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평양 조씨(平壤 趙氏)에 대(對)하여
1. 평양 조씨(平壤 趙氏) 시조(始祖) : 조춘(趙椿)
2. 평양 조씨(平壤 趙氏) 유래(由來) :
평양 조씨(平壤 趙氏) 시조(始祖) 조춘(趙椿)의 선조는 중국(中國) 사람으로 어느 시대(時代)에 우리나라에 들어왔다는 기록(記錄)은 없으며, 고려(高麗) 예종(睿宗)과 의종(毅宗) 때의 인물(人物)이다. 그는 고려(高麗)시대(時代) 금자광록대부(金紫光祿大夫)로서 남송에 가서 금나라를 토평한 공으로 송나라 상장군(上將軍)이 되었다.
그의 5세손 조인규(趙仁規)의 딸이 충숙왕(忠肅王)의 왕비(王妃)가 되자 선충익재 보조공신(宣忠翼載 輔祚功臣)에 책록되고 문하시중(門下侍中) 태사(門下侍中 太師)로 평양부원군에 봉해져서 충렬왕(忠烈王)의 명에 따라 본관을 상원(詳原)에서 평양으로 바꾸었다.
시조(始祖)는 고려(高麗) 때의 추밀부사 춘(椿)이다. 주요(主要) 인물(人物)로는 조선(朝鮮)의 개국공신(開國功臣)인 준(浚)을 들 수 있는데, 태종(太宗) 때 영의정(領議政)을 지냈고 토지제도의 권위(權威)로서 하륜(河崙) 등과 함께 《경제육전(經濟六典)》을 편찬(編纂)하였다. 또, 명종 때의 성(晟)·욱(昱) 형제(兄弟)를 들 수 있는데, 성은 의약(醫藥)·산수(算數)·천문(天文)·지리(地理)와 성리학(性理學)에 밝았고, 욱은 조광조(趙光祖)의 문인(文人)으로 용문산(龍門山)에 은거(隱居)하여 '용문선생(龍門先生)'으로 알려졌다. 그 밖에 태종(太宗)의 부마인 평양부원군 대임(大臨), 정종의 부마인 효산(孝山), 숙종 때 역학자(易學者)로 이름 있던 관국(觀國), 고종 때 김홍집(金弘集) 내각에서 군무대신을 지낸 희연(羲淵) 등을 들 수 있다.
3. 평양 조씨(平壤 趙氏) 보본단(報本壇)
평양 조씨(平壤 趙氏)의 선대 묘소는 북한 개성부근에 모셔져 있어서 오늘날 왕래(往來)를 할 수 없고 청계사(淸溪寺)는 5세 정숙공(조인규)께서 중창한 사찰로 그 경내에 세운 정숙공 사적비 앞에서 망제를 모셔오다가 1979년 이곳에 의왕 평양조씨(平壤趙氏) 보본단(報本壇)을 설치(設置)하여 시조(始祖)로부터 7세조(世祖)(28위) 봉향(奉享)을 매년 10월 3일 올리고 있다.
고려(高麗) 충신(忠臣) 조견(1351~1425)선생은 이곳에 설단 봉향(奉享)한 평양조씨(平壤趙氏) 시조(始祖) 조춘(趙椿, 추밀원부사)의 8세손(世孫)이고, 청계사를 중창한 조인규(趙仁規, 문하시중, 정숙공)의 증손이다.
공의 초 휘는 윤(胤)이고, 호는 송산이며, 시호는 평간공이다.
공의 려조 벼슬은 지신사(도승지)까지 올랐고, 려조 말 조정에서 공의 굳은 지조를 꺾을 수 없음을 알고 영남 안렴사로 외직케 하고 이태조가 개국하자 공은 통곡(痛哭)하며 두류산(현 지리산)으로 들어가 이름도 견(狷)으로 고치고, 자도 종견(從犬)이라 하였으니 이는 나라가 망(亡)해도 죽지 않음이 개와 같고, 또 개는 옛 주인을 알아보는 의를 취함이다.
이태조가 공의 절개를 찬양하고 재주를 아껴서 호조전서(판서)의 벼슬을 내렸으나 공은 끝내 사l양하고 서산의 고사리캐기(백이숙제의 절의)를 원한다 하며, 곧 청계사로 은거하고 상봉인 망경대에 매일 올라 송도를 바라보며 통곡하다가, 서쪽 약 100m 아래 바위굴인 “마왕굴” 일명 “오망난이굴”에서 흘러나오는 찬물로 갈증을 달래던 곳이다.
망경(望京)이란 원래 만경(萬京)이라 하여 이곳에 오르면 눈 아래 만경이 전개된다는 데서 유래한 이름이었으나 공께서 이곳에 올라 개경을 바라보며 통곡하였다 하여 세일들이 ‘망경대(고려의 서울을 바라보던 곳)’라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
그 후 이태조가 공의 형인 조준(趙浚, 문충공)을 대동하고 청계사로 찾아갔으나 상견되지 않아 군신지간(君臣之間)이 아닌 옛 정의에 의한 붕우지예(朋友之禮)로 상견례를 청하여 서로 읍만하고 마주 앉아 새 조정에 나와 도와주기를 간청했지만 공의 굳은 지조는 금석과 같아서 가히 뺏을 도리가 없다하고 청계산의 한 면을 공을 위해 봉하고 석실을 지어 그의 정절을 기리라 하였다. 지금의 원통동 석축이 남아있는 곳이 바로 그 터이다.
공은 곧 양주 수락산 기슭의 한 마을(현 의정부 송산마을)로 은거하자, 그 분과 뜻을 같이 하던 여말 충신들이 그곳으로 모여 은거 생활을 하다가 공은 75세로 생애를 마감하였다.
후세에 공이 살던 곳을 그 분의 호를 따서 송산이라 부르고 있고, 살던 터에는 유허비를 세웠으며, 그 마을에 지역 사림들이 송산사(松山祠, 경기도 문화재 제42호)를 중건하여 송산공을 주벽으로 하여 여섯분 선생의 위패가 모셔져 있다.
양주에도 정절사(旌節祠, 사천서원)를 세워 송산공, 남을진 두 분 선생을 모시고 600년이 지난 오늘날 까지도 사림들이 매년 제사를 지내면서 그 분의 충절을 추모하고 있다.
공의 묘소(성남시 향토유적 제3호)는 성남시 여수동 산 30번지에 있고, 공의 묘비에 고려 관직명만 쓰라는 유훈을 남겼으나 이조에서 내린 벼슬을 새겨 세웠다가 천둥번개가 내려쳐서 “조공지묘(趙公之墓)” 넉자만 남겨 보존되고 있다. 공의 묘역 앞에는 근년에 신도비도 새로 세워졌다.
공의 불천위신주를 모신 사당은 공주시 우성면에 중건되여 공주시 향토문화유적 제8호로 지정되어 있다.
4. 평양 조씨(平壤 趙氏) 본관(本官)연혁(沿革)
평양(平壤)조씨(趙氏)의 본관(本貫)은 처음에는 상원(祥原)이었다. 상원은 고구려(高句麗) 때에 식달(息達)이었으나 4世 조형(趙瑩)의 부인 토산군부인(土山郡夫人)이 해를 몸 안에 품은 꿈을 꾸고 임신하여 아들(貞肅公)을 낳았기 때문에 상서(祥瑞:복스럽고 길한 징조)롭다 하여 息達을 祥原으로 이름을 변경(變更)하고 1322년(忠肅王9년) 공신(功臣) 趙仁規의 고향을 배려하여 군(郡)으로 격을 높였다.
※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권(卷)55, 고려사(高麗史) 권(卷)105 열전(列傳)18 조인규전(趙仁規傳) 및 : 고려사(高麗史) 권(卷)89 열전(列傳) 권 제(卷第)2 후비(后妃)2 조비전(趙妃傳),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 22 충열사(忠烈王)5. 34년항(年項). 상원읍지(祥原邑誌) 참조 이와 같이 본관(本貫)이 상원(祥原)으로 내려오다가 1307년에 정숙공이 평양군(平壤君)의 작위(爵位)를 받은 후(고려사(高麗史)32권 세가(世家)32 충열왕(忠烈王)5-33년조항(年條項)) 충렬왕(忠烈王)의 명으로 본관(本貫)을 상원(祥原)에서 평양(平壤)으로 바뀌게 되었다.
5. 평양 조씨(平壤 趙氏) 항렬표(行列表)
평양조씨 항렬자 지정과정 요약표(平壤趙氏 行列字 指定過程 要約表)
연도(年度) | 지정 범위(指定 範圍) | 글자수 | 지정 또는 개정 내용(指定 改定 內容) |
1850 | 24世~ 34世 | 11字 | 24世 ○현(顯) 25世 재(載)○ 26世 ○호(鎬) 27世 한(漢)○ 28世 ○상(相) 29世 항(恒)○ 30世 ○기(基) 31世 용(鏞)○ 32世 ○순(淳) 33世 락(樂)○ 34世 ○노(魯) |
1901 | 35世~ 44世 | 10字 | 35世 중(重)○ 36世 ○탁(鐸) 37世 창(昶)○ 38世 ○직(稙) 39世 우(愚)○ 40世 ○선(璿) 41世 종(鍾)○ 42世 ○철(澈) 43世 병(秉)○ 44世 ○헌(憲) |
1928 | 45世~ 54世 | 10字 | 45世 원(垣)○ 46世 ○일(鎰) 47世 해(海)○ 48世 ○식(植) 49世 덕(悳)○50世 ○증(增) 51世 진(鎭)○ 52世 ○담(潭) 53世 정(禎)○ 54世 ○훈(熏) |
1958 | 55世~ 59世 | 5字 | 55世 시(時)○ 56世 ○련(鍊) 57世 백(柏)○ 58世 ○근(根) 59世 황(煌)○ |
1979 | 21世~ 23世(4개世 改定) | 3字4字 | 21世 ○석(錫) 22世 존(存)○ 23世 희(羲)○31世 경(庚)○ 35世 성(聖)○ 40世 ○순(珣) 42世 ○원(源) |
1995 | 60世(9개世 改定) | 1字10字 | 60世 ○중(重)31世 경(庚)○ 용(鏞)○ 36世 ○용(鎔) 40世 ○성(星) 45世 철(喆)○ 46世○경(鏡)50世 ○곤(坤) 52世 ○철(澈) 55世 용(用)○ 57世 윤(潤)○ 59世 형(炯)○ |
6. 평양 조씨(平壤 趙氏) 명조(名祖)로 등재된 선조(先祖)
분류항목 | (계190) | 행 적 내 용 |
묘정배향(廟庭配享) | 1 | 준 (浚 <8世>) : 조선개국공신 태조묘정(朝鮮開國功臣 太祖廟庭) |
원향(院享) | 3 | 견 ( <8世>) : 정조갑진 배향 양주사천서원(正祖甲辰 配享 楊州沙川書院)사액 정절사 우향 송산사(賜額 旌節祠 又享 松山祠) 성 (晟 <正>) : 숙종갑오배향 사액 용문서원(肅宗甲午配享 賜額 龍門書院) 욱 (昱 <正>) : 숙종갑오배향 사액 용문서원(肅宗甲午配享 賜額 龍門書院) |
사향(祠享) | 9 | 견 ( <8世>) : 향 양주 송산사(享 楊洲 松山祠) 호 (湖 <8世>) : 두문동서원(杜門洞書院) 선액표절사(宣額表節祠) 철산(鐵山 <9世>) : 배향 두문동서원(配享 杜門洞書院) 흡 (洽 <別>) : 향 향현사(享 鄕賢祠) 형생(亨生 <正>) : 인조 배향 운계사(仁祖 配享 雲溪祠) 순도(順道<判書>) : 추배우곡수성신사(追配于曲水誠信祠) 경성(景星 <別>) : 향 석성봉두정 향현사(享 石城鳳頭亭 鄕賢祠) 문형(門衡 <正>) : 헌종 배향 운계사(憲宗 配享 雲溪祠) 감 ( <節>) : 향 만뢰사(享 萬賴祠) 길상사 죽계향현사(吉祥祠 竹溪鄕賢祠) |
충신(忠臣) | 17 | 린 (璘 <8世>) : 문정공덕유제이자 사재열전(文靖公德裕第二子 事在列傳) 견 ( <8世>) : 송산유적.전(松山遺蹟.傳) 호 (湖 <8世>) : 사재고려사세가 열전.태조실록(事載高麗史世家 列傳.太祖實錄) 철산(鐵山 <9世>) : 사재두문동충신비 급충신록(事載杜門洞忠臣碑 及忠臣錄) 청로(淸老 <少>) : 세조병자여육신동절 명정려 사재장릉지 배향장릉충신단(世祖丙子與六臣同節 命旌閭 事載莊陵誌 配享莊陵忠臣壇) 영서(榮緖 <少>) : 세조병자 종부동절 명정려 배향장릉충신단(世祖丙子 從父同節 命旌閭 配享莊陵忠臣壇) 여충(汝忠 <兵>) : 선조임진 전망 행주(宣祖壬辰 戰亡 幸州) 문발(門發 <正>) : 인조병자 기의려 전망광주(仁祖丙子 起義旅 戰亡廣州) 유헌(惟獻 <僉>) : 인조정축 순절강도 명정려(仁祖丁丑 殉節江都 命旌閭) 제민(濟民 <縣>) : 선조임진 전망(宣祖壬辰 戰亡) 응기(應祺 <別>) : 선조임진 전망 금산(宣祖壬辰 戰亡 錦山) 연 (淵 <別>) : 선조임진 종계부응기 전망금산(宣祖壬辰 從季父應祺 戰亡錦山) 정익(廷翼 <承>) : 인조정축 순절강도 명정려(仁祖丁丑 殉節江都 命旌閭) 광국(匡國 <大>) : 선조임진 전망 충주(宣祖壬辰 戰亡 忠州) 후윤(候尹 <校>) : 인조병자 전망(仁祖丙子 戰亡) 대건(大健 <節>) : 인조 호란전망(仁祖 胡亂戰亡) 대의(大義 <節>) : 인조병자 전망험천(仁祖丙子 戰亡險川) |
훈신(勳臣) | 27 | 준 (浚 <8世>) : 조선개국 추충협찬 정난정사 일등공신외 4개공신(朝鮮開國 推忠協贊 靖難定社 一等功臣外 4個功臣) 박 (璞 <8世>) : 조선개국 정사좌명공신(朝鮮開國 定社佐命功臣) 숙종(叔宗 <大>) : 세조조 좌익원종공신(世祖朝 佐翼原從功臣) 유원(由元 <監>) : 세조조 원종공신(世祖朝 原從功臣) 효산(孝山<判書>) : 세조즉위 좌익 원종 二등공신(世祖卽位 佐翼原從二等功臣)지덕(之德 <監>) : 중종조 원종공신(中宗朝 原從功臣) 순 (淳 <監>) : 선조조 원종공신(宣祖朝 原從功臣) 한 (瀚 <監>) : 선조조 원종공신(宣祖朝 原從功臣) 인득(仁得 <上>) : 선조 선무일등공신(宣祖 宣武一等功臣) 안방(安邦 <校>) : 선조임진 호종공신(宣祖壬辰 扈從功臣) 건 (鍵 <僉>) : 선조임신 청난원종공신(宣祖壬申 淸難原從功臣) 감 (鑑 <僉>) : 선조임신 청난원종공신(宣祖壬申 淸難原從功臣) 유일(惟一 <監>) : 선조 선무공신(宣祖 宣武功臣) 광필(光弼 <校>) : 인조병자 호종공신(仁祖丙子 扈從功臣) 중관(重觀 <節>) : 영조무신 원종공신(英祖戊申 原從功臣) 빈 ( <承>) : 영조무신 호종공신(英祖戊申 扈從功臣) 경 (儆 <承>) : 영조무신 원종공신(英祖戊申 原從功臣) 엄 (儼 <承>) : 영조 원종공신(英祖 原從功臣) 동점(東漸 <承>) : 영조 원종공신(英祖 原從功臣) 심태(心泰 <承>) : 정조 추념노적 특승훈신(正祖 追念勞績 特陞勳臣) 정지(庭芝 <鎭>) : 선조임진 호종공신(宣祖壬辰 扈從功臣) 붕석(鵬錫 <僉>) : 영조무신 양무원종공신(英祖戊申 揚武原從功臣) 중려(重呂 <校>) : 영조무신 양무원종공신(英祖戊申 揚武原從功臣) 붕석(鵬錫 <僉>) : 영조무신 양무원종공신(英祖戊申 揚武原從功臣) 흥림(興林 <僉>) : 보사원종공신(保社原從功臣) 중호(重琥 <僉>) : 분무원종공신(奮武原從功臣) 태영(泰英 <僉>) : 원종공신(原從功臣) |
경 학(經 學) | 15 | 견 ( <8世>) : 여정포은몽주우선침잠경전작배불론벽이단(與鄭圃隱夢周友善沈潛經傳作排佛論闢異端) 호 (瑚 <8世>) : 이가정 곡 문인 사재문집(李稼亭 穀 門人 事載文集) 수 (須 <9世>) : 집현전강학 호삼성 음주 한유문 주석 사재세종실록(集賢殿講學 胡三省 音註 韓柳文 註釋 事載世宗實錄) 성 (晟 <正>) : 사재이퇴계황찬공집발(事載李退溪滉撰公集跋) 욱 (昱 <正>) : 조정암 광조 문인 사재기묘명현록(趙靜菴 光祖 門人 事載己卯名賢錄) 형생(亨生 <正>) : 사재행장(事載行狀) 흡 (洽 <別>) : 저가례초(著家禮抄) 경유(慶裕 <僉>) : 이학행도 천제참봉불사(理學行道 薦除參奉不仕) 홍중(弘重 <鎭>) : 이도암재문인(李陶菴縡門人) 정지(庭芝 <鎭>) : 황명도시장원(皇明都試壯元<明나라 사신때 12個國都試) 석훈(錫勳<判官>) : 허미수 목 문인(許眉 穆 門人) 문형(門衡 <正>) : 김사천극형문인(金沙川克亨門人) 염 ( <別>) : 송우암 시열 문인 절의영진 궁핵경서(宋尤菴 時烈 門人 絶意榮進 窮 經書) 유상(惟尙 <鎭>) : 이학행도천불사 사재양주읍지(以學行道薦不仕 事載楊州邑誌) 세걸(世傑 <承>) : 이학행 등어사 포천(以學行 登御史 薦) |
상 신(相 臣) | 2 | 인규(仁規 <5世>) : 고려 충렬왕 문하.사도시중, 첨의중찬(高麗 忠烈王 門下.司徒侍中, 僉議中贊) 준 (浚 <8世>) : 조선 태조 영의정(朝鮮 太祖 領議政) |
도신(道臣) | 10 | 준 (浚 <8世>) : 강원도안렴사 등 삼도관찰사(江原道按廉使 等 三道觀察使) 유 (猷 <承>) : 전라우수사 통어사(全羅右水使 統禦使) 복초(復初 <監>) : 경기관찰사(京畿觀察使) 성 (石星 <僉>) : 강원도관찰사(江原道觀察使) 존우(存禹 <承>) : 함북(경성부)관찰사(咸北<鏡城府>觀察使) 희문(羲聞 <承>) : 황해도관찰사(黃海道觀察使) 승현(承顯 <承>) : 강계부 관찰사(江界府 觀察使) 인득(仁得 <上>) : 황해도관찰사(黃海道觀察使) 인후(仁候 <上>) : 황해도관찰사(黃海道觀察使) 지현(贄顯 <承>) : 의주관찰사(義州觀察使) |
장신(將臣) | 7 | 충산(忠山<判書>) : 세종3년신축 무과 상장군좌우지휘사(世宗3年辛丑 武科 上將軍左右指揮使) 빈 ( <承>) : 영조신해 총융사(英祖申亥 摠戎使) 동점(東漸 <承>) : 영조을해 어영대장(英祖乙亥 禦營大將) 심태(心泰 <承>) : 정조임술 훈련대장(正祖壬戌 訓鍊大將) 희복(羲復 <承>) : 고종정축 어영대장(高宗丁丑 禦營大將) 희순(羲純 <承>) : 고종 임오 금위대장(高宗 壬午 禁衛大將) 희연(羲淵 <承>) : 고종 갑오 장위사(高宗 甲午 壯衛使) |
곤 수( 帥) * 병사 (兵使) 수사 (水使) | 56 | 을정(乙鼎 <兵>) : 전라병마절도사(全羅兵馬節度使) 질종(秩宗 <節>) : 충청병마절도사(忠淸兵馬節度使) 순도(順道 <判>) : 육도병마절도사(六道兵馬節度使) 수흥(守興 <縣>) : 충청병마절도사(忠淸兵馬節度使) 후량(後亮 <校>) : 전라우수사 육도병사(全羅右水使 六道兵使) 유 (猷 <承>) : 전라우수사 통어사(全羅右水使 統禦使) 세망(世望 <承>) : 황해,평안병마절도사(黃海,平安兵馬節度使) 수 (脩 <承>) : 황해병마절도사(黃海兵馬節度使) 빈 ( <承>) : 평안병마절도사(平安兵馬節度使) 경 (儆 <承>) : 전라.평안병사 통어통제사(全羅.平安兵使 統禦統制使) 엄 (儼 <承>) : 황해수사 전라병사(黃海水使 全羅兵使) 담 ( <承>) : 충청병마절도사(忠淸兵馬節度使) 동점(東漸 <承>) : 황해병사 통어통제사(黃海兵使 統禦統制使) 동하(東夏 <承>) : 평안병마절도사(平安兵馬節度使) 계태(啓泰 <承>) : 황해수사 충청병마절도사(黃海水使 忠淸兵馬節度使) 제태(濟泰 <承>) : 영좌수사 전라.충청.황해병마절도사 통어통제사(嶺左水使 全羅.忠淸.黃海兵馬節度使 統禦統制使) 진태(鎭泰 <承>) : 충청수사 전라.황해병사(忠淸水使 全羅.黃海兵使) 심태(心泰 <承>) : 황해병마절도사 통제사(黃海兵馬節度使 統制使) 완 (山完 <承>) : 영좌북병사 통어통제사(嶺左北兵使 統禦統制使) 업 (山集 <承>) : 전라병마절도사(全羅兵馬節度使) 계 ( <承>) : 평안병마절도사 통제사(平安兵馬節度使 統制使) 기 (岐 <承>) : 황해영북양도병마절도사(黃海嶺北兩道兵馬節度使) 대 (岱 <承>) : 전라수사(全羅水使) 화석(華錫 <承>) : 충청평안남북병사 통제사(忠淸平安南北兵使 統制使) 은석(恩錫 <承>) : 경상좌병사 통어사(慶尙左兵使 統禦使) 문석(文錫 <承>) : 경상우병마절도사(慶尙右兵馬節度使) 우석(禹錫 <承>) : 전라병마절도사(全羅兵馬節度使) 원석(元錫 <承>) : 평안병마절도사(平安兵馬節度使) 관석(寬錫 <承>) : 전라수사(全羅水使) 태석(台錫 <承>) : 충청수사(忠淸水使) 존중(存中 <承>) : 전라 평안병마절도사(全羅 平安兵馬節度使) 존승(存昇 <承>) : 경상좌병사(慶尙左兵使) 존흥(存興 <承>) : 전라병사(全羅兵使) 존우(存禹 <承>) : 전라 황해병사(全羅 黃海兵使) 존억(存億 <承>) : 병마절도사(兵馬節度使) 존두(存斗 <承>) : 병마절도사(兵馬節度使) 존항(存恒 <承>) : 동래수사(東萊水使) 존일(存一 <承>) : 충청수사(忠淸水使) 존경(存卿 <承>) : 호우수사(湖右水使) 희풍(羲豊 <承>) : 경상우병사 남병사(慶尙右兵使 南兵使) 희복(羲復 <承>) : 경상좌병사(慶尙左兵使) 희순(羲純 <承>) : 북병사(北兵使) 희찬(羲贊 <承>) : 경상우병사(慶尙右兵使) 희승(羲升 <承>) : 경상우병사(慶尙右兵使) 희철(羲轍 <承>) : 전라병사(全羅兵使) 희겸(羲謙 <承>) : 병마절도사(兵馬節度使) 희창(羲昌 <承>) : 충청수사(忠淸水使) 희완(羲完 <承>) : 충청수사(忠淸水使) 희직(羲稷 <承>) : 호우수사(湖右水使) 희숙(羲肅 <承>) : 전라좌수사 병마절도사(全羅左水使 兵馬節度使) 태현(台顯 <承>) : 경상좌병사 평안병사(慶尙左兵使 平安兵使) 문현(文顯 <承>) : 충청병사(忠淸兵使) 응현(應顯 <承>) : 병마절도사(兵馬節度使) 국현(國顯 <承>) : 수군절도사(水軍節度使) 재항(載恒 <承>) : 경상좌병사(慶尙左兵使) 재관(載觀 <承>) : 충청 황해남병사 통어사(忠淸 黃海南兵使 統禦使) |
문 과(文 科) | 43 | ㅇ 고려 : 10서 (瑞 <6世>) : 충렬왕 문과(忠烈王 文科) 후 (珝 <6世>) : 충렬왕 문과(忠烈王 文科) 굉 (宏 <7世>) : 충숙왕조 등제(忠肅王朝 登第) 천미(千 <7世>) : 충숙왕조 급제(忠肅王朝 及第) 준 (浚 <8世>) : 공민왕 갑인 참동진사(恭愍王 甲寅 同進仕) 견 ( <8世>) : 공민왕 신해 생원 문과(恭愍王 申亥 生員 文科) 호 (湖 <8世>) : 공민왕 을사 참동진사(恭愍王 乙巳 同進仕) 철산(鐵山 <9世>) : 문과(文科) 박 (璞 <9世>) : 공민왕 임술 문과(恭愍王 壬戌 文科) 화 (禾 <9世>) : 홍무 병진 생원 문과(洪武 丙辰 生員 文科) ㅇ 조선 : 33의방(義方 <9世>) : 태종3년 문과(太宗3年 文科) 수 (須 <9世>) : 태종 신사 문과(太宗 辛巳 文科) 률 ( <判書>) : 태종13년 문과(太宗13年 文科) 복초(復初 <監>) : 세종 기해 문과(世宗 己亥 文科) 숙종(叔宗 <大>) : 문종 신미 문과(文宗 辛未 文科) 계종(季宗 <校>) : 문과(文科) 득인(得仁 <正>) : 세종무오 식년문과(世宗戊午 式年文科) 유신(由信<11世>) : 세종병진 중시문과(世宗丙辰 重試文科) *派가 없어졌음지 (祉 <上>) : 단종계유 생진 증광문과(斷種癸酉 生進 增廣文科) 형문(亨門 <正>) : 세조무자 생원장원 성종경인 별시문과(世祖戊子 生員壯元 成宗庚寅 別試文科) 양문(揚門 <正>) : 예종기축 생진 성종경자 식년문과(睿宗己丑 生進 成宗庚子 式年文科) 응방(應房 <監>) : 선조 임오 문과(宣祖 壬午 文科) 부 (溥 <承>) : 중종계묘진사 명종임자문과(中宗癸卯進仕 明宗壬子文科) 효원(孝源 <正>) : 중종을해 진사, 별시문과(中宗乙亥 進仕, 別試文科) 호문(好門 <副>) : 명종기유생진 을묘 식년문과(明宗己酉生進 乙卯 式年文科) 광옥(光玉<判官>) : 중종무자 진사 기해 별시문과(中宗戊子 進仕 己亥 別試文科) 여강(汝剛 <縣>) : 선조계유 식년문과(宣祖癸酉 式年文科) 정규(廷規 <監>) : 명종을묘 진사 선조기사 알성문과(明宗乙卯 進仕 宣祖己巳 謁聖文科) 경정(景禎 <僉>) : 선조병신 정시문과(宣祖丙申 庭試文科) 엽 (曄 <縣>) : 선조신묘 식년이생원문과(宣祖辛卯 式年以生員文科) 정지(庭芝 <鎭>) : 명종병인 진사 선조경신 별시문과(明宗丙寅 進士 宣祖庚申 別試文科) 호문(好問 <鎭>) : 성종경자 문과(成宗庚子 文科) 인득(仁得 <上>) : 선조정축 알성문과(宣祖丁丑 謁聖文科) 인후(仁後 <上>) : 명종무오 생원 정묘 식년문과(明宗戊午 生員 丁卯 式年文科) 운 (橒 <縣>) : 효종경인 생진 숙종기사 증광문과(孝宗庚寅 生進 肅宗己巳 增廣文科) 황 (火晃 <上>) : 광해임자생원 경신정시문과(光海壬子生員 庚申庭試文科) 휴 (烋 <上>) : 선조병오 생원 광해경술 식년문과(宣祖丙午 生員 光海庚戌 式年文科) 성 (石星 <僉>) : 효종임진 증광문과(孝宗壬辰 增廣文科) 공숙(公淑 <上>) : 선조병오 생원 인조갑자 이참봉 증광문과(宣祖丙午 生員 仁祖甲子 以參奉 增廣文科) 정 ( <承>) : 영조병오 강도별시문과(英祖丙午 江都別試文科)병조(炳祚 <鎭>) : 영조갑자 정시문과(英祖甲子 庭試文科) 윤철(潤喆 <僉>) : 정조정미 고양도과문과(正祖丁未 高陽道科文科) 신호(信鎬 <僉>) : 고종 을유 도과 문과(高宗 乙酉 道科 文科) |
7. 평양 조씨(平壤 趙氏) 18파조(派祖)
순 서 | 派이름 및 諱 | 年代(서기) |
1 | 제주공 희정(濟州公 希鼎) | 1300-1400 |
2 | 병사공 을정(兵使公 乙鼎) | 1300-1400 |
3 | 정랑공 승(正郞公 乘) | 1300-1400 |
4 | 부정공 심(副正公 深) | 1387-1448 |
5 | 감사공 복초(監司公 復初) | 1392-1448 |
6 | 진안공 숙지(鎭安公 肅之) | 1390-1400 |
7 | 판서공 율(判書公 ) | 1390-1400 |
8 | 첨추공 무영(僉樞公 茂英) | 1423-1479 |
9 | 소윤공 청로(少尹公 淸老) | 1300-1456 |
10 | 판관공 충로(判官公 忠老) | 1300-1400 |
11 | 현령공 정로(縣令公 廷老) | 1300-1400 |
12 | 별좌공 인(別坐公 靭) | 1300-1400 |
13 | 승지공 식(承旨公 軾) | 1300-1400 |
14 | 대사헌공숙 종(大司憲公 叔宗) | 1300-1400 |
15 | 교리공 계종(校理公 季宗) | 1441-1480 |
16 | 종부령공 신언(宗簿令公 愼言) | 1400 |
17 | 절도공 질종(節度公 秩宗) | 1400 |
18 | 상호군 수종(上護軍 秀宗) | 1400 |
8. 평양 조씨(平壤 趙氏) 인구수(人口數)
2000년 국세조사에서는 가구수 1만 2720가구 인구수 41,047명으로 나타남.
===================================================================================
풍양 조씨(豊壤 趙氏)에 대(對)하여
1. 풍양 조씨(豊壤 趙氏) 시조(始祖) : 조맹(趙孟)
2. 풍양 조씨(豊壤 趙氏) 유래(由來) :
풍양 조씨(豊壤 趙氏) 시조(始祖) 조맹(趙孟)의 원래(原來) 이름은 바우(岩)이다. 그는 풍양현(현 남양주군 진건면 송능리)에서 태어나 농사를 지으며 천마산 기슭 바위동굴에 은둔해 살았던 도인이었다. 당시(當時) 신라(新羅)를 정벌하던 왕건은 영해지방 전투(戰鬪)에서 신라군에 참패(慘敗)를 당하여 휘하의 장군(將軍)들을 모아놓고 중지를 모았을 때 한결같은 대답은 풍양현에 숨어 사는 바우도인의 지략을 빌리자는 것이었다. 이에 왕건이 그를 찾으니 당시 나이가 70세이었다. 이때부터 신라(新羅)정벌의 길에 올라 뛰어난 지략(智略)과 용맹(勇猛)으로 고려(高麗) 통일(統一)을 이루자 태조(太祖) 왕건(王建)이 맹(孟)으로 이름을 내렸다.벼슬은 문하시중(門下侍中) 평장사(平章事)이르렀고, 지금도 천마산에는 왕건을 만났다는 암굴(巖窟)이 있으며 현성암(見聖庵)을 세워 그를 수호하여 온다.
3. 풍양 조씨(豊壤 趙氏) 본관(本貫) 연혁(沿革)
풍양(豊壤)은 경기도(京畿道) 양주(楊州)의 옛 지명(地名)으로 원래 백제(百濟)와 고구려(高句麗)에 속(屬)했을 때는 골의노현(骨衣奴縣)이라 불렸는데, 757년(신라 경덕왕 16)에 황양(荒壤)으로 고쳐 한양군(漢陽郡)의 영현이 되었다. 940년(고려 태조 23)에 풍양(豊壤)으로 고쳐 양주(楊洲)에 속(屬)하였다. 1018년(현종 9) 포주(抱州: 抱川)에 이속되었다. 1427년(세종 9)에 다시 양주(楊洲)에 속(屬)하게 되었다. 1980년에 양주군(楊州郡)으로부터 신설(新設)된 남양주군(南楊州郡)으에 편입(編入)되었다. 1995년 미금시와 남양주군(南楊州郡)이 통합(統合)하여 남양주시(南楊州市)가 되었다.
4. 풍양 조씨(豊壤 趙氏) 가문(家門)의 인물(人物)
고려(高麗)때의 조운걸은 1357년(공민왕 6년)에 문과급제하고 홍건적의 침입(侵入)으로 남쪽에 피난하는 왕을 시종하여 2등 공신에 올랐고 그후 3도관찰사를 지내고 1374년에는 벼슬을 버리고 상주에 은거하고 출입할 때는 소를 타고 다니면서 "기우도(騎牛圖)"등의 작품을 남겼다.
풍양 조씨(豊壤 趙氏) 가문(家門)이 세도의 기반을 이룬 것은 조선(朝鮮) 숙종이후. 상신 7명, 대제학(大提學) 4명, 공신 7명, 장신 7명을 냈다. 숙종(肅宗) 때 조도보는 조상경, 조상강, 조상기 등 아들 3 형제(兄弟)와 손자(孫子) 8명이 있었는데 이들 중에 5명이 문과(文科)에 급제(及第)했다. 이들이 영조, 정조 시대에 풍양조씨(豊壤趙氏)의 세력(勢力) 기반(基盤)을 다진 주역(主役)들이다. 학당 조상강은 영조때 병조판서(兵曹判書)를 네차례, 이조판서를 다섯 차례 지냈다. 그의 증손자(曾孫子) 조만영(趙萬永)은 순조의 외할아버지로 이때부터 풍양조씨의 세도정치가 시작된다. 영조 때 통신사로 일본에 갔다 오면서 고구마 종자를 들여온 조엄은 조만영의 조부(祖父)이다.
그 밖에 조선시대 성리학(性理學)의 대가(大家)로 효종(孝宗) 때 좌의정(左議政)에 올랐던 조익(趙翼), 숙종(肅宗) 때의 우의정(右議政) 조상우(趙相愚), 영조 때의 좌의정 조문명(趙文命), 영조 때의 영의정(領議政) 조현명(趙顯命), 영조 때의 우의정(右議政) 조재호(趙載浩) 등이 회양공파이다. 현종 때 대제학(大提學)을 지낸 조복양(趙復陽), 왜정때 상주에서 궐기하여 싸우다 일본(日本) 군경(軍警)에 체포(逮捕)되어 순국한 조동범 등이 있으며, 현재 활약 중인 바둑계의 천재기사 조치훈과 조순 전부총리도 이 가문에서 배출된 인물(人物)이다.
5. 풍양 조씨(豊壤 趙氏) 계파(系派)
시조 이후에 세계가 실전되어 천화사전직(天和寺殿直)을 지낸 조지린(趙之藺)을 중조로 하는 전직공파(殿直公派)와 평장사(平章事)를 역임한 조신혁(趙臣赫)을 중조로 하는 평장공파(平章公派)로 분류되어 세계가 이어졌다.
파명(派名)을 살펴보면, 크게는 전직공파(殿直公派), 평장공파(平章公派)로 나뉘어지고, 작게는 전직공파에 판관공파(判官公派), 사인공파(舍人公派), 병사공파(兵使公派), 지평공파(砥平公派), 주부공파(主簿公派), 부위공파(副尉公派), 한평군파(漢平君派), 별검공파(別檢公派), 우후공파(虞侯公派), 증장령공파(贈掌令公派), 도사공파(都事公派), 진사공파(進士公派), 부장공파(部將公派)로, 평장공파에 증참판공파(贈參判公派), 생원공파(生員公派), 진사공파(進士公派, 世弼)로 각각 나뉘어졌다.
6. 풍양 조씨(豊壤 趙氏) 집성촌(集成村)
경북 상주군 낙동면 승곡리.
마을의 대부분이 호군공파 후손들로 20여대를 이어 살고 있는 마을이다. 마을 입구에 자리 잡은 퇴색한 단청과 이끼낀 기와집이 3백년 마을의 역사(歷史)를 말해준다. 마을 한가운데 낮은 야산 밑에 자리한 양진당(養眞堂)은 난중일기를 쓴 조청이 여생을 보냈던 99칸 기와집으로 호군공파 후손들의 마음의 고향이다. 1982년에 문중에서는 이곳을 보존하기 위해 문화재로 지정받고 보수정화 작업을 시작했다.
- 강원도 양구군 남면 죽리
- 경상북도 상주시 낙동면 승곡리
- 경상북도 상주시 낙동면 운평리
- 전라남도 강진군 성전면 송월리
- 전라북도 군산시 신관동
- 충청남도 부여군 장암면 지토리
- 충청남도 부여군 장암면 상황리
- 충청남도 부여군 장암면 하황리
- 황해도 안악군 안곡면 장월리
- 평안남도 용강군 양곡면 초축리
7. 풍양 조씨(豊壤 趙氏) 항렬표(行列表)
평장사공계(平章事公系) - 남원공파 | ||||||||
세 世 | 17 世 | 18 世 | 19 世 | 20 世 | 21 世 | 22 世 | 23 世 | 24 世 |
항렬자 | 만○萬○ | ○년○年 | 희○熙○ | ○재○載 | 돈○敦○ | ○묵○默 | 병○柄○ | ○기○紀 |
세世 | 25 世 | 26 世 | 27 世 | 28 世 | 29 世 | 30 世 | 31 世 | 32 世 |
항렬자 | 강○康○ | ○규○揆 | 연○演○ | ○행○行 | 진○振○ | ○동○東 | 순○淳○ | ○경○卿 |
세 世 | 33 世 | 34 世 | 35 世 | 36 世 | 37 世 | 38 世 | 39 世 | 40 世 |
항렬자 | 기○祺○ | ○성○成 | 창○彰○ | ○중○重 | 연○縯○ | ○직○稙 | 범○範○ | ○용○鏞 |
세 世 | 41 世 | 42 世 | 43 世 | 44 世 | 45 世 | 46 世 | 47 世 | 48 世 |
항렬자 | 승○承○ | ○욱○旭 | 영○寧○ | ○무○茂 | 재○宰○ | ○정○程 | 태○兌○ | ○우○宇 |
세 世 | 49 世 | 50 世 | ||||||
항렬자 | 건○建○ | ○보○輔 |
상장군공파(上將軍公派) | ||||||||
세 世 | 24 世 | 25 世 | 26 世 | 27 世 | 28 世 | 29 世 | 30 世 | 31 世 |
항렬자 | 갑○ 岬○ | ○일 ○日 | 병○ 昺○ | ○종 ○宗 | 성○ 晟○ | ○기 ○玘 | 강○ 慷○ | ○상 ○庠 |
세 世 | 32 世 | 33 世 | 34 世 | 35 世 | 36 世 | 37 世 | 38 世 | 39 世 |
항렬자 | 성○ 聖○ | ○채 ○蔡 | 진○ 陳○ | ○乾 ○건 | 천○ 遷○ | ○정 ○正 | 무○ 武○ | ○회 ○回 |
세 世 | 40 世 | 41 世 | 42 世 | 43 世 | ||||
항렬자 | 용○ 庸○ | ○신 ○薪 | 영○ ○ | ○규 ○葵 |
8. 풍양 조씨(豊壤 趙氏) 인구수(人口數)
1985년 인구조사에서는 109,433명이 있었다.
2000년 통계청이 발표한 결과에 의하면 풍양조씨는 35,009가구 총 113,798명이 있는 것으로 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