象形) 글자입니다. 어찌 보면 잘 구부러지고 약한 활 궁(弓)자에 터럭 삼(彡)자를 해서, 약한 것을 표시했습니다.
蒻
푸를 창(蒼)자는 의부(義符)로 풀 초(艸,艹)자에 성부(聲符)로 창고 창(倉)자를 했습니다. 창고 창(倉)자는 물건을 많이 모아놓았다는 뜻으로 모을 집(亼)자 아래에 물건을 쌓아놓은 모습을 한 글자를 더해서, 창고에 물건을 쌓아놓은 모양을 그린 회의(會意) 글자입니다.
蒼
풀이름 은(蒽)자는 의부(義符)로 풀 초(艸,艹,䒑)자에 성부(聲符)로 은혜 은(恩)자를 했습니다. 은혜 은(恩)자는 인할 인(因)자 아래에 마음 심(心)자를 했습니다. 은혜 은(恩)자는 마음에 인연한 글자입니다. 은혜라는 것이 사람의 마음을 움직이게 하고, 사람의 마음에 원인이 되기도 합니다.
+ = 蒽
협미 미(蒾)자는 의부(義符)로 풀 초(艸,艹)자에 성부(聲符)로 미혹할 미(迷)자를 했습니다. 미혹할 미(迷)자는 의부(義符)로 쉬엄쉬엄 갈 착(辶)자에 성부(聲符)로 쌀 미(米)자를 했습니다. 협미(莢迷)는 가막살나무입니다.
+ = 蒾
쑥 호(蒿)자는 의부(義符)로 풀 초(艸,艹)자에 성부(聲符)로 높을 고(高)자를 했습니다. 높을 고(高)자는 높은 여러 층집을 그린 상형(象形) 글자입니다. 호경 호(鎬), 호걸 호(豪), 가는 털 호(毫), 명주 호(縞), 장마 호(滈), 호쾌할 호(犒), 흴 호(皜)자들은 높을 고(高)자가 들어 있어서 ‘호’로 읽습니다.
蒿
향풀이름 손(蓀)자는 의부(義符)로 풀 초(艸,艹)자에 성부(聲符)로 손자 손(孫)자를 했습니다. 손자 손(孫)자는 아들 자(子)자 변에 이을 계(系)자를 한 글자입니다. 아들을 이어간다는 뜻이지요. 이을 계(系)자는 삐침 별(丿)자 아래에 실 사(糸)자를 했습니다. 실 사(糸)자는 실을 뽑아 뭉치를 만든 실타래를 그린 상형(象形) 글자입니다. 여기서 삐침 별(丿)자는 실타래를 매어 놓은 나무 막대기 같은 것을 표시한 그림입니다. 이을 계(系)자는 어디다가 이어댔다는 뜻이겠지요.
蓀
우거질 진(蓁)자는 의부(義符)로 풀 초(艸,艹)자에 성부(聲符)로 벼이름 진(秦)자를 했습니다. 벼 이름 진(秦)자는 벼의 이름이니까, 벼 화(禾)자에 손을 두 개 그린 글자를 해서 녹봉을 받는 표시를 하려고, ‘𡗗’자를 했습니다. 벼 이름 진(秦)자는 벼슬 이름 진(秦)자로 전주(轉注)되었습니다. 벼슬 이름 진(秦)자는 손을 두 개 그려서 가진다는 뜻을 나타내는 글자인 ‘𡗗’자 아래에 벼 화(禾)자를 해서 녹봉으로 쌀을 받는 것을 표시했습니다.
蓁
명협 명(蓂)자는 의부(義符)로 풀 초(艸,艹)자에 성부(聲符)로 어두울 명(冥)자를 했습니다. 어두울 명(冥)자는 덮을 멱(冖)자 아래에 해를 뜻하는 날 일(日)자를 하고, 날 일(日)자 아래에 여섯 륙(六)자를 해서 해를 아래 위에서 모두 가린 표시를 했습니다. 어두울 명(冥)자는 햇빛을 해의 위와 아래에서 가려서 어두움을 나타낸 회의(會意) 글자입니다. 명협(蓂莢)은 약초의 이름입니다.
蓂
구수 수(蓃)자는 의부(義符)로 풀 초(艸,艹)자에 성부(聲符)로 늙은이 수(叟)자를 했습니다. 늙은이 수(叟)자는 늙은이 수(叜)자와 동자(同字)입니다. 늙은이 수(叟)자는 횃불을 들고 있는 사람을 그려서 집안에서 가장 늙은이가 불을 관리했던 풍속을 알 수 있습니다. 구수는 산초 열매송이입니다.
+ = 蓂
쌓을 축(蓄)자는 의부(義符)로 풀 초(艸,艹)자에 성부(聲符)로 쌓을 축(畜)자를 했습니다. 쌓을 축(畜)자는 밭에다 곤충의 알을 많이 낳아 쌓아놓았다는 뜻에서, 밭 전(田)자에 검을 현(玄)자를 했습니다. 곤충은 알을 낳을 때 한꺼번에 수천 개의 알을 뭉텅이로 낳습니다.
蓄
떠다니는 풀 류(蓅)자는 의부(義符)로 풀 초(艸,艹)자에 성부(聲符)로 흐를 류(流)자를 했습니다. 흐를 류(流)자는 물 수(水,氵)자 변에 깃발 류(㐬)자를 했습니다. 깃발 류(㐬)자는 깃발이 바람에 나부기는 모양을 그린 상형(象形) 글자입니다. 깃발이 바람에 나부끼듯이 그렇게 물이 흐른다는 뜻이지요. 시경(詩經)에 보면 앞부분에 미나리가 물에 흔들리는 모양을 보고 군사들이 깃발을 나부끼며 행진하는 모양으로 비유된 곳이 있습니다.
觱沸檻泉 함천(檻)泉이 솟아올라 흘러가는 곳에서
言采其芹 미나리를 캐노라
君子來朝 군자가 조회하러 오실 때
言觀其旂 깃발이 나부끼듯 하는 미나리
詩經 桑扈之什에서
유희춘이 지은 ‘헌근가’라는 시조(時調)는 시경(詩經)에서의 시상(詩像)을 본받아서 임금에 대한 충성심을 노래했습니다.
미나리 한 포기를 캐어서 씻습니다
년데 아니야 우리 님께 받자오이다
맛이야 긴지 아니커니와 다시 씹어보소서
+ = 蓅
자리 석(蓆)자는 의부(義符)로 풀 초(艸,艹)자에 성부(聲符)로 자리 석(席)자를 했습니다. 자리 석(席)자는 집 엄(广)자 아래에 스물 입(廿)자를 하고 수건 건(巾)자를 했습니다. 지붕 아래에 수건으로 자리를 깔고 여럿이 앉아 있다는 표시입니다. 여러 서(庶)자는 수건 건(巾)자리에 불 화(火,灬)자를 했고, 법도 도(度)자는 수건 건(巾)자리에 또 우(又)자를 했습니다. 집 엄(广)자와 스물 입(廿)자를 한 글자는 일정한 자리를 뜻합니다. 여러 서(庶)자도 자리를 뜻하는 글자이고, 법도 도(度)자도 서열 즉, 자리를 뜻하는 글자입니다. 자리 석(席)자는 분명하게 자리를 표시하려고 자리의 깔개인 수건 건(巾)자를 했지만 다른 글자들은 불 화(火,灬)자나 또 우(又)자 등으로 간접적인 표현을 했습니다.
蓆
풀줄기 골(蓇)자는 의부(義符)로 풀 초(艸,艹)자에 성부(聲符)로 뼈 골(骨)자를 했습니다. 뼈 골(骨)자는 뼈 발라낼 과(冎)자 아래에 고기 육(肉,月)자를 했습니다. 뼈 발라낼 과(冎)자는 살을 발라내서 앙상한 뼈만 그린 상형(象形) 글자입니다.
+ = 蓇
쭉정이 랑(蓈)자는 의부(義符)로 풀 초(艸,艹)자에 성부(聲符)로 사나이 랑(郞)자를 했습니다. 사나이 랑(郞)자는 성부(聲符)로 좋을 량(良)자에 의부(義符)로 읍 읍(邑⻏)자를 했습니다. 물결 랑(浪), 밝을 랑(朗)자는 좋을 량(良)자가 들어 있어서 ‘랑’으로 읽습니다.
蓈
연꽃 용(蓉)자는 의부(義符)로 풀 초(艸,艹)자에 성부(聲符)로 얼굴 용(容)자를 했습니다. 얼굴 용(容)자는 얼굴의 모양을 상형(象形)한 글자입니다. 집 면(宀)자는 머리고, 골 곡(谷)자는 눈과 입을 상형(象形)했습니다. 웃을 소(笑)자는 웃는 얼굴을 그린 상형(象形) 글자입니다. 웃을 소(笑)자에서 대 죽(竹)자는 웃고 있는 눈이고, 어릴 요(夭)자는 웃고 있는 입입니다. 웃으면 입고리가 올라가지요. 웃을 소(笑)자에서 어릴 요(夭)자는 입고리가 올라간 모양을 그린 글자입니다.
蓉
장다리 옹(蓊)자는 의부(義符)로 풀 초(艸,艹)자에 성부(聲符)로 늙은이 옹(翁)자를 했습니다. 늙은이 옹(翁)자는 의부(義符)로 깃 우(羽)자에 성부(聲符)로 공변될 공(公)자를 했습니다. 여기서 공변될 공(公)자는 성부(聲符)이고, 깃 우(羽)자는 의부(義符)로 늙은이는 털이 많다는 뜻입니다.
蓊
덮을 개(蓋)자는 풀 초(艸,艹)자에 덮을 합(盍)자를 했습니다. 덮을 합(盍)자는 그릇을 덮는 덮개를 뜻하는 글자이기에, 그릇 명(皿)자에 그릇의 뚜껑을 그린 갈 거(去)자를 했습니다. 여기서 갈 거(去)자는 그릇의 덮개를 그린 글자입니다. 덮을 합(盍)자는 회의(會意) 글자입니다. 덮을 개(蓋)자에서 풀 초(艸,艹)자도 덮개를 표시하는데 더 도움을 준 것에 불과합니다.
蓋
꾸뻑할 좌(蓌)자는 의부(義符)로 풀 초(艸,艹)자에 성부(聲符)로 절 좌(夎)자를 했습니다. 절 좌(夎)자는 앉을 좌(坐)자 아래에 천천히 걸을 쇠(夊)자를 했습니다. 천천히 걸을 쇠(夊)자는 절을 할 때 발을 굽혀 앉아서 허리를 굽히는 것을 뜻합니다.
+ = 蓌 坐
시초 시(蓍)자는 의부(義符)로 풀 초(艸,艹)자에 성부(聲符)로 늙은이 기(耆)자를 했습니다. 늙은이 기(耆)자는 늙은이를 표시하는 늙을 로(老)자 아래에 가로 왈(曰)자를 했습니다. 늙은이로 부른다는 말입니다. 시초 시(蓍)자는 늙은이 기(耆)자와 통운(通韻)입니다.
蓍
소나무 겨우살이 당(蓎)자는 의부(義符)로 풀 초(艸,艹)자에 성부(聲符)로 당나라 당(唐)자를 했습니다. 당나라 당(唐)자는 집을 뜻하는 집 엄(广)자 안에 붓이나 손을 뜻하는 ‘肀’자와 말을 뜻하는 입 구(口)자가 합하여 된 글자입니다. 당나라 당(唐)자는 황당하다는 뜻도 가지고 있습니다. 당나라 당(唐)자는 구성하고 있는 붓이나 손을 뜻하는 ‘肀’자와 말을 뜻하는 입 구(口)자는 모두 인문학적이고 문화적인 글자들입니다. 당나라는 중국에서 가장 문화가 발달했던 나라입니다.
+ = 蓎
열매 라(蓏)자는 풀 초(艸,艹)자에 덩굴이 약할 유(㼌)자를 했습니다. 덩굴이 약할 유(㼌)자는 열매가 많이 달려서 덩굴이 약하다는 뜻입니다. 덩굴이 약할 정도로 열매가 많이 달렷다는 뜻을 나타냈습니다.
蓏
요 욕(蓐)자는 의부(義符)로 풀 초(艸,艹)자에 성부(聲符)로 욕되게 할 욕(辱)자를 했습니다. 욕되게 할 욕(辱)자는 별 진(辰)자 아래에 마디 촌(寸)자를 했습니다. 여기서 별 진(辰)자는 별이 뜨는 시간인 밤을 뜻합니다. 마디 촌(寸)자는 손가락을 뜻합니다. 지금도 욕을 하려면 팔뚝을 들어 엿 먹이는 모양을 볼 수 있습니다. 욕되게 할 욕(辱)자에 밤을 나타내는 별 진(辰)자가 들어있는 것은 밤에 성적 접촉이 이루어지는 것이 보통이기 때문입니다. 욕은 내보이기 싫은 것을 드러내는 것이 욕입니다. 요 욕(蓐)자는 자리 바닥에 까는 것의 이름입니다.
蓐
도롱이 사(蓑)자는 의부(義符)로 풀 초(艸,艹)자에 성부(聲符)로 쇠할 쇠(衰)자를 했습니다. 쇠할 쇠(衰)자는 옷 의(衣)자를 위 아래로 벌리고 뚫을 관(毌)자를 해서 옷이 해어지고 오래 입어 헌 옷이 된 것을 표시했습니다. 또 쇠할 쇠(衰)자의 옛 글자를 보면 뚫을 관(毌)자는 손을 두 개 연이어 그린 글자로 보입니다. 너무 늙어서 힘이 없어 옷을 입을 때에도 다른 사람이 도와주어야 옷을 입을 수 있다는 표시를 한 글자로도 해석할 수 있습니다. 도롱이 사(簔)자에 대 죽(竹)자가 들어 있는 것은, 도롱이는 비옷으로 대나무를 엮어서 만든 비가 올 때 입는 옷입니다.
+ = 蓑
물풀이름 한(蓒)자는 의부(義符)로 풀 초(艸,艹)자에 성부(聲符)로 추녀 헌(軒)자를 했습니다. 추녀 헌(軒)자는 수레 거(車)자에 방패 간(干)자를 했습니다. 추녀 헌(軒)자는 본래 지붕이 지금 우리가 보는 기와집의 추녀처럼 생긴 수레를 표시한 글자였습니다. 그러다가 지붕이 수레처럼 생긴 집을 헌(軒)이라고 부르게 된 것입니다. 가물 한(旱), 땀 한(汗), 그물 한(罕), 막을 한(扞), 들개 한(豻), 땅이름 한(邗), 팔찌 한(釬), 이문 한(閈), 정강이 뼈 한(骭), 코골 한(鼾)자들은 방패 간(干)자가 들어 있어서 '한'으로 읽습니다. 풀이름 한자는 물풀의 이름입니다.
+ = 蓒
꽃봉오리 배(蓓)자는 의부(義符)로 풀 초(艸,艹)자에 성부(聲符)로 곱 배(倍)자를 했습니다. 곱 배(倍)자는 사람 인(人,亻)변에 침 부(咅)자를 했습니다. 침 부(咅)자는 입(口)에서 나오는 침을 표시한 글자입니다. 입을 벌려서 나오는 소리(音)는 가로 왈(曰)자 위에 설 립(立)을 해서 소리 음(音)자가 되었습니다. 여기서 설 립(立)자는 ‘서다’의 뜻이 아니라 나오는 것을 형상화 시킨 일종의 화살표 같은 표시입니다. 북돋울 배(培), 땅 이름 배(碚), 물어줄 배(賠), 쌓아올릴 배(陪), 불에 쬘 배(焙), 칼집 장식 배(琣)자들은 침 부(咅)자가 들어 있어서 ‘배’로 읽습니다.
+ = 蓓
피 요(蓔)자는 의부(義符)로 풀 초(艸,艹)자에 성부(聲符)로 새끼 양 고(羔)자를 했습니다. 새끼 양 고(羔)자는 양 양(羊)자 아래에 불 화(火,灬)자를 했습니다. 국 갱(羹)자는 새끼 양으로 끓인 국을 표시했습니다. 여기서 아름다울 미(美)자는 맛이 좋다는 뜻입니다. 국 중에는 새끼 양 국이 제일이었던 것입니다. 새끼 양 고(羔)자가 양 양(羊)자 아래에 불 화(火)자를 해서 요리를 한 새끼 양임을 나타냈습니다. 기와 굽는 가마 요(窯), 물 벌창할 요(溔)자는 새끼 양 고(羔)자가 들어 있어서 '요'로 읽습니다.
+ = 蓔
풀이름 계(蓕)자는 의부(義符)로 풀 초(艸,艹)자에 성부(聲符)로 계수나무 계(桂)자를 했습니다. 계수나무 계(桂)자는 나무 목(木)자 변에 홀 규(圭)자를 했습니다. 잎이 가늘고 마디가 굵은 대나무 이름 계(筀), 화덕 계(烓), 금규 계(銈)자들은 홀 규(圭)자가 들어 있어서 ‘계’로 읽습니다.
+ = 蓕
아주까리 비(蓖)자는 의부(義符)로 풀 초(艸,艹)자에 ‘𣬉’자를 했습니다. ‘𣬉’자는 정수리 신(囟)자에 비할 비(比)자를 했습니다. 여기서 아주까리 비(蓖)자의 성부(聲符)는 비할 비(比)자입니다.
+ = 蓖
풀 잘고 촘촘할 종(蓗)자는 풀 초(艸,艹)자에 무리 도(徒)자를 했습니다. 풀 잘고 촘촘할 종(蓗)자는 풀이 무리를 져서 많이 촘촘하게 있는 모양을 나타낸 글자입니다. 무리 도(徒)자는 의부(義符)로 조금 걸을 척(彳)자에 성부(聲符)로 달릴 주(走)자를 했습니다. 달릴 주(走)자는 사람이 달리는 모양을 상형(象形)했습니다. 뛸 도(跿)자도 달릴 주(走)자가 들어 있어서 ‘도’로 읽습니다.
+ = 蓗
싹 곤(蓘)자는 의부(義符)로 풀 초(艸,艹)자에 성부(聲符)로 곤룡포 곤(袞)자를 했습니다. 곤룡포 곤(袞)자는 옷 의(衣)자 안에 산속의 늪 연(㕣)자를 했습니다. 여기서 산속의 늪 연(㕣)자는 공변될 공(公)자의 변형(變形)입니다. 공적(公的)인 옷이라는 뜻일까요?
+ = 蓘
자리 좌(蓙)자는 의부(義符)로 풀 초(艸,艹,䒑)자에 성부(聲符)로 자리 좌(座)자를 했습니다. 앉을 좌(坐)자는 흙 토(土)자 위에 좌우(左右)로 한 사람씩 사람 인(人)자를 두 개 해서, 사람이 흙 위에 앉아 있는 모양입니다. 앉을 좌(坐)자 위에 집 엄(广)자를 하면 자리 좌(座)자가 됩니다. 자리는 일정한 곳을 정해서 앉는 그 자리를 뜻합니다. 집 엄(广)자가 정해진 자리를 뜻합니다. 자리 좌(蓙)자는 흙 위에 앉는다는 뜻이 아니라, 풀로 만든 자리를 가리키는 말입니다.
+ + = 蓙
수산 수(蓚)자는 의부(義符)로 풀 초(艸,艹)자에 성부(聲符)로 닦을 수(修)자를 했습니다. 닦을 수(俢,修)자는 사람 인(人,亻)변이 더 붙어서 인격을 닦는다는 뜻으로 쓰입니다. 닦을 수(㣊)자는 칠 복(攵,攴)자 아래에 터럭 삼(彡)자를 했습니다. 털이개로 먼지를 터는 모양을 상형(象形) 했습니다. 청소를 한다는 말이겠지요. 수산(蓚酸)은 옥살산(oxalic酸)입니다.
+ = 蓚
말 사료 책(蓛)자는 의부(義符)로 풀 초(艸,艹)자에 성부(聲符)로 채찍질할 책(敇)자를 했습니다. 채찍질할 책(敇)자는 의부(義符)로 칠 복(攴,攵)자에 성부(聲符)로 가시 자(朿)자를 했습니다. 가시 자(朿)자는 나무 목(木)자에 가시가 돋은 모양을 한 글자입니다. 채찍 책(策), 풀 가시 책(茦), 붙들 책(拺)자들은 가시 자(朿)자가 들어 있어서 ‘책’으로 읽습니다.
+ + = 蓛
쪽 람(蓝,藍)자는 의부(義符)로 풀 초(艸,艹)자에 성부(聲符)로 볼 감(監)자를 했습니다. 볼 감(監)자는 눈을 뜻하는 신하 신(臣)자 옆에 손을 표시한 또 우(又)자를 하고 그릇 명(皿)자는 했습니다. 제사상을 살피는 모양을 뜻하는 글자입니다. 또는 세수 대야에 물을 담아 놓고 세수하려다가 물에 비친 얼굴을 바라본다는 뜻으로 해석하기도 합니다. 다분히 나르시스(自己愛)적인 글자입니다. 퍼질 람(濫), 쪽 람(藍), 누더기 람(襤), 바구니 람(籃), 잡을 람(擥), 그르칠 람(㜮)자들은 닻줄 람(䌫,纜)자가 들어 있어서 ‘람’으로 읽습니다.
+ = 藍
연꽃봉오리 도(蓞)자는 의부(義符)로 풀 초(艸,艹,䒑)자에 성부(聲符)로 퍼낼 요(舀)자를 했습니다. 퍼낼 요(舀)자는 손을 뜻하는 손톱 조(爪)자 아래에 절구 구(臼)자를 해서 절구 확에 들어 있는 곡식을 퍼내는 모양을 한 회의(會意)글자입니다. 벼 도(稻), 칼전대 도(幍), 밟을 도(蹈), 감출 도(鞱), 감출 도(韜), 여자이름 도(嫍), 기뻐할 도(慆), 꺼낼 도(搯), 가나무 도(槄), 불꽃 도(熖), 끈 도(縚), 의심할 도(謟), 함 도(䤾), 떡소 도(饀), 수수 도(䵚), 물 넘칠 도(滔tāo)자들은 퍼낼 요(舀)자가 들어 있어서 ‘도’로 읽습니다.
+ = 蓞
삽주 계(蓟,薊)자는 의부(義符)로 풀 초(艸,艹)자에 성부(聲符)로 생선을 요리할 결(魝)자를 했습니다. 생선을 요리할 결(魝)자는 물고기 어(魚)자에 칼 도(刂)자를 했습니다. 물고기를 칼로 요리하는 모양을 했습니다.
+ = 薊
궁궁이 싹 리(蓠)자는 의부(義符)로 풀 초(艸,艹)자에 성부(聲符)로 산신 리(离)자를 했습니다. 산 신 리(离)자에는 짐승의 발자국을 그린 상형(象形) 글자도 들어 있습니다. 또는 산신 리(离)자는 산에 있는 신이겠지요. 그래서 산 산(山)자 아래에 무서운 얼굴(凶)을 하고, 산에는 짐승들이 사니까, 짐승 발자국을 그린 발자국 유(禸)자를 했습니다. 산 신 리(离)자는 회의(會意) 글자입니다.
+ = 蓠
인삼(人蔘) 삼(蓡)자는 의부(義符)로 풀 초(艸,艹)자에 성부(聲符)로 담글 침(浸)자를 했습니다. 담글 침(浸)자는 물 수(水,氵)자에 '𠬶'자를 했습니다. 침노할 침(侵), 담글 침(浸), 잠잘 침(寢), 계수나무 침(梫), 요기 침(祲)자들은 모두 ‘𠬶’자가 들어 있어서 ‘침’으로 읽습니다. 인삼 삼(葠)자도 '𠬶'자가 들어 있어서 '삼'으로 읽습니다.
+ = 蓡
땅이름 랑(蓢)자는 의부(義符)로 풀 초(艸,艹,䒑)자에 성부(聲符)로 밝을 랑(朗)자를 했습니다. 밝을 랑(朗)자는 성부(聲符)로 좋을 량(良)자에 의부(義符)로 달 월(月)자를 했습니다. 달 월(月)자는 달을 그린 상형(象形) 글자입니다. 좋을 량(良)자는 어긋날 간(艮)자 위에 점 주(丶)자를 해서 어긋날 간(艮)자와 상대적인 개념의 글자를 삼았습니다. 어긋날 간(艮)자는 밥을 앞에 놓고 외면을 한 글자입니다. 싫다, 나쁘다는 뜻을 나타냈습니다. 좋을 량(良)자는 어긋날 간(艮)자에서 발전한 글자입니다. 물결 랑(浪), 밝을 랑(朗), 이리 랑(狼), 옥 이름 랑(琅), 무덤 랑(埌), 산 이름 랑(崀), 햇볕에 쬘 랑(㫰), 광랑나무 랑(桹), 탐낼 랑(欴), 빛 맑을 랑(烺), 돌 부딪치는 소리 랑(硠), 강아지 풀 랑(稂), 구멍 랑(䆡), 바구니 랑(筤), 큰 배 랑(艆), 수크령 랑(莨), 사마귀 랑(蜋), 농담할 랑(誏), 사슬 랑(鋃), 솟을 대문 랑(閬), 꼬리 흴 랑(駺), 산 이름 랑(崀,㟍)자들은 좋을 량(良)자가 들어 있어서 ‘랑’으로 읽습니다.
蓢
마 여(蓣,蕷)자는 의부(義符)로 풀 초(艸,艹)자에 성부(聲符)로 미리 예(預)자를 했습니다. 미리 예(預)자는 의부(義符)로 머리 혈(頁)자에 성부(聲符)로 나 여(予)자를 했습니다. 미리 예(豫)자도 나 여(予)자가 들어 있어서 ‘예’로 읽습니다. 마 여(蓣)자는 마 여(蕷)자의 간체자(簡體字)입니다.
+ = 蕷
물풀 이름 릉(蓤)자는 의부(義符)로 풀 초(艸,艹)자에 성부(聲符)로 능가할 릉(凌)자를 했습니다. 능가할 릉(凌)자는 얼음 빙(冫)자 변에 언덕 릉(夌)자를 했습니다. 언덕 릉(夌)자는 언덕을 기어오르는 표시입니다. 얼음(冫) 언덕(夌)까지도 오르는 것은 실로 어려움을 능가(凌)하는 일입니다. 능가(凌)한다는 말은 한계를 넘어선다는 말입니다.
+ = 蓤
말 탈 맥(蓦,驀)자는 성부(聲符)로 없을 막(莫)자 아래에 의부(義符)로 말 마(馬)자를 했습니다. 표범 맥(貘)자도 없을 막(莫)자가 들어 있어서 ‘맥’으로 읽습니다.
+ = 驀
풀 망(䓼)자는 의부(義符)로 풀 초(艸,艹)자에 성부(聲符)로 여신 이름 망(娏)자를 했습니다. 여신 이름 망(娏)자는 여자 여(女)자에 삽살개 방(尨)자를 했습니다. 술로 병들 망(痝)자도 삽살개 방(尨)자가 들어 있어서 ‘방’으로 읽습니다.
+ + = 䓼
풀이름 기(䓽)자는 의부(義符)로 풀 초(艸,艹)자에 성부(聲符)로 기록할 기(記)자를 했습니다. 기록할 기(記)자는 의부(義符)로 말씀 언(言)자에 성부(聲符)로 몸 기(己)자를 했습니다.
+ = 䓽
초목이 우거진 모양 사(䓾)자는 의부(義符)로 풀 초(艸,艹)자에 성부(聲符)로 춤출 사(娑)자를 했습니다. 춤출 사(娑)자는 의부(義符)로 여자 여(女)자에 성부(聲符)로 모래 사(沙)자를 했습니다.
+ = 䓾
연꽃봉오리 함(䓿)자는 의부(義符)로 풀 초(艸,艹)자에 성부(聲符)로 함 함(圅)자를 했습니다. 함 함(圅)자는 함 함(函)자의 본자(本字)입니다. 함 함(函)자는 상자를 뜻하는 글자로 입 벌릴 감(凵)자 안에 함에 넣어둔 물건을 뜻하는 글자를 했습니다. 함 함(圅)자도 마찬가지로 입 벌릴 감(凵)자 안에 함에 넣어둔 물건을 뜻하는 글자를 했습니다.
䓿
생강 유(䔀)자는 의부(義符)로 풀 초(艸,艹)자에 성부(聲符)로 왜국 왜(倭)자를 했습니다. 왜국 왜(倭)자는 사람 인(人)자에 맡길 위(委)자를 했습니다. 키 작을 왜(矮)자도 맡길 위(委)자가 들어 있어서 ‘왜'로 읽습니다. 아리따울 유(婑), 갓끈 유(緌)자는 맡길 위(委)자가 들어 있어서 ‘유’로 읽습니다.
+ = 䔀
풀이름 률(䔁)자는 의부(義符)로 풀 초(艸,艹)자에 성부(聲符)로 밤나무 률(栗)자를 했습니다. 밤 률(栗)자는 서녘 서(西)자 아래에 나무 목(木)자를 했습니다. 여기서 서녘 서(西)자는 밤나무의 열매 밤송이를 표시한 글자입니다. 조 속(粟)자는 쌀 미(米)자를 해서 곡식임을 표시했고, 밤 률(栗)자는 나무 목(木)자를 해서 나무에 달린 밤송이를 나타냈습니다.
+ = 䔁
나물로 국을 끓일 자(䔂)자는 의부(義符)로 풀 초(艸,艹)자에 성부(聲符)로 재상 재(宰)자를 했습니다. 재상 재(宰)자는 집을 표시하는 집 면(宀)자 아래에 매울 신(辛)자를 했습니다. 매울 신(辛)자는 죄를 지은 사람에게 벌로 문신을 했던 옛 풍속에서 생긴 글자입니다. 매울 신(辛)자는 문신에 사용하는 뾰족한 도구를 그린 상형(象形) 글자입니다. 임금 벽(辟)자는 집 면(宀)자를 하지 않아서 벌을 마음대로 주는 범위를 정해 놓지는 않았습니다. 굳을 자(鋅)자도 매울 신(辛)자가 들어 있어서 ‘자’로 읽습니다.
䔂
푸성귀 조(䔃)자는 의부(義符)로 풀 초(艸,艹)자에 성부(聲符)로 조상 조(祖)자를 했습니다. 조상 조(祖)자는 의부(義符)로 보일 시(示)자에 성부(聲符)로 또 차(且)자를 했습니다. 또 차(且)자는 고기 덩어리는 그린 상형(象形) 글자입니다. 고기가 또 있다는 표시입니다. 끈 조(組), 도마 조(俎), 도울 조(助), 구실 조(租), 거칠 조(粗), 험할 조(阻)자들은 또 차(且)자가 들어 있어서 ‘조’로 읽습니다.
䔃
요초 요(䔄)자는 의부(義符)로 풀 초(艸,艹)자에 성부(聲符)로 질그릇 요(䍃)자를 했습니다. 질그릇 요(䍃)자는 육 달 월(月,肉)자 아래에 장군 부(缶)자를 했습니다. 여기서 육 달 월(月,肉)자는 손톱 조(爪)자의 변형(變形)으로 손으로 빚는다는 표시이고, 장군 부(缶)자는 손으로 빚어 만든 그릇을 뜻합니다. 요초(瑤草)는 아름다운 풀입니다.
+ = 䔄
가모 가(䔅)자는 의부(義符)로 풀 초(艸,艹)자에 성부(聲符)로 노래 가(哥)자를 했습니다. 노래 가(哥)자는 옳을 가(可)자를 상하(上下)로 두 개 배열했습니다. 가모는 나무 이름입니다.
+ = 䔅
콩 이름 이(䔆)자는 의부(義符)로 풀 초(艸,艹)자에 성부(聲符)로 삵 리(狸)자를 했습니다. 삵 리(狸)자는 개 견(犬,犭)자에 마을 리(里)자를 했습니다.
+ + = 䔆
물고사리 기(䔇)자는 의부(義符)로 풀 초(艸,艹)자에 성부(聲符)로 어찌 기(豈)자를 했습니다. 어찌 기(岂)자는 의부(義符)로 산 산(山)자를 하고 성부(聲符)로 몸 기(己)자를 했습니다. 어찌 기(岂)자는 어찌 개(豈)자와 동자(同字)입니다. 어찌 기(豈)자는 산 산(山)자 아래에 제기 두(豆)자를 해서 산에서 지내는 제사를 뜻했습니다. 제사를 지냄에 있어 ‘어찌 할까?’하는 글자입니다.
+ = 䔇
초목의 열매가 더부룩이 날 공(䔈)자는 의부(義符)로 풀 초(艸,艹)자에 성부(聲符)로 바칠 공(貢)자를 했습니다. 바칠 공(貢)자는 성부(聲符)로 장인 공(工)자에 의부(義符)로 조개 패(貝)자를 했습니다. 재물을 바친다는 말이지요.
+ = 䔈
초목이 성긴 모양 력(䔉)자는 의부(義符)로 풀 초(艸,艹)자에 성부(聲符)로 나무 성글 력(秝)자를 했습니다. 벼 화(禾)자를 두 개 좌우(左右)로 배열해 놓고 나무가 성근 것을 나타내는 글자라고 했습니다. 벼 화(禾)자는 벼꽃을 그린 상형(象形) 글자인데, 여기서는 나무 목(木)자 위에 비침 별(丿)자를 한 글자로 보았습니다.
+ = 䔉
향부자 사(䔋)자는 의부(義符)로 풀 초(艸,艹)자에 성부(聲符)로 깁 사(紗)자를 했습니다. 깁 사(紗)자는 의부(義符)로 실 사(糸)자에 성부(聲符)로 적을 소(少)자를 했습니다. 적을 소(少)자는 작을 소(小)자 아래에 삐침 별(丿)자를 했습니다. 적다는 말과 작다는 말은 다른 뜻입니다. 모래 사(沙), 모래 사(砂), 사탕 사(粆), 모래무지 사(魦)자들은 적을 소(少)자가 들어 있어서 ‘사’로 읽습니다.
+ = 䔋 + + = 䔋
풀이름 병(䔊)자는 의부(義符)로 풀 초(艸,艹,䒑)자에 성부(聲符)로 구슬이름 병(㻂)자를 했습니다. 구슬 이름 병(㻂)자는 의부(義符)로 구슬 옥(王)자에 성부(聲符)로 어우를 병(并)자를 했습니다. 어우를 병(幷,并)자는 사람 두 명의 발을 묶어놓은 그림입니다. 사람 둘이 어우러져 있다는 뜻입니다. 어우를 병(并bìng)자는 어우를 병(幷)자의 간체자(簡體字)이면서 약자(略字)입니다.
+ + = 䔊
풀이름 고(䔌)자는 의부(義符)로 풀 초(艸,艹,䒑)자에 성부(聲符)로 못 고(皋)자를 했습니다. 못 고(皋,皐,皋)자는 흰 백(白)자 아래에 열 십(十)자를 하고 열 십(十)자의 좌우(左右)에 두 이(二)자를 해서 물이 담겨 있는 모양을 나타냈습니다. 못 고(皐)자는 언덕 고(皐)자로 전주(轉注)되어 읽습니다. 못은 낮은 곳이니, 상대적으로 생각하면 언덕도 됩니다. 못에는 물을 가두기 위하여 언덕을 쌓아 둑을 만듭니다. 여기서 흰 백(白)자는 샘 천(泉)자에서와 같이 물이 담겨 있는 못을 그린 글자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못 고(皋,皐,臯)자에서 ‘흰 백(白)자를 뺀’ 글자들은 물이 담겨 있는 못의 물을 나타낸 글자입니다.
䔌
도타울 마(䔍)자는 의부(義符)로 풀 초(艸,艹,䒑)자에 성부(聲符)로 말 마(馬)자를 했습니다. 말 마(馬)자는 말을 그린 상형(象形) 글자입니다.
+ = 䔍
줄 형(蓥,鎣)자는 성부(聲符)로 풀 초(艸,艹)자를 하고 아래에 덮을 멱(冖)자를 한 ‘𤇾’자를 하고, 의부(義符)로 쇠 금(金)자를 했습니다. 실개천 형(滎), 등불 형(熒), 개똥벌레 형(螢)자들은 ‘𤇾’자를 해서 ‘형’으로 읽습니다. 줄 형(蓥)자는 줄 형(鎣)자의 간체자(簡體字)입니다.
鎣
삼태기 조(蓧)자는 의부(義符)로 풀 초(艸,艹)자에 성부(聲符)로 가지 조(條)자를 했습니다. 가지 조(條)자는 바 유(攸)자에 나무 목(木)자를 했습니다. 끈 조(絛), 피라미 조(鯈)자들은 바 유(攸)자가 들어 있어서 ‘조’로 읽습니다. 또는 가지 조(條)자는 사람 인(人)자 변에 곁가지 조(条)자를 했다고도 볼 수 있습니다. 곁가지 조(条)자는 가지 조(條)자의 간체자(簡體字)입니다.
+ = 蓧
기쁠 수(蓨)자는 의부(義符)로 풀 초(艸,艹)자에 성부(聲符)로 말린 고기 포 수(脩)자를 했습니다. 포 수(脩)자는 의부(義符)로 고기 육(肉,月)자에 성부(聲符)로 바 유(攸)자를 했습니다. 바 유(攸)자는 사람 인(人)자 변에 뚫을 곤(丨)자를 하고 칠 복(攵)자를 해서 사람이 몽둥이를 들고 친다는 뜻을 나타냈습니다. 바는 ‘~ 한 바’라는 불완전 명사입니다. 불완전 명사라는 것은 앞에 수식이 와야 뜻이 분명해지는 명사라는 뜻입니다. ‘잘 한 바’라든가, ‘뛰어 간 바’라고 해야 ‘~ 바’의 뜻을 알 수 있습니다. 사람을 때리면 무엇인가 실토를 하여 진실에 가까워진다는 뜻을 표시한 글자 같기도 합니다. 닦을 수(修)자도 바 유(攸)자가 들어 있어서 ‘수’로 읽습니다.
蓨
취어초 모(蓩)자는 의부(義符)로 풀 초(艸,艹)자에 성부(聲符)로 일 무(務)자를 했습니다. 일 무(務)자는 창 모(矛)자 변에 칠 복(攵)자를 하고 칠 복(攵)자 아래에 힘 력(力)자를 해서 창(矛)이나 몽둥이(攵) 같은 무기를 힘으로 사용하는 표시를 했습니다. 취어초(醉魚草)는 측백나뭇과의 낙엽 관목입니다.
蓩
으름덩굴 통(蓪)자는 의부(義符)로 풀 초(艸,艹)자에 성부(聲符)로 통할 통(通)자를 했습니다. 통할 통(通)자는 걸어간다는 뜻이 있는 쉬엄쉬엄 갈 착(辶)자에 길 용(甬)자를 했습니다. 길 용(甬)자는 가로수가 심겨져 있는 길을 그린 상형(象形) 글자입니다. 아플 통(痛), 통 통(桶), 나아갈 통(捅)자들은 길 용(甬)자가 들어 있어서 ‘통’으로 읽습니다.
+ = 蓪
참새소리쟁이 축(蓫)자는 의부(義符)로 풀 초(艸,艹)자에 성부(聲符)로 쫓을 축(逐)자를 했습니다. 쫓을 축(逐)자는 쉬엄쉬엄 갈 착(辶)자 변에 돼지 시(豕)자를 했습니다. 돼지를 좇아가는 모양을 나타낸 회의(會意) 글자입니다. 이를 수(遂)자와 쫓을 축(逐)자는 다른 글자입니다. 참새소리쟁이는 마디풀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입니다.
+ = 蓫
쑥 봉(蓬)자는 의부(義符)로 풀 초(艸,艹)자에 성부(聲符)로 만날 봉(逢)자를 했습니다. 만날 봉(逢)자는 쉬엄쉬엄 갈 착(辶)자변에 끌 봉(夆)자를 했습니다. 끌 봉(夆)자는 의부(義符)로 뒤져서 올 치(夂)자 아래에 성부(聲符)로 예쁠 봉(丰)자를 했습니다.
蓬
암자 암(蓭)자는 의부(義符)로 풀 초(艸,艹)자에 성부(聲符)로 암자 암(庵)자를 했습니다. 암자 암(庵)자는 집 엄(广)자 안에 가릴 엄(奄)자를 했습니다. 가릴 엄(奄)자는 큰 대(大)자 아래에 번개 전(电)자를 했습니다. 그러나 번개 전(电)자는 번개의 뜻이 아니라, 두 손으로 공교할 교(丂)자를 가리고 있는 모양입니다. 두 손으로 가리는 자리는 바로 큰 대(大)자의 사타구니입니다. 부끄러운 부분을 가리고 있는 모양입니다. 암자 암(庵), 암자 암(蓭), 머금을 암(唵), 구덩이 암(埯), 넓을 암(痷), 여물 주머니 암(裺), 향기로울 암(馣), 메추라기 암(鵪), 검푸를 암(黤)자들은 가릴 엄(奄)자가 들어 있어서 ‘암’으로 읽습니다.
+ + = 蓭
연밥 련(蓮)자는 의부(義符)로 풀 초(艸,艹)자에 성부(聲符)로 잇닿을 련(連)자를 했습니다. 잇닿을 련(連)자는 쉬엄쉬엄 갈 착(辶)자에 수레 거(車)자를 해서, 수레가 줄을 지어 잇달아가는 모양을 표시한 회의(會意) 글자입니다.
蓮
우거질 총(蓯)자는 의부(義符)로 풀 초(艸,艹)자에 성부(聲符)로 좇을 종(從)자를 했습니다. 좇을 종(從)자는 네거리를 그린 다닐 행(行)자의 반쪽인, 조금 걸을 척(彳)자에 사람 인(人)자 두 개를 하고 그 아래에 발 지(止)자의 변형인 글자를 했습니다. 사람이 사람을 따른다는 뜻을 표시한 글자입니다. 지금 중국에서는 간체자(簡體字)로 ‘从cóng’자를 사용합니다. 합류할 총(漎), 병든 대나무 총(篵), 창 총(鏦)자들은 좇을 종(從)자가 들어 있어서 ‘총’으로 읽습니다.
+ = 蓯
다섯곱 사(蓰)자는 의부(義符)로 풀 초(艸,艹)자에 성부(聲符)로 옮길 사(徙)자를 했습니다. 옮길 사(徙)자는 길을 뜻하는 조금 걸을 척(彳)자 변에 걸음 보(歨)자를 했습니다. 걸음 보(歨)자는 걸음 보(步)자와 동자(同字)입니다. 걸음 보(步)자나 걸음 보(歨)자는 발 지(止)자를 상하(上下)에 해서 걸을 때 발자국을 떼어 놓는 모습을 나타냈습니다.
+ = 蓰
부평초 펑(蓱)자는 의부(義符)로 풀 초(艸,艹)자에 성부(聲符)로 솜 씻을 병(洴)자를 했습니다. 솜 씻을 병(洴)자는 의부(義符)로 물 수(水,氵)자에 성부(聲符)로 어우를 병(幷)자를 했습니다. 어우를 병(幷)자는 두 사람이 다리를 묶은 모양입니다. 제거할 평(姘), 물리칠 평(拼)자는 어우를 병(幷,并)자가 들어 있어서 ‘평’으로 읽습니다.
+ + = 蓱
물 억새 구(蓲)자는 의부(義符)로 풀 초(艸,艹)자에 성부(聲符)로 지경 구(區)자를 했습니다. 지경 구(區)자는 마을에 땅을 나누어 구획 정리하여 각각의 소유(所有)를 나누어 놓은 그림입니다. 감출 혜(匸)자도 지경을 나눈 표시이고, 입 구(口)자 세 개도 지경을 가까이 두고 나눈 모양입니다.
蓲 + = 蓲