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감초
콩과식물인 감초의 뿌리와 근경이며 맛은 달고, 성질은 평하다 글라이시리진이 함유되어 있는데, 이는 glycyrrheticacid의 2-글루쿠로나이드로 감초의 단맛 성분이다. 이외에 각종 플라보노이드 성분이 함유되어 있다.
감초의 추출물은 티로시나이제의 작용을 억제하는 기능이 있어 멜라닌합성을 방해하는 효능을 가졌으며 색소제거제로서는 코직산이나 비타민C 보다 매우 큰 효능이 있음이 밝혀졌다.
해독작용및 염증을 제거하는 천연 항생제로써 유명한 감초는 여드름, 습진에 좋으며 세포재생, 소염, 진정작용이 있어 기능성 한방화장품의 원료로 빠지지 않는다.
또한 고급 모발용에도 쓰이며 피부를 진정, 보호하고 영양을 공급한다. 화장품의 유독물질을 중화하여 제거하거나 낮추고 모든 약물과 조화를 이루게 한다. 이밖에도 근육의 긴장을 풀어주고 신경을 안정시켜주는 효과가 있다.
결명자
콩과 식물인 결명의 선숙한 종자로 맛은 쓰고 달며, 성질은 서늘하다. 결명자에는 chrysophanol에 모딘, obtusin, aurantio-obtusin, 비타민A가 들어있고 화장품에 폭넓게 쓰이는데, 특히 피부병인 건선, 각기병 등과 두피질환인 두부백선, 모낭염, 여드름등의 질병을 치료하고 색소로써 화장품에 색감을 더해주기도 한다.
또한 chrysophanol, 에모딘이 함유되어 두발, 얼굴용 화장품 속에서 방부제나 산화방지제로도 쓰이고 있다.
구기자
가지과 식물인 구기 혹은 영화구기의 성숙한 과실, 맛은 달고, 성질은 평하다 베타인,다당, 지방,단백질,티아민,라이보플라빈,니코틴산,비타민C 및 칼륨,철, 인,구리,아연 등의 미량원소가 함유되어 있으므로 모발용 제품에 적합하다.
발모제에 구기자 추출물을 첨가하면 탈모를 예방, 치료하고, 멜라닌색소가 신속하게 생성되어 두발이 검고 윤택해진다. 그러므로 인체에 필요한 미량 원소가 부족함으로 인해 머리가 노랗거나 하얗게 변하는 증상을 치료하는데 뛰어나다.
피부각질에도 효과적이며 자외선및 피부의 유해산소로부터 피부를 보호한다. 그러므로 화장품에 쓰면 피부가 부드러워지며 윤택해지고 피부에 영양을 공급하는 효과가있다.
강황
생강과 식물인 강황의 근경, 맛은 맵고 쓰며, 성질은 따뜻하다 강황에는 curcumin과 휘발유가 함유되어 있으며 휘 발유속에는 turmerone,curcumene 및 소량의 phellandrene이 함유되어 있다.
강황으로 만든 목욕제는 각종 피부병을 예방 치료하고, 여드름에는 특히 감염성 여드름을 치료하는데 탁월하며 또한 블랙헤드를 제거한다 강황은 또한 각기병, 습진, 땀띠를 치료하는데 탁월하다.
길경(도라지)
도라지과 식물인 길경의 뿌리로 맛은 쓰고 매우며, 성질은 평하다. 길경에는 각종 사포닌이 함유되어 있는데, 주로 플라티코딘이고 그 외에는 이눌린, 식물성스테롤등이다. 길경을 물에 달린것은 표피의 사상균을 억제하며 길경추출물은 피부미백제로서 피부를 하얗게 만든다.
국화
국화과 식물인 국화의 두상화서로 맛은 달고 쓰며, 성질은 서늘하다. 국화에는 휘발유 외에 chrysan themin, choline, stachydrine, 미량의 비타민 A,B, adenine, 아미노산 및 acacetin 등이 함유되어 있다.
뽀루지,종독에 쓰이고 노화를 방지한다. 피부를 윤택하게 하고 얼굴에 화색이 돌게 한다. 비듬, 심상성, 사마귀,갈색반점에 효능을 보이며 모발을 검게 자라게한다.
거친피부에 국화꽃을 20-30g 푹 삶은물로 하루에 3-5회 씻으면 좋고 머리를 감으면 비듬도 없어진다.
괴화
콩과 식물인 홰나무의 꽃이나 꽃봉오리, 맛은 쓰고, 성질은 서늘하다. 괴화에는 루틴, triterpenoid saponin,베툴린,소포라디올 외에도 소포린A,B,C와 탄닌등이 함유되어있다. 괴하의 루틴성분은 X선을 차단하는 작용을 하므로 화장품에 첨가하면 자외선 차단에 좋고 버짐을 제거하며 모발을 검게한다.
괴각
콩과 식물인 홰나무의 성숙한 과실로 맛은 스고 성질은 차다. 괴각에는 9종의 플라보노이드류와 이소플라보노이드류 화합물이 함유되어 있는데, 그중에서 제니스테임, 소포리코사이드, 소포라비오사이드, kaempferol-클루코사이드C, 소포라플라보놀로사이드와 루틴등이 들어 있다. 치아를 튼튼하게하고 살충하며 모발은 검고 윤택하게 한다.
과루
박과 식물인 하늘타리의 종자(과루인)으로 성질은 차갑다. 하늘타리에는 Triterpenoid aponins, 유기산, 수지, 당류, 알칼로이드,색소 및 지방유 등이 함유되어 있다. 명의별곡 에서는 '얼굴을 윤택하고 아름답게 한다'고 되어있다. 거친피부에는 하늘타리의 뿌리인 과루근을 8-10g을 1회분으로 끓여 하루에 두, 세번 복용하면서 그물을 피부에 바르면 좋다.
고삼
콩과 식물인 고삼의 뿌리, 맛은 쓰고, 성질은 차다 고삼에는 각종 알칼로이드와 플라보놀류가 함유되어 있으며 줄기와 잎에는 luteolin-7-글루코사이드가 함유되어 있다 고삼은 여드름치료에 으뜸인데 중국 금나라의 어의였던 장자화도 여드름치료에 고삼을 썼다는 기록이있다 고삼추출물은 항균과 모발성장을 촉진하는 작용을 하므로 모발제품에 사용하면 좋고 항균, 항염작용으로 피부염이나 알러지에 대해 피부보호 작용을 하며 여성세정용 성분으로 좋다.
갈근
콩과에 속한 다년생 덩굴식물로 칡뿌리를 말하며 약용으로 쓰이는 부위는 약명으로 갈근(뿌리), 갈화(꽃)이고 대표적인 약효는 건위, 해열, 소염작용이다. 상처치료와 지혈에 효과적이 며 유해산소에 의한 피부손상을 최소화 시키고 어혈을 풀어주며 피부를 윤기나게한다.
금은화(인동)
쌍떡잎식물 꼭두서니목 인동과의 반상록 덩굴식물로 여름철 꽃이 피기전에 그 꽃봉우리를 건조한다.
주요 성분으로는 chlorogenic acid, isochlorogenic acid등 chlorogenoids계 화합물이다.
자외선과 유해산소에 의한 색소침착과 피부손상을 억제하고 피부의 염증, 상처치료에 효과적이다. 지혈성 수렴작용으로 피부노화에 도움을 준다.
가시오갈피
쌍떡잎식물 산형화목 두릅나무과의 낙엽관목으로 가시오갈피 Acanthopanax senticosus 또는동속의 근피를 말린것이다. 항산화 효과 및 항스트레스 작용으로 피부노화를 예방하며 해독작용이 있다.
고투콜라
고투콜라 추출물의 주성분은 Hydrocotyl 또는 Gotukola 로 인도, 스리랑카, 남아프리카 등에서 자라는 코투콜라 나무의 잎과 뿌리에서 추출한다. 순환을 촉진하고 Anti-celiulite 기능과 항균,피부염증 및 상처치유에 효과적이며 국내 마데카솔 연고의 주요원료이다.
노회(알로에)
백합과 식물인 큐라소 알로에 혹은 희망봉 알로에의 잎을 채취한 즙을 농축하여 건조시킨것으로 맛은 쓰고 성질은 차다. 약리학적 연구에 따르면 알로에의 살충작용은 실제로는 피부 진균에 대한 억제작용이다.
알로에는 Barbaloin, 소량의 a-포도당,단백질 및 수산칼슘의 결정 등 고도의 활성물질이 들어 있으며 또한 알로에는 18종의 무기원소, 각종 유기산, 비타민B류, 당류, 10여 종의 아미노산이 들어있다. 이들 영양원소는 모두 이온상태에 있으므로 쉽게 피부에 흡수된다.
따라서 알로에는 피부에 필요한 많은 영양소를 보충해주고 피부의 보습과 미백, 살균,소염, 진정효과, 세포재생등에 효과적이다.
노근
화본과 식물인 갈대의 근경으로 맛은 달고 성질은 차다. 노근에는 coixol 및 단백질,지방,탄수화물,asparagin이 함유되어 있다. 노위에는 섬유소,lignin,xylan,회분이 함유되어 있으며 이 밖에도 다량의 비타민B1,B2와 비타민C 및 tricin이 함유되어 있다. 노근에는 coixol와 비타민C가 함유되어 있기 때문에 자외선차단작용이 매우 뛰어나다.
또한 비타민C에는 이중효과가 있는데, 두발속에서 철 대사와 아연, 구리등 일부 미량원소의 평형을 조절하여 두발의 멜라닌세포의 증식을 촉진하므로 두발을 검고 윤기있게 한다. 그러므로 노근추출액을 넣고 모발제품을 만들면 모발의 저항력이 강화된다.
남과자(호박씨)
박과 식물인 호박씨로 맛은 달고 성질은 평하다. 남과자에는 cucurbitine,지방산, 단백질 및 비타민A,B1,B2,C, 카로틴 이 함유되어 있다. 지방유의 주성분은 리놀레산,유산,스테아린산 등의 glycerin ester이다. 남과자에는 풍부한 단백질과 비타민이 함유되어 있으며, 화장품의 배합에 들어가는 스테아린산과 유산이 함유되어 있다.
그러므로 남과자의 유지추출물은 모발보호용 화장품에 쓰이는 이상적인 원료로 모발에 영양을 공급하여 두발을 윤택하게하고 빗질이 잘되도록 한다.
녹두
콩과 식물인 녹두의 종자로 맛은 달고 성질은 서늘하다. 영양가가 풍부하고 비타민A,B,C를 다량 함유하고 있으며 녹두에서 추출한 비텍신 과이소 비텍신이라는 미용 성분은 플라보노이드류로 항산화효과 및 프리다디칼제거기능이 뛰어나 노화예방에 탁월하다.
녹두라는 이름을 만든 푸른색의 염록소는 함염작용을 하여 피부트러블, 알러지, 화장독,여드름,아토피,가려운 피부에도 매우 효과적이다.
또한 피부의 불필요한 지방,각질을 제거하여 지친피부의 세포 회복을 도와 미백작용과 함께 살결을 매끄럽게 한다. 피부재생및 증식을 도와 피부의 젊을 유지시키는데 도움을 주며 항산화작용으로 피부노화를 예방한다.
녹차
산차과 식물인 차나무의 어린잎으로 맛은 달면서도 쓰며 성질은 서늘하다. 차잎에는 섬유소, 비타민B, C, 카로틴 및 각종 미량원소 외에도 디오필린, 디오브로민,카페인, 케르세틴 및 휘발유,탄닌등의 성분이 함유되어 있다.
녹차는 항산화작용과 노화억제, 항알레르기, 구취,입냄새의 제거,염증의 치료, 변비의 개선, 알레르기체질의 개선, 중금석 제거효과, 변비개선, 면역력의 증강등 피부미용과 건강에 매우 유익한 약재이다.
녹차추출물에 들어있는 폴리페놀카테킨은 노화방지에 탁월하며 살균작용과 알레르기에도 효과를 보인다. 탄닌성분이 들어있어 수렴작용을 하며 모공을 수축시키고 세정력이 강한 플라보노이드가 들어있어 린스에 사용하면 비듬방지에도 도움을 준다 또한 기미 주근깨 등을 제거한다.
내복자
십자화과에 속하는 무의 성숙한 종자로 여드름피부에 특효가 있는 내복자는 화농균 억제 및 살균작용을 한다. 내복자, 선복자,백지, 측백엽을 요구르트에 개어 30분 전도 지나 따뜻한 스팀으로 닦으면 여드름으로 인해 거칠고 상처난 피부에 좋다. 하수오와 사용하면 부작용이 있으므로 주의한다.
대황
마디풀과 식물인 장엽대황, 탕구트대황 혹은 약용대황의 근경으로 대황에는 주로 안트라퀴논 유도체를 함유하는데, 일부는 유리상태로 레인, chrysophanol 과 에모딘, 알로에 에모딘, physcion 등이 있고, 대부분은 결합상태로 레인-8-0-글루코사이드, pyscion-8-0 glucoside, 알로에 에모딘 글루코사이드, chrysophanol-glucoside, 센노사이드A/BC/E/F 등이 있다 대황은 항균, 항바이러스, 항진균에 매우 탁월한 효능이 있으므로 방부제와 산화방지제로 쓰기에 적합하다. 또한 피부병인 건선, 각기등과 두피질환인 두부백선, 모낭염 등에 모두 치료효과가 있다.
단삼
꿀풀과 식물인 단삼의 뿌리와 근경으로 맛은 쓰고 성질은 약간 차다. 단삼에는 지용성비키논류 성분이 함유되어 있으며 아연, 구리, 철 등의 미량원소가 함유되어 있어 모발 멜라닌의 생장을 촉진한다.
또한 미량원소의 부족으로 인한 백발증,두발의 푸석함, 두발건조증에 영향을 끼치는 결함을 보완한다. 그러므로 모발용 화장품에 첨가하면 두발의 생장을 촉진하고 검어지게 하는 작용을 한다.
단삼추출액은 화장품에도 첨가되어 여드름에 도움을 주며 피부를 밝고 깨끗하게 하고 혈색이 좋게 해준다.< BR>
동과자
박과 식물인 동과(약호박)의 종자로 동과자에는 사포닌,지방, 요소,스트롤린 등이 함유되어 있다. 동과자 추출물로 만든 화장품은 피부에 영양을 공급하고 주름을 없애는 작용을 한다. 또한 부종,치질, 주사비(딸기코),기미, 입냄새, 악취제거에도 쓰인다.
당귀
미나리과 식물인 당귀의 뿌리로 휘발유가 함유되어 있는데 주성분은 ligustilide, N-butylidence phthalide, angelic ketone, carvacrol 등이다. 이밖에도 수용성 성분인 페롤산, 호박산, 니코틴산, uracil, adenine, 시토스테롤-D-글루코사이드, vanillicacid, scopletin 등이 함유되어있고 또한 다당류와 각종 아미노산, 비타민A, 비타민B, 비타민E 및 인체에 반드시 필요한 각종 원소등이 함유되어있다.
당귀의 이름은 '당연히 돌아간다'라는 뜻으로 인체내의 기와 혈을 되돌리는 제자리로 되돌리는 역활을 하는 약재이다. 월경불순, 생리통, 폐경, 변비등에 효과가 있으며 부족한 혈를 보충하고 혈액순환을 촉진해 주기 때문에 피부에 영양을 주며 깨끗하고 촉촉하게 한다.
풍부한 미량원소의 함유로 두발을 검게 자라게 하고 건강하게 하며 치아를 튼튼하게 한다. 또한 여드름흉터, 갈색반점등을 제거해 준다.
동과
박과 식물인 동광의 과실로 맛은 달고 성질은 차갑다. 동과의 육질에는 지방과 당분이 함유되어 있지 않고, 나트륨의 함량도 매우 낮으며, 칼슘,인,철분등 무기염 및 카로틴, 비타민B, 비타민C등이 함유되어 있다.
이 밖에도 동과의 육질을 외용하면 땀띠를 없앨 수 있다. 예를들면 (중화본초) 에서는 '동과를 잘라서 문질러 주면 땀띠에 매우 좋은 효과가 있다'고 하였다. 동과의 껍질과 속을 제거하고 푹 삶은다음 꿀을 적당량 넣은후 얼굴에 바르고 손으로 얼굴을 문질러 주면 검은얼굴을 희게 하는데 좋다.
도인
장미과에 속한 낙엽소교목인 복숭아나 삼복사의 성숙한 과실의 핵인으로 쓰고 달며 성질은 평하다혈의 움직임을 활발히하여 어혈을 없애므로 생리불순, 생리통에 주로 쓰이고 장을 윤활히하여 배변에 도움을 준다. 피부가 가렵고 건조하거나 기미, 주근깨에 바르면 좋다. 미백,소염 작용을 하며 혈색을 좋게하며 윤기나게 한다. 독은 없으나 임산부는 금하는것이 좋다.
대추
가매나무과 식물인 대추 나무의 과실로 맛은 달고 성질은 따뜻하다 영양이 풍부하여 단백질, 탄수화물, 지방,각종 비타민, 유기산및각종 무기염을 함유하고 있다. 대추에는 비타민C의 함량이 매우 높아서 과일 중에서도 첫 손가락에 꼽히는데, 사과나 복숭아에 비해 100배 가량 많으며, 비타민E, 비타민P의 함량 또한 과일중에 제일이다.
대추는 예로부터 냉증치료에 이용되어 왔으며 말린 대추를 다려 먹으면 몸이 훈훈해지고 혈액순환이 잘 되어 피부나 촉촉해지고 윤택해진다. 대추를 보고 안 먹으면 늙는다는 말이 있을정도로 노화방지와 건강에 도움이 된다.
목향
국화과 식물인 목향,천목향의 뿌리로 맛은 맵고 쓰며, 성질은 따뜻하다. 운목향에는 휘발유가 함유되어 있는데, 휘발유 속에는 주로 aplotaxene,costic acid,costol등 costic알카로이드가 함유되어 있다. 목향은 식물향료이며 각기병등 피부병을 예방,치료하고 발냄새를 제거한다. 혈색을 좋게하며 주름을 제거하고 화장수에 사용하면 상쾌한 향기로 여름을 나며 위생적으로 건강을 유지할 수 있다.
모국
국화과 식물인 서양감국의 꽃 혹은 전초, 맛은 달고 성질은 평이하다. 모국의 전 초와 꽃에는 휘발유가 함유되어 있는데 전초에는0.46-0.67%가 함유되어 있고, 꽃에는 콜린 약 0.32%, apigenin-7-글루코사이드, patulitrin,luteolin-7-글루코사이드, quercimeritrin등의 각종 플라본류가 함유되어 있다. 꽃 속의 점액질은 갈락투론산,갈락토스,목당(크실로스),아라비노스,포도당,람노스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모국은 피부재생을 증강시키고 천식,습진 등에 사용되며 항염증작용을 한다. 휘발유는 부분적으로 일부 해독작용을 하는데 그 작용은 마늘보다 강하다. 또한 자외선을 차단하는 기능을 가지고있다.
맥문동
백합과 식물인 맥문동의 괴근으로 맛은 달고 약간 쓰며, 성질은 차다. 맥문동에는 각종 steroid sap oni n 이 함유되어 있는데, 그 비당체는 ruscogenin이다. 과실에는 ophioside가 함유되어 있는데 kaempferol-3-glucogalactoside이다.
맥동성의 변종괴근에는 각종 steroid saponin 이 함유되어 있는데 각기 ophiopogoninA,B,C,D 등으로 나뉘며, 그중에 ophiopogoninA, B,C의 비당체는 모두 ruscogenin이다. 맥문동에서 우려낸 추출물은 혈당을 저하시키고 세포를 신속하게 회복시킨다. 또한 항균작용이 있으므로 여드름에도 효과가 있고 피부를 윤택하게 한다.
매괴화
장미과 식물인 해당화의 꽃망울로 맛은 달고 약간 쓰며, 성질은 따뜻하다. 매괴화에는 희발유가 함유되어 있으며 꽃에는 케르시트린, 고미질, 탄닌, 지방유, 유기산, 베타카로틴,cyanin, 황색소등이 함유되어 있다. 매괴화는 원형 탈모증을 치료하고 모발에 윤기를 더해 준다.
마늘
백합과 식물인 마늘의 인경으로 맛은 맵고 성질은 따뜻하다. 마늘에 함유된 휘발유에는 매운맛과 특수한 맛이 들어있는데 이는 알리신 및 각종 알릴, 프로필기와 메틸기로 구성된 유황 유기 화합물이다. 마늘에 함유된 알라신은 살균효과가 있으며 아름다운피부와 고운 머리결을 만들어 주는데 탁월한 효과가 있다.
피지의 분비를 억제하는 작용이 있어 모발의 생장을 촉진하고, 혈액순환을 촉진하므로 피부의 활력을 높이며 주름을 감소시키고 원형탈모증과 청년기 탈모에 상당한 효과가 있다.
민들레(포공영)
국화과 식물인 민들레의 전초로 맛은 쓰고 달며 성질은 차다. 포공영에는 taraxasterol, taraxac erin, taraxicin 등이 함유되어 있 다. 또한 비타민C, 아미노산등의 영양물질이 함유되어있어 화장품에 첨가하면 좋다. 알코올에 우려낸 것은 가려움증을 방지하고 비듬을 제거하며 유기산이 함유되어 그 추출물은 방부제로도 쓰인다. 또한 포공영은 진균바이러스를 억제하는 작용을 하므로 목욕제품등에 쓰여 각기병과 버짐등을 치료한다.
마치현
쌍떡잎식물 잎판화군 중심자목 쇠비름과의 한해살이풀로 오메가3 지방산, 비타민, 카로틴, 탄닌산등이 들어있다. 쇠비름은 잎은 푸르고 줄기는 파랗고 꽃은 노랗고 뿌리는 희고 씨는 검은데 이렇게 다섯가지의 색을 갖추었다고 하여 오행초라고도 부른다. 약으로 쓸때는 마치현이라고 부르는데 피부자극및 알러지 반응을 진정시켜주며 피부건조, 노화를 예방하고 항균 및 항진균, 상처치유 효과가 우수하다.
반하
천남성과 식물인 반하의 괴경, 맛은 맵고 성질은 따뜻하며 독이 있다. 반하에는 휘발유,소량의 지방과 전분, 니코틴산, 점액질, 아스파라긴산, 글루타민산, 아르긴산, 베타아미노낙산, 베타시토스테롤 및 3, 4-다이하이드록시벤즈알데히드 등을 함유하고 있다.
또한 약리작용이 cicutine, 니코틴 과 비슷한 알칼로이드로서 프로토아네모닌에 유사한 피부자극물질을 함유하고 있으며 반하의 새싹에는 호모젠티신산 및 베당체가 함유되어 있다. 주사비(딸기코)나 여드름흉터, 부스럼 등에 쓰이는데 단 괴경을 우려낸 것을 화장품에 넣을 때는 반드시 먼저 반하의 독성을 제거하고 그 추출물을 첨가해야 한다.
보골지
콩과 식물인 보골지의 성숙한 과실을 건조시킨것으로 맛은 맵고 쓰며, 성질은 따뜻하다. 보골지의 과실에는 휘발유의 질량수 20%, 유기산, 일종의 methy lglucoside, 알칼리용해성수지,비휘발성 terpene류 기름, sapoooonin이 함유되어 있다. 종자에는 coumarin류 bavachalcone, isobavachalcone,monoterpenenol류 유도체 bakuchiol이 함유되어 있다.
항암, 노화방지 세균억제, 살충 및 에스트로겐 작용이 있고, 광과민성 반응이 있어 내복하거나 피부에 문지르고 난 후 햇빛이나 자외선에 노출하면 국소의 피부에 색소침착이 있을 수 있으므로 주위한다. 보골지 추출물은 백전풍,백색반,마른버짐을 치료하며 항균작용으로 모낭염을 예방,치료하고 가려움,비듬을 제거한다.
비파엽
장미과 식물인 비파의 잎 이며, 맛은 쓰고 성질은 서늘하다 비파엽에는 휘발유,소르바이트, 아미그달린, 우르솔산, 올레아놀산, 주석산,구연산, 사과산,탄닌,비타민B 및 비타민C 등이 함유되어 있다.
말린비파엽이나 신선한 비파엽의 추출액은 혈액순환을 촉진하고 신진대사를 원활하게 하여 피부를 윤택하게 하고 또한 피부염, 한진을 치료하며 일부 작은 주름을 제거하는 등 피부에 유익한 작용을 한다.
복령
다공균과 식물인 복령의 건조한 균핵, 맛은 달고 담백하며, 성질은 평하다. 복령에는 pachyman,pachymin acid 및 단백질, 지방, 레시틴, 콜린, histidine, ergosterol 등이 함유되어 있다.
복령추출액을 첨가하여 만든 화장품은 피부를 매끄럽고 상쾌하게 한다. 피부를 부드럽고 윤택, 탄력있게 하며, 거친피부를 개선한다. 따라서 복력추출액은 건성피부나 노화피부에 좋다.
박하
꿀풀과 식물인 박하의 전초 혹은 잎, 맛은 맵고 성질은 서늘하다. 박하에는 주로 휘발유가 함유되어 있고 추출물인 멘톨은 피부에 청량감을 주므로 클렌징로션이나 화장수에 쓰여 가려움증을 치료하고 습진을 경감시킨다.
박하의 알코올 용액은 방부 효과가 탁월할 뿐아니라 방향성이 있어 방부제나 향료,악취제거제로 쓰인다. 박하는 샴푸에 쓰여 머리를 감은후 시원한 느낌을 주고, 가려움,두피백선을 제거한다.
복분자
산딸기의 일종으로 맛은 달고 시며 성질은 따뜻하다. 피부미용에 탁월하며 알레르기 피부나 예민한 피부를 진정시키는데 좋다. 보습효과 또한 좋아 환절기등에 거칠어진 피부를 개선시키고 윤택하게 한다.
백급
백금은 난초과에 달린 여러해살이 풀로 다른말로 자란, 또는 대암풀이라 불린다. 우수한 수분 보유력으로 피부건조 및 가려움을 예방하며 수렴성 지혈 효과와 함께 항균작용을 하여 상처치료에 도움을 준다. 상처난 부위의 피부재생에 뛰어난 효과를 보이며 옹종,악창등의 피부질환을 치료하는데 도움을 준다.
병풀
병풀은 미나리과에 속하는 다년생 식물이다 학명은 센델라 아시아티카로 20-40m가량 자란잎을 정제수 1,3-B,G 추출하여 얻어진 엑기스로 주요성분은 바이오 플라보노이드, 펙틴, 탄닌,비타민A,C로 이루어져있다.
주요효과로는 혈행촉진, 소염작용 진정작용 여드름 방지가 있으며 화장품과 두발용 제 품에 사용하며 차천조 추출물과 함께 사용하면 효과가 상승한다. 아토피에도 사용되며 주로 수렴화장수나 남성스킨에 혈액순환개선및 항염작용으로 많이 사용된다. 미량의 에센셜오일이 함유되어 있으나 가용화력에 대한 영향은 미미하므로 문제는 없다. 주로 5%이내로 사용된다.
삼칠
오갈피나무과 식물인 삼칠의 뿌리, 맛은 달면서 약간 쓰고, 성질은 따뜻하다. 삼칠에는 플라보노이드와 notoginsenoside,케르세틴,케르시트린,베타시토스테롤 등이 함유되어 있다. 각종 내외상의 출혈과 타박상, 어혈로 인한 통증에 쓰인다. 노화를 억제하며 피부를 촉촉하게 하고 얼굴의 갈색반을 치료한다.
승마
미나리아재비과 식물인 대삼엽승마, 흥안승마, 승마의 근경으로 맛은 맵고 쓰며, 성질은 약간 서늘하다. 승마에는 cimicifugine,salicylic,acid, 카페인산, 페룰산, 탄닌 등이 함유되어 있다. 승마를 홰나무꽃, 도라지와 함께 복용하면 효력이 강화되며 민감성 피부염을 피료하고 소염작용을 한다. 이러한 혼합추출물 속에는 사포닌, 플라보노이드화합물, 터핀류 화합물, 탄닌, 아미노산과 무기류가 함유되어 있는데, 이러한 물질들이 함께 작용하면 혈액순환이 촉진되어 피부모세혈관의 생리기능이 개선된다.
선학초
장미과 식물인 용아초의 전초로 성질은 평하다. 주성분은 agrimonine, gimonolide, grimophol, 탄닌 및 휘발유, 비타민C, K가 함유되어 있다. agrimonine에는 항응고, 항균작용이 있어 지루성 피부염을 야기하는 가려움, 백선과 같은 비늘과 탈모를 치료하고 모남염을 치료한다. 또한 페놀류 물질과 항균,소염성분이 함유되어 좋은 방부효과를 가지고 있으며 선학초의 붉은색은 색소로도 이용된다.
송엽
소나무과 식물인 유송이나 마미송등의 잎으로 맛은 쓰고, 성질은 따뜻하다. 마미송엽에는 휘발유, 당류, 엽록소,카로틴, 비타민C가 함유되어 있다. 송엽추출물은 주로 목욕제품이나 샴푸를 만드는데 사용되며 더러움을 제거하고 살균작용을 한다. 또한 각종 피부병을 예방, 치료하고 가려움과 비듬을 제거하며 피부백선, 모낭염등을 치료하는데 도움을 준다.
송향
소나무과 식물인 마미송이나 그 동속식물의 나무줄기에서 채취한 유상수지를 증류해서 휘발류를 제거한 잔유물로 맛은 쓰고 달며, 성질은 따뜻하다. 송향에는 abietic anhydride 및 아비에틴산,수지탄화수소, 휘발유 및 미량의 고미물질이 함유되어 있다. 두부백선, 탈모증과 눈썹과 모발이 자라지 않는경우, 종기나 신경성피부염, 기미, 얼굴의 얼룩등 각종 피부병을 치료한다.
사간
부처꽃과 식물인 사간의 근경으로 맛은 쓰고 성질은 차가우며 독성이 있다. 꽃과 잎에는 만기페린이 함유되었고 근경에는 belamcandin,iridin,tectoridin,tectorigenin이 함유되어 있다. 사간은 항미생물 작용을 하므로 1:10의 비율로 사간을 달이거나 우려낸 것은 병원성 피부사상균을 억제하고 염증을 제거하며 에스트로겐과 같은 효능을 발휘한다. 무월경 및 종기,창독에도 효과가 있다.
서리
갈매나무과 식물의 과실 즉 지구자남의 열매로 맛은 쓰고 달며, 성질은 서늘하다. 서리의 과실에는 에모딘, chrysophanol,anthranol과 kaempferol 등이 함유되어있고, 종자에는 각종 rhamnodiastase가 함유되어 있다. 껍질에는 에모딘, 알로에, cysophanol 등의 각종 안트라퀴논류가 함유되어 있다. 서리는 기타 식물과 배합되어 여드름을 치료하고, 버짐을 예방, 치료한다.
산조인
갈매나무과 식물인 멧대추나무의 종자로 맛은 달고, 성질은 평하다. 산조인에는 다량의 지방유,단백질과 두 종류의 스테롤이 함유되어 있으며 두가지의 triterpenoid즉 베툴린,베툴린산이 함유되어있다. 이 밖에 jujuboside가 함유되어 있는데, 비당체는 jujubogenin 이고 가수분해를 통해 얻어지는 ebelinlactone은 사포닌의 제2부산물이다. 또한 다량의 비타민C를 함유하고 있다. 산조인은 피부를 윤택하고 부드럽게 하며 알레르기성 피부염,여드름을 치료하고 염증을 제거한다.
사향초
꿀풀과 식물인 사향초의 전초, 맛은 맵고 성질은 따뜻하며, 약간의 독성이 있다. 사향초 성화기의 전초에는 0.8-12% 휘발유가 함유되어 있다. 휘발유에는 주요성분인 타이몰 이외에도 사포닌, 우르솔산과올레아놀산, 카페인산, 크로로젠산, 소량의 플라본화합물 등이 함유되어 있다. 물에서의 용해율이 페놀에서의 용해율보다 1/100 정도 떨어지므로 일반적으로는 알코올에 용해하거나 타이몰로 만들어 화장품에 사용한다. 항균, 항진균작용이 모두 매우 강하므로 일반적으로 두부백선및 두부의 피부병을 예방, 치료 한다. 또한 목욕제, 화장품에 첨가해 각기병 등 각종피부병을 예방하고 치료한다.
상백피
뽕나무과에 속한 낙엽관목인 뽕나무 뿌리의 속껍질로 상백피는 독이 없으며 한약재로 널리 쓰인다. 상백피를 우린 물은 항염 및 소염작용을 하며 해독에도 탁월한 효과가있다. 상백피, 대추, 감초를 1:2:1의 비율로 혼합하여 우려낸물에 곡물가루를 섞어 팩을 해주면 여드름 피부에 탁월한 효과를 나타낸다.
상백피추출물은 미백과 보습, 항균효과를 가지는데 특히 붉은 황토에서 나는 뽕나무의 뿌리가 미백에 효과적이다. 또한 뽕나무의 잎사귀인 상엽은 여드름을 진정시키는 효과가 있고 가지인 상지는 거친피부와 부종, 비만에 효과적이다.
쑥(약쑥)
쑥에는 비타민 A, B1, B2, C가 풍부하고 철분, 칼슘, 칼륨, 인 등 미네랄이 풍부한 알카리성으로 산성화된 현대인의 체질개선에 좋다. 성질은 따뜻하고 쑥의 독특한 향기는 치네롤이라는 정유 성분 때문이다.
연한 쑥잎을 달여 목욕제로 쓰면 혈액순환을 촉진시키고 몸을 따뜻하게 해주어 신경통,근육통,요통,어깨결림등에 도움이 되고 또한 몸안의 노페물과 독소 를 몸밖으로 배출하는 효능이 있어 건강하게 하며 피부를 윤기있고 아름답게 한다. 항균, 소염작용, 살균력이 뛰어나 습진, 땀띠, 여드름 등에 좋으며 기미, 잡티, 넓은모공, 검은피부, 햇볕에 그을린 피부에좋다.
송진
소나무과의 나무가 손상을 입었을때 나오는 발삼으로 깨끗한 것은 무색의 투명한 액체이나 시간이 지나면 희뿌였고 끈질긴 성질이 생기며 수지산에서 나오는 백색고체를 석출한다. 비타민C와 당류가 많아 피부재생에 효과적이며 피비분비 조절하는 기능을한다. 살균작용뿐아니라 모공을 정화시키는데도 좋다.
솔잎
소나무의 잎으로 향토종인 오염되지않은 적송을 사용하는것이 좋고 잎은 그늘에서 말린것을 사용한다.
솔잎에는 비타민A,C,K, 칼슘, 철분, 엽록소가 풍부하게 들어있다. 혈액순환을 촉진하고 호르몬 분비를 원활하게 하여 모세혈관을 튼튼하게하고 노화방지에도 효험이 있다. 빈혈를 치료하고 흰머리를 검게 만들어주며 머리카락을 나게하는데도 도움을 준다.
상처를 빨리 복원시키는데도 탁월하며 주로 봄철에 새롭게 돋는 연한 솔잎을 사용하는데, 여드름, 넓은 모공, 기미, 검은피부의 개선을 위한 팩제로 사용된다.
또한 잇몸이 들뜨거나 통증이 있을때는 솔잎 달인물에 소금을 약간 넣어 입안에 머물고 있으면 통증이 가라앉는다. 통증이 심할때는 솔잎을 몇개 씹어보는것도 좋다.
생강
생강과 식물인 생강의 뿌리, 맛은 맵고, 성질은 따뜻하며 독성이 없다. 생강에는 매우 뛰어난 미용효과가 있다. 생강에 함유된 Gingerol은 심장과 혈관에 일정한 자극을 주어 심장박동을 빨라지게 하고 혈관을 확장하여 피부의 혈액순환을 증가시키므로 피부의 신진대사를 촉진한다.
피부가 어둡고 검은 것은 낙맥의 운행이 원활하지 못하기 때문인데, 생강은 낙맥을 잘통하게 하는 효능이 있다. 탈모에도 좋은 효과가 있어 신선한 생강으로 두피를 문질러 주면 모발의 재생을 자극하는데, 특히 원형 탈모증에 좋다.
삼백초
삼백초는 꽃, 잎,줄기 3개가 모두 희다고 해서 이름붙여진 토종자생식물로 습지의 진흙속에서 옆으로 뻗고 자라며 맛은 달고 매우며 성질은 차갑다. 삼백초는 뛰어난 보습효과로 피부의 수분대사를 활성화 시켜주고 유지시켜주는 작용이 있다. 따라서 삼백초를 사용하면 피부가 촉촉해지고 윤기 가 난다.
삼백초에는 독특한 향이 있는데 그 냄새의 주성분은 강력한 살균작용을 갖고있어 예부터 종기,무좀, 비듬등에 사용해 왔으며 여드름이나 부스럼,습진에도 효과가 뛰어나다. 또한 재생작용도 가지고 있어 기미가 되기 쉬운 여드름에 사용하면 부드럽고 고운 피부로 회복시켜준다. 단 민감한 피부는 주의한다.
수세미
수세미는 많은 수분과 함께 단백질, 카로틴, 식이섬유, 칼슘,칼륨, 철,마그네슘, 나트륨, 필수아미노산, 비타민C등이 들어있다. 풍부한 수분과 카로틴, 비타민은 피부를 진정시키고 활력있게 풍부한 무기질은 자외선을 차단하는 효능을 지닌다.
비타민C와 섬유질이 풍부해 예로부터 효과적인 미용재료로 알려진 수세미는 보습효과와 함께 피부 진정작용이 뛰어나다. 여드름, 기미,잡티, 넓은 모공, 잔주름 등 모든 문제성 피부를 부작용없이 치료해주며 특히 화장독 해독에 좋다. 미백작용도 뛰어나며 피부를 촉촉하고 매끄럽게 가꿔준다 또한 땀띠나 화상, 습진, 손발트는데에도 효과가 있다.
산수유
낙엽교목의 열매껍질을 산수유라하며 성분으로는 코르닌, 모르니시드, 로가닌, 사포닌 등의 배 당체와 유기산과 탄닌산도 들어있다. 상처치료 및 세포보호 활성과 세포증식 및 재생 효과를 보인다 신진대사를 촉진하여 영양분을 고루 공급함으로 피부를 건강히 한다.
인삼
오갈피과 식물인 인삼의 뿌리로 맛은 달고 약간 쓰며 주로 사포닌, anasinsinsene,panaxadili,비타민 A, B, C, 고미질, 무기염 및 각종 아미노산과 펩타이드류, 포도당, 과당, 맥아당, 자당, panose 등이 함유되어 있다.
인삼추출액을 첨가하면 상처를 빨리 아물게 해주고 피부를 부드럽고 윤택하게 한다. 탄력을 더해주고 주름을 억제하며 또한 모발을 튼튼하게 하고 장기간 사용하면 모발이 검어지고 윤기가 나며 탈모에도 도움을 준다.
우슬
비름과 식물인 우슬의 뿌리로 맛은 달고 성질은 평하다. 우슬에는 triterpenoid saponin 이 함유되어 있는데 가수분해하면 올레아놀산이 생성되며, 또한 카리암염이 다량 함유되어 있다. 종자속에도 뿌리에 함유된 triterpenoid saponin 이 함유되어 있다. 우슬추출액은 주름개선에 효과가 있으며 국소부위의 혈액순환을 촉진시킴으로써 허리부위의 염좌, 관절통, 근육통,두통에 대해 효과를 보인다.
오구자
대극과 식물인 오구의 종자로 맛은 달고, 성질은 서늘하며, 독성이 있다. 오구의 과실에는 수분, 회분(재),단백질, 섬유질 및 산화규소, 산화칼륨, 산화마그네슘, 산화질소, 산화철,산화인 등의 미량원소가 함유되어있다. 아미노산에는 아르기닌,아스파라긴산, 타이로신의 함량이 비교적 높기 때문에 소맥단백질에 비해 영양가치가 뛰어나다.
오구자에는 단백질 및, 아미노산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어 오구자에서 추출한 기름은 피부가 거칠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매끄럽게 보호해주고 주름지지 않게 하므로 겨울철 피부보호제로 매우 적절하다. 두발용 화장품에 쓰면 두발에 영양을 준다.
안식향
안식향과 식물인 안식향의 수지로 맛은 맵고 쓰며, 성질은 따뜻하다. 수마트라안식향에는 수지가 대략 90% 함유되어 있는데, 그 주요 성분은 sumaresinolic acid, coniferyl cinnamate 이다.
또한 안식향에는 cinnamic acid가 함유되어 있어 각기병을 치료하는데 효과가 있다. 안식향산은 각질을 용해하여 표면의 염증을 빠르게 제거하고, 모낭상피세포의 증식을 촉진하는 작용을 하므로 여 드름을 제거하고, 페쇄성 여드름을 신속하게 개방성 여드름으로 변화시킨다.
연교
물푸레나무과 식물인 개나리의 과실, 맛은 쓰고, 성질은 차다 연교에는 triterpenoid saponin 이 함유되어 있고 과피에는 스테롤,페놀류 성분, 알칼로이드,사포닌,올레아놀산,coumarin류, 풍부한 비타민과 소량의 휘발류가 함유되어 있다 연교에는 아미노산의 유도체가 함유되어 있어 모발의 가려움, 비듬, 두부백선, 모낭염, 여드름,각기병등을 치료한다.
영지
다공균과 식물인 자지, 혹은 적지의 전주로 맛이 달고 성질은 평하다. 자지에는 유기산과 다당류, 수지ergosterol, gucosamine, mannitol과 다당류가 함유되어 있다. 또한 알카로이드, 수용성단백질과 lactone, cou marin 각종 효소류가 함유되어있다. 과학적 실험을 통해 이러한 성분들이 피부의 수분을 보호하여 주름을 방지하고 미백작용을 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또한 피부탄력의 증가에 도움이 되며 비듬과 모발의 감소에도 도움이된다.
의이인(율무)
화본과 식물인 율무의 종인, 맛은 달고 담백하며, 성질은 서늘하다. 의이인에는 단백질, 지방, 탄수화물, 량의 비타민B 가 함유되어 있고, 종자에는 아미노산, 코익세놀리드, triterpenoid 등이 함유되어 있다. 율무는 피부의 신진대사를 높여 짧은 시간에 피부를 회복시켜주며 피부에 윤기와 탄력을 준다.
지성과 건성, 모든피부에 효과가 있으며 피부트러블과 기미,주근깨,거친피부에 좋다. 각질을 제거해주며 거무스름한 피부를 투명하게 만들어준다. 단 알레르기성 여드름에는 부작용이 있으므로 주의한다.
어성초
잎모양이 모밀과 비슷하여 약모밀이라고도 불리며 어성초란 이름은 잎과 뿌리에서 고기비린내와 같은 향이 나서 붙여진 이름으로 맛은 맵고 성질은 약간차다.
어성초의 주요성분중 데타노일 아세트 알데히드는 설파민 항생제의 40000배의 역가를 지니고 있으며 또한, 쿠에르치트린, 쿠에르체틴,레이노우트린, 이소린, 하이퍼린등의 프라보노이드 성분이 들어있다.
살균,항균, 소염작용으로 여드름과 트러블피부, 땀띠,습진, 아토피에 효과적이며 보습효과로 거칠음을 방지하여 피부를 매끄럽게한다.
율피
밤의 속겁질을 말린것을 율피라고 하는데 율피에는 탄닌성분이 풍부해 잔주름과 기미, 잡티를 없애고 모공을 수축시키는 작용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단 예민한 피부나 아토피성 피부는 사용하지 않는다.
지황
현삼과 식물인 지화의 근경으로 생지황의 경우 맛은 달고 쓰며, 성질은 차다. 숙지화의 경우 약간 따뜻하다. 지화에는 베타 시토스테롤, 소량의 스티그마스테롤,rehmaglutin, 지방산, 비타민류물질,탄수화물 및 아미노산 등이 함유되어 있다. 각기증치료, 피부청결제로 쓰이며 목욕제품은 여성이 월경중에 사용하면 좋고 지황추출물은 유아용으로 적합하다.
지유
장미과 식물인 지유의 뿌리로 성질은 차다. 지유에는 ziyu-glycoside, sanguisorbinA,B, 탄닌이 함유되어 있다. 혈액응고 시간을 단축시키고 혈관을 수축시켜 화상을 치료하는데 쓰인다.
지유로 만든 여드름 치료제는 감염성 여드름에 탁월한 효과가 있으며 화장품에 첨가하면 피부병을 예방하고 습진과 알레르기성 피부염에 좋다.
지부자
명아주과 식물인 지부의 성숙한 과실로 맛은 달고 쓰며 성질은 차다. 지부자에는 triterpenoid, saponin, 지방유, 비타민A류 물질이 함유되어 있다. 지부자에는 독이 없고 결 막,점막에 대한 자극성이 없으며 눈병을 치유하는 효과가 있어 유아용 목욕제품, 화장품을 만드는데 적합하다.
지골피
가지과 식물인 구기나 영하 구기의 근피로 성질이 차다. 골피에는 베타인,베타 시토스테롤,리놀레산이 함유되어 있다. 이밖에도 cinnamic acid, 각종 페놀류 물질이 함유되어 있다. 지골피는 인삼과 더불어 화장품에 쓰이는데 그 작용은 기타 아미노산과 인삼을 함께 응용한것과 같으며, 방부제로도 쓰인다.
적작약
미나리아재비과 식물인 작약,초작약 등의 뿌리로 맛은 시고 쓰며, 성질은 서늘하다. 뿌리에는 페오니플로린이 함유되어 있다. 초작약의 뿌리에는 휘발유,지방유,수지,탄닌,당,전분,점액질,단백질 등이 함유되어 있다. 적작약에는 안식향산및 페놀류가 함유되어있어 기타 한약제와 배합해 방부제로도 쓰인다.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하여 어혈을 제거하는데 효능이 있으므로 나비반점, 주근깨등의 색소침착에 사용된다.
지모
백합과 식물인 지모의 괴경으로 맛은 쓰고 성질은 차다. 지모에는 주로 사포닌이 함유되어 있으며 근경에는 다량의 환원당,점액질, 유산,지 방유,니코틴산,니코틴아마이드, 만기페린 등이 함유되어 있다.
지모의 추출물은 일반적으로 모발용제품에 쓰이는데 가려움을 멎게하고 비듬을 제거한다. 또한 머리가 맑아지고 신경성 두통에도 좋으며 목욕 제품이나 비누에 쓰면 각종 피부병을 예방해준다.
자초
지치과 식물인 자초, 신강자초 혹은 내몽고 자초의 뿌리로 맛은 달고 성질은 차다. 자초에는 acetyls hikonin, hikonin, sobutyryl shikonin, alkannan 등이 함유되어 있다. 자초에서 추출한 shik oni n은 편평한 사마귀와 건선을 치료하며, 피임효능이 있고 lithospermin은 화장품의 색소로 쓰인다. 차초추출액은 유아용, 목욕제품에도 쓰이며 각기병과 각종 피부병을 예방한다.
장뇌
녹나무과 식물인 녹나무의 뿌리, 줄기, 가지, 잎을 가공 정제하여 만든 과립상 결정체로 맛은 맵고 성질은 뜨겁다. 장뇌는 독성이 있기는 하지만 주의에서 사용할 경우 호흡기를 시원하게하고 정신이 혼미할때 각성시키는 효과와 신경쇠약상태를 진정시키는 효과가 있어 사용되고 있다.
화장품에서는 백색의 장뇌만이 극히 드물게 이용되며 갈색과 황색의 장뇌 는 safrole를 함유하고 있어 독성이 있고 발암성이 있으므로 화장품에는 이용되지 않는다. 간질병, 천식환자와 임산부는 사용을 금한다.
죽순
화본과 식물인 대나무의 어린싹으로 맛은 달고 성질은 차갑다. 죽순은 영양적 가치가 매우 높아 단백질, 지방, 당류 외에도 카로틴, 비타민 E, B, C, 인, 철 등 인체에 필수적인 영양성분이 함유되어 있다. 죽순의 단백질에는 16-18종의 아미노산이 들어있고, 특히 인체에 필수적인 리진, 트립토판, srine 등이 일정수량 함유되어 있는데, 이들은 피부를 아름답게 하는 작용을 한다. 또한 체내의 지방축적을 감소시키고 소화, 배설을 도와 다이어트 효과도 있다.
자소
꿀풀과의 일년생풀로 차조기, 소엽이라고도하며 카로틴과 리놀산이 풍부하다. 자소는 항산화,항염효과를 보이며 피부노화를 지연시킨다. 알레르기개선 및 각종 피부질환개선에 효과적이고 혈액순환을 촉진시켜 기미,주근깨 개선에도 효과적이다.
아토피가 있는 아이들 중 땀이 잘나지않는 아이들에게 좋으며 땀이 많거나 열이 있는아이는 피하는것이 좋다. 씨에서 얻은 기름은 방부제와 해독제로 쓰이기도 한 다.
진피
품질이 좋은 동정귤의 과육을 진피라고 하고, 오래묵은 귤껍질을 진피라고 한다. 색은 화록색이며 강하고 쓴 맛이 나면서 매운것이 특징이다. 귤껍질에 함유된 리모넨이란 정유 성분은 피부를 아름답게 해주며 보습기능을 가진다. 말린 진피는 가루내어 사용하거나 약한불에 은근히 우려내어 사용하는데 소염과 살균작용 효과가 있어 여드름 완화에 도움이 되어 트러블피부나 지성피부에 좋다.
죽여
새파란 대나무의 제일 겉 층에 있는 아주 다단한 껍데기에는 백금기운이 들어있는데 거기에 신비가 있고 그것을 죽여라고 한다. 항산화 효과 및 자외선차단효과로 피부를 투명하고 건강하게하며 항균, 항염효과와 더불어 보습효과를 지닌다.
자음단
자음단이란 전체적으로 음을 보충하고 보호한다는 것을 강조한말로 옥축, 참작약, 백합, 연꽃, 지황의 5가지 약재로 만든것이며 피부의 건조함, 운기부족, 탄력저하 등을 개선하고 피부 음양밸런스를 조절하여 피부현상을 개선함으로써 아름다운 피부를 가꾸어준다.
천리광
국화과 식물인 천리광의 꽃, 잎, 줄기 를 건조한것으로 맛은 쓰고 성질은 차다. 전초에는 flavoxanthin, chrysanthemaxanthin 및 소량의 베타카로틴이 함유되어 있고, 또한 알칼로이드,휘발유, 플라본배당체, 탄닌, 페놀류 등이 함유되어 있다. 꽃에는 카로테노이드가 함유되어 있다. 천리광추출물은 나비반점이나 갈색반점, 주근깨등을 치료하는 효과가 있으며 감염성 여드름에도 치료 효능이 있다. 항균성분과 페놀류 물질이 함유되어 있어 화장품에 방부제의 역활도 한다.
천궁
미나리과 식물인 천궁의 근경으로 맛은 맵고 성질은 따뜻하다. 천궁에는 휘발유, 알칼로이드,페놀성 물질및 비타민A, 엽산, 스테롤, 자당, 지방유 등이 함유되어 있다. 천궁은 머리부위의 모세혈관을 확장하여 혈액순환을 촉진시킴으로써 두발에 더 많은 영양을 공급하고 머리가 세는것을 늦추게 한다.
창포나 천궁과 같은 자연 세정제는 가장 중요한 특징인 기름의 유화작용과 분산작용이 있어 세정효과와 함께 머리에 윤기를 주며 은은한 향을 발산하고 발모효과를 준다. 단 복용할 경우 이기름은 머리를 아프게하는 성질이 있으므로 반드시 제거하고 써야한다. 뜨거운물에 담가놓으면 쉽게 빠지는데 5분정도 가 좋다.
또한 거칠고 노화된 피부, 기미, 주근깨등 잡티가 많은 사람에게 도움이 된다.
천문동
백합과 식물인 천문동의 괴근으로 맛은 달고 쓰며 성질은 차갑다. 천문동에는 아스파라긴, 점액질, 베타시토스테롤 및 5-methoxymethylfurfural이 함유되어 있으며 쓴맛을 내는 성분은 스테로이드사포님으로 이는 sarsasapogenin, 람노스, 목당과 포도당으로 이루어져 있다.
천문동을 오랜기간 먹으려면 삶아서 먹어야하며 지황과 같이 복용하면 늙지않고 머리카락도 세지않는다고 전해진다.
또한 세종때 펴낸 의학백과사전인 (향약집성방)에는 신선방이라하여 잘 먹으면 신선처럼 되게 한다는 약이 나오는데 그 중에서도 살결을 아기처럼 곱게 하는데는 천문동이 으뜸이라고 하였다. 천문동 추출물은 피부를 매끄럽게 하고 여드름 치료에도 효과가 있다.
창출
국화과 식물인 모창출 혹은 북창출의 근경으로 성질은 따뜻하다. 창출에는 주로 휘발유가 함유되어 있는데, atractylol, hinesol의 혼합결정물 및 소량의 atractylono, 비타민A류 물질, 비타민B 및 inulin 등이다. 창출추출물은 감염성여드 름을 치료하는 효과가 뛰어나며 방부제와 향료로도 쓰인다.
청대
숭람, 마람, 요람, 초대청 등의 잎에 함유된 색소로 맛은 짜고 성질은 차다. 청대에는 indigo, indirubin이 함유되어있다. 청대를 달인즙은 황색포도상구균, 탄저균, 콜레라균 등에 대해 항균작용이 있다. 청대는 각종 피부병을 예방하고 습진을 치료하며 방부제로도 쓰인다.
창이자
국화과 식물인 차이의 과실로 맛은 맵고 쓰며, 성질은 따뜻하고 독성이 있다.
창이자에는 xanthostrumarin, 지방유, 알칼로이드,xanthanol, 단백질, 비타민C 등이 함유되어 있다. 창이자는 각종 피부병을 예방, 치료하고 마시지제품에 첨가하면 요통과 다리의 통증에 치료효과가 있다.
측백엽
측백나무과 식물인 측백의 어린 가지의 잎으로 맛은 쓰고 떫으며 성질은 약간 차다 측백엽에는 휘발유 플라본류, 케르시트린, 탄닌, 비타민C, isopimaric acid 등이 함유되어 있다 측백엽은 탈모를 치료하며 트임을 방지하고 동상을 예방하여 피부를 부드럽게한다 화장품에 첨가할때는 주로 알콜에 우려낸것과 달인것을 사용한다.
< BR>
천초
꼭두서니과 식물인 꼭두서니의 뿌리나 근경으로 맛은 쓰고 성질은 차다. 천초에는 주로 purpurin,alizarin, pseudopurpurin등이 함유되어 있는데, 지혈, 항응고, 자궁흥분 작용을 한다. 천초에는 항종양 작용이 있고, 각종 세균과 피부진균을 억제하므로 여드름치료제, 각기병치료제로 쓰인다.
천산룡
마과 식물인 부채마의 근경으로 맛은 쓰고 성질은 평하다 천산룡에는 dioscin 등의 각종 스테로이드 사포닌이 함유되어 있다 대체로 사포닌은 가수분해하면 diosgenin이 생성되고 근경 속에서는 소량의 25-D-spirosta-3, 5-diene로 분리된다 산룡은 피부습진, 피부염,버짐의 치료에 도움을 준다.
창포
청남성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인 석창포의 건조한 근경으로 예부터 5월5일 단오가 되면 창포잎을 끓여 그물로 머리를 감고 목욕을 했으며 이렇게 하면 1년내내 병이 없고 피부와 머리결이 비단결처럼 좋아진다고 하였다. 창포는 모공과 모낭에 좋은 효과가 있는것으로 알려지고 있으며 모발에 영양을 공급하고 모발을 검게하여 모근을 튼튼하게 만들어준다.
토복령
백합과 식물인 토복령의 근경으로 맛은 달면서 담백하고, 성질은 차다. 토복령의 근경에는 사포닌,탄닌,레신 등이 함유되어 있고, 이와 동속식물인 Smilax pseudo-china의 줄기에는 알칼로이드,휘발유, 탄닌,피토스테롤 및 리놀레산,올레인산 등이 함유되어 있다. 기타 한약과 배합하여 마사지크림, 각기병 치료약으로 쓰인다.
택사
택사과 식물인 택사의 괴경, 맛은 달고 담백하며 성질은 차다. 택사에는 터핀류 화합물, 휘발유, 알카로이드,아스파라긴수지 등이 함유되어 있다. 택사에는 인과 인지질이 함유되어 있는데, 이는 혈을 보충하고 두발에 영양을 공급하며 빗질이 잘 되도록 하며 택사를 화장품속에 첨가하면 피부가 보호되고 주름을 개선하며 각기병에도 치료효과가 있다.
토사자
메꽃과에 속하는 새싹의 씨앗, 메꽃과의 일년초로 나무에 붙어사는 기생식물로 맛은 달고 매우며 성질은 평하다. 토사자에는 비타민A, 배당체, 효소등이 함유되어 있으며 피부 진정시키며 미백에 효과가 있다.
토사자를 팩으로 사용하면 기미, 주근깨, 검버섯 등, 색소 침착 완화에 효과적이다.
현삼
STRONG>현삼과 식물인 현삼의 뿌리로 맛은 달고 쓰고 짜며 성질은 차갑다. 현삼에는 알카로이드, 당류, 스테롤, 아미노산,지방산, 미량의 휘발유,카로틴, 사포닌 등이 함유되어 있다. 인삼등 식물원료와 배합하여 발모제와 영양크림 등의 첨가제로 쓰이고, 그 추출물은 동상,트임방지, 각기병치료에 쓰인다.
홍화 (잇꽃)
국화과 식물인 잇꽃의 화판으로 맛은 맵고 성질은 따뜻하다. saffloryellow, carthamin, 홍화기름 carthamone, neocarthamin, 이 함유되어 있고 또한 palmitic acid, 스테아린산, arachidic acid,oleic acid,리놀레산 등이 함유되어있다.
홍화를 첨가해 얼굴를 마사지하면 근육을 풀어주고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하여 피로를 풀어준다. 또한 목욕제품에 사용하면 다리와 허리의 아픈증상을 예방하고 치료해준다.
하수오
마디풀과 식물인 하수오의 괴근으로 맛은 달고 떫으며 성질은 따뜻하다. 하수오에는 안트라퀴논유도체가 함유되어 있는데, 주로chrysophanol, 에모딘이고 레인, physcion과 chrysophanol 이 그 다음이며, 그밖에도 레시틴등이 함유되어 있는데 이는 모근에 영양을 주고 멜라닌 생성을 촉 진하여 모발을 더욱 검게 만들어준다.
또한 모발이 잘자라게 해주며 머리 빗질이 잘되면서 검고 윤택하게 해주므로 젊은 나이에 머리가 세는 경우에 매우 좋다.
하수오는 정혈을 유익하게 하고 간장과 신장을 보하는효과가 있기 때문에 복용하면 얼굴을 곱게하고 피부를 탄력있게 하며 윤기나게한다.
행인
장미과 식물인 산살구나무, 시베리아살구나무 혹은 살구나무의 성숙한 종자로 맛은 쓰고 성질은 약간 따뜻하고 독성이 있다. 행인에는 아미그달린, 지방유, 단백질 및 각종 유리아미노산이 함유되어 있다. 올레인산,리놀레산등 여러가지 불포화 지방산이 풍부해 피부의 건조를 막아주고 촉촉하게하며 잔주름과 주근깨, 기미, 여드름을 예방해 하얗고 윤택하게한다.
민감성 피부는 주의하는것이 좋다.
호장
마디풀과 식물인 호장의 근경으로 맛은 쓰고 성질은 평하다. 호장에는 polydatin, 플라본류, 에모딘, physcion이 함유되어 있다. 호장추출물인 안트라퀴논은 건선에 뛰어난 효과가 있으며 각종 피부병도 예방, 치료하며 화장품에 첨가하여 방부제로도 쓰인다.
황금
굴풀과 식물인 황금의 뿌리로 맛은 쓰고 성질은 차다. 성분은 baicalin과 baicalein이 함유되어 있는데 이는 항염증, 항알레르기성 작용을 하며 알레르기성천식을 완화한다. 그러므로 황금추출물은 염증성피부병과 알레르기성 피부병을 치료하는데 효과가 매우 탁월하다.
또한 안식향산이 함유되어 있어 중감염성 여드름에 효과적이며 여드름이 잘 형성되지 않도록 도와준다. 방부제로도 쓰인다.
항련
미나라아재비과 식물인 황련, 삼각엽황련 혹은 운련의 경으로 맛은 쓰고 성질은 차다. 황련에는 berberine, worenine 등이 각종 알카로이드가 함유되어 있다. 황련은 추출물은 강력한 항균작용과 항바이러스 작용을 하며 염증성질환을 예방하고 혈액순환을 촉진한다. 방부제로도 쓰인다.
황기
콩과 식물인 황기의 뿌리로 항기에는 주로 글리코사이드류, 다당,아미노산 및 미량원소등이 함유되어 있어 신체의 면역력을 강화시키고 배뇨를 원활하게 하며, 노화를 방지한다. 황기추출물이 함유된 화장품에는 베타인이 함유 되어있어 성질이 부드러우면서 인체에 필요한 미량원소가 충분하므로 유아용으로 사 용하기에 가장 적합하고 목욕제품에 첨가하면 영양을 공급하여 피부저항력을 강화시킨다.
황정
백합과 식물인 황정의 근경으로 맛은 달고 성질은 평하다. 황정에는 점액질,전분 및 당분 등이 함유되어 있다. 황정은을 물에 우려낸 것과 알코올에 우려낸 것의 농축액은 모두 화장품의 색소로 쓰이고 각기치료제나 목욕제품등에 사용하면 그 치료효과가 탁월하다.
황백
운향과 식물인 황피나무(황백나무) 껍질을 말린것으로 맛은 쓰고 성질은 차다. 황백에는 berberine, phellodendrine 등의 각종 알칼로이드 이외에 obacunone, obaculactone 등이 함유되어 있다. berberine성분은 강력한 항균작용과 항진균 작용을 보이며 혈소판 응고를 억제하고 혈곤의 충혈, 울혈을 경감시키는등 수렴작용을 보인다. 황백은 염증성 질환을 예방하고 각기병, 알레르기피부염과 각종 피부병을 치료한다. 혈액순환을 촉진하며 방부효과도 있으며 껍질을 달인물은 물푸레나무 껍질과 함께 눈병을 치료하는 약으로도 널리 쓰였다.
홍삼
수삼을 쩌서 말린 붉은 인삼으로 홍삼의 주요성분으로는 배당체, 폴리아세틸렌 계 화합물, 함질소성분, 플라보노이드, 비타민B,효소 ,유기산,아미노산,사포닌이다. 사포닌은 지방과 노페물을 씻어주는 효과를 가지며 꾸준히 복용하면 호르몬 과다 분비로 인한 여드름과 피부홍조를 치료해준다. 홍삼추출물은 미백, 염증감소, 산화방지, 피부노화에 효과가있다.
참고 : 미용 동의보감
첫댓글 성 인 병 예 방 * A8,12,16,E22,F5,19,G11,B1,7,14,19,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