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무궁화 친(藽)자는 의부(義符)로 풀 초(艸,艹)자에 성부(聲符)로 친할 친(親)자를 했습니다. 친할 친(親)자는 설 립(立)자 아래에 나무 목(木)자를 하고, 글자의 오른쪽에 볼 견(見)자를 했습니다. 친할 친(親)자는 세 개의 글자가 합해서 된 회의(會意) 글자입니다. 이 세 개 글자의 뜻을 종합해 보면, 나무 위에 올라가 서서 멀리 바라본다는 뜻입니다. 누구를 기다리는 글자입니다. 옛날 풍속대로라면 먹을 것을 구하려고 밖에 나간 아버지를 아이들과 엄마가 기다리는 글자입니다. 친한 가족이기에 나무에 올라가서까지 기다리는 것입니다. 단 일분일초라도 더 먼저 보고 싶은 것이 가족입니다. 가장 친한 관게이지요. 친할 친(親)자는 어버이 친(親)지로 전주(轉注)되었습니다.
+
= 藽
맑은대쑥 뢰(藾)자는 의부(義符)로 풀 초(艸,艹)자에 성부(聲符)로 힘입을 뢰(賴)자를 했습니다. 힘입을 뢰(賴)자는 묶을 속(束)자 오른쪽에 칼 도(刀)자와 조개 패(貝)자를 했습니다. 돈을 칼로 베어 나누어 묶어 주어서 힘을 보태준 표시를 했습니다. 사실 칼 도(刀)자와 조개 패(貝)자를 합한 글자는 짐질 부(負)자입니다. 힘입을 뢰(賴)자는 짐을 져서 듬직하게 재물이 많아서 힘이 생긴다는 뜻입니다.
+
= 藾
콩잎 곽(藿)자는 의부(義符)로 풀 초(艸,艹)자에 성부(聲符)로 빠를 곽(霍)자를 했습니다. 빠를 곽(霍)자는 비 우(雨)자 아래에 새 추(隹)자를 했습니다. 비가 오면 새가 비를 피하려고 더 빨리 날아가는 것을 표시한 회의(會意) 글자입니다.
藿
낙엽 탁(蘀)자는 의부(義符)로 풀 초(艸,艹)자에 성부(聲符)로 가릴 택(擇)자를 했습니다. 가릴 택(擇)자는 의부(義符)로 손 수(手,扌,才)자 변에 성부(聲符)로 엿볼 역(睪)자를 했습니다. 엿볼 역(睪)자는 그물 망(罒)자 아래에 다행 행(幸)자를 해서 죄를 짓고 잡혀와 갇혀 있는 죄수를 몰래 엿보는 표시를 한 글자입니다. 여기서 그물 망(罒)자는 잡아온 죄인을 가두어 감추어 두었다는 뜻입니다. 못 택(澤), 소라 게 택(蠌), 뻐꾸기 택(鸅)자들은 엿볼 역(睪)자가 들어 있어서 ‘택’으로 읽습니다. 방울 탁(鐸), 고드름 탁(凙), 속고의 탁(襗)자들은 엿볼 역(睪)자가 들어 있어서 ‘탁’으로 읽습니다.
蘀
꽃받침 오(蘁)자는 풀 초(艸,艹)자에 놀랄 악(噩)자를 했습니다. 여기서 놀랄 악(噩)자는 꽃받침을 그린 상형(象形)의 뜻이 있습니다.
+
= 蘁
꽃술 예(蘂)자는 의부(義符)로 풀 초(艸,艹)자에 성부(聲符)로 꽃술 예(橤)자를 했습니다. 꽃술 예(橤)자와 꽃술 예(蕊)자는 같은 글자입니다. 꽃술 예(蕊)자는 의부(義符)로 풀 초(艸,艹)자에 성부(聲符)로 꽃술 예(惢)자를 했습니다. 꽃술 예(惢)자는 마음 심(心)자를 세 개 했습니다. 여기서 마음 심(心)자를 세 개 한 것은 꽃의 중심(中心)에 있는 꽃술을 나타내는 글자입니다. 꽃술 예(橤)자는 나무 목(木)자 위에 마음 심(心)자를 세 개 해서 꽃이 핀 모양을 표시했습니다. 꽃술 예(蘂)자는 꽃술 예(橤)자와 꽃술 예(蕊)자를 합한 글자입니다.
+
+
= 蘂
꽃술 예(蘃)자는 의부(義符)로 풀 초(艸,艹)자에 성부(聲符)로 꽃술 예(蕋)자를 했습니다. 꽃술 예(蕋)자는 풀 초(艸,艹)자에 웃을 색(歮)자를 했습니다. 웃을 색(歮)자는 발을 그린 발 지(止)자를 세 개했습니다. 꽃이 웃는다는 표현은 꽃이 피었다는 말입니다. 꽃이 웃으면 가운데 꽃술이 보입니다.
+
+
+
+
= 蘃
재갈 기(蘄)자는 풀 초(艸,艹)자에 홑 단(單)자를 하고 도끼 근(斤)자를 했습니다. 도끼 근(斤)자는 도끼의 모양을 그린 상형(象形) 글자입니다. 빌 기(祈), 물이름 기(沂), 경기 기(圻), 쌀 바구미 기(蚚), 헌걸찰 기(頎)자들은 도끼 근(斤)자가 들어 있어서 ‘기’로 읽습니다.
蘄
족두리풀 형(蘅)자는 의부(義符)로 풀 초(艸,艹)자에 성부(聲符)로 저울대 형(衡)자를 했습니다. 저울대 형(衡)자는 성부(聲符)로 다닐 행(行)자에 의부(義符)로 ‘𩵋’자를 했습니다. 노리개 형(珩)자도 다닐 행(行)자가 들어 있어서 ‘형’으로 읽습니다.
+
= 蘅
갈대 로(蘆)자는 의부(義符)로 풀 초(艸,艹)자에 성부(聲符)로 밥그릇 로(盧)자를 했습니다. 밥그릇 로(盧)자는 성부(聲符)로 호피 무늬 호(虍)자를 하고 의부(義符)로 밭 전(田)자 아래에 그릇 명(皿)자를 했습니다. 여기서 밭 전(田)자는 밥통 위(胃)자에서 밭 전(田)자와 같이 그릇에 담긴 밥을 표시한 글자입니다.
蘆
차조기 소(蘇)자는 의부(義符)로 풀 초(艸,艹)자에 성부(聲符)로 긁어모을 소(穌)자를 했습니다. 긁어모을 소(穌)자는 의부(義符)로 벼 화(禾)자에 성부(聲符)로 물고기 어(魚)자를 했습니다. 물고기 어(魚)자는 물고기를 그린 상형(象形) 글자입니다. 깨어날 소(稣)자는 긁어모을 소(穌)자의 간체자(簡體字)입니다. 긁어모을 소(穌)자는 고기를 잡을 때 밑밥을 주어 고기를 모으는 모양을 나타냈습니다. 깨어날 소(蘇)자는 식물이 다시 살아나는 것을 표시한 글자입니다. 깨어날 소(稣)자는 긁어모을 소(穌)자와 깨어날 소(蘇)자와 관련을 가지고 있습니다.
蘇
소루쟁이 퇴(蘈)자는 의부(義符)로 풀 초(艸,艹)자에 성부(聲符)로 무너질 퇴(頹)자를 했습니다. 무너질 퇴(頹)자는 대머리 독(秃)자에 머리 혈(頁)자를 했습니다. 무너질 퇴(頹)자는 머리털이 없어진 모양을 표시한 글자입니다. 머리털이 없어지면 늙어서 죽을 때가 다 된 것입니다. 사람이 나이가 들어 무너질 때가 된 것이겠지요.
+
+
= 蘈
힘쓸 망(蘉)자는 의부(義符)로 풀 초(艸,艹)자와 침노할 침(侵)자에 성부(聲符)로 그물 망(罒)자를 했습니다. 침노할 침(侵)자는 사람 인(人,亻)변에 빗자루 추(帚)자에서 수건 건(巾)자 자리에 또 우(又)자로 바꾸었습니다. 빗자루 추(帚)자 만으로도 청소의 의미가 있는데. 또 우(又)자로 손(手)을 하나 더 했으니 싹 쓸어버린다는 뜻입니다. ‘𠬶’자는 싹 쓸어버린다는 뜻을 가진 글자입니다. 침노하는 게 무엇입니까? 싹 쓸어버리는 것이지요. 청소하는 빗자루는 수건 건(巾)자가 있는데, 수건 건(巾)자 자리에 또 우(又)자를 해서 손(手)을 더 그려 넣었습니다.
+
+
= 蘉
쌓을 온(蘊)자는 의부(義符)로 풀 초(艸,艹)자에 성부(聲符)로 솜 온(縕)자를 했습니다. 솜 온(緼,縕)자는 의부(義符)로 가는 실 사(糸,糹)자에 성부(聲符)로 어질 온(昷)자를 했습니다. 어질 온(昷)자는 해를 뜻하는 날 일(日)자 아래에 그릇 명(皿)자를 해서 그릇에 담아놓은 물이 햇볕에 따뜻해지는 것을 나타낸 글자입니다. 어질다는 것은 마음이 따뜻한 사람을 일컫는 말입니다. 쌓을 온(蕴)자는 쌓을 온(蘊)자의 간체자(簡體字)입니다.
蘊
개구리밥 빈(蘋)자는 의부(義符)로 풀 초(艸,艹)자에 성부(聲符)로 자주 빈(頻)자를 했습니다. 자주 빈(頻)자는 걸음 보(步)자에 머리 혈(頁)자를 했습니다. 사람이 자주 사용하는 동작이지요. 우선 걸어야 하고 또 머리를 움직여야 합니다.
蘋
가릴 어(蘌)자는 의부(義符)로 풀 초(艸,艹)자에 성부(聲符)로 막을 어(禦)자를 했습니다. 막을 어(禦)자는 의부(義符)로 보일 시(示,礻)자에 성부(聲符)로 어거할 어(御)자를 했습니다. 어거할 어(御)자는 풀어 주려고 가고, 길을 안내하려고 걸어간다는 뜻으로, 조금 걸을 척(彳)자에 가서 풀어 준다는 뜻으로 풀 사(卸)자를 했습니다. 가서 풀어 준다는 말은 인도 한다 그 쪽으로 몰아간다는 뜻입니다. 어거한다는 말은 길들인다, 다스린다는 뜻입니다. 어거할 어(御)자는 회의(會意) 글자입니다.
+
= 蘌
향내 훈(蘍)자는 의부(義符)로 풀 초(艸,艹)자에 성부(聲符)로 공 훈(勳)자를 했습니다. 공 훈(勳)자는 성부(聲符)로 연기 낄 훈(熏)자에 의부(義符)로 힘 력(力)자를 했습니다. 공은 힘을 드려서 이룩한 것입니다.
+
= 蘍
천리마 기(蘎)자는 풀 초(艸,艹)자와 비 우(雨)자에 살찔 비(肥)자를 했습니다. 풀 초(艸,艹)자와 비 우(雨)자는 장소와 기후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는 말입니다. 어디든 언제든 잘 달린다는 말입니다. 여기서 살찔 비(肥)자는 살이 디룩디룩 쪘다는 말이 아니라, 날렵하게 튼튼한 말이라는 말입니다. 바로 한번 뛰기 시작하면 천리를 달린다는 천리마를 잘 나타낸 회의(會意) 글자입니다.
+
+
= 蘎
얇은 비단 경(蘏)자는 의부(義符)로 풀 초(艸,艹)자에 성부(聲符)로 강이름 영(潁)자를 했습니다. 강이름 영(潁yǐng)자는 비수 비(匕)자 아래에 물 수(水)자를 하고 머리 혈(頁)자를 했습니다. 영(颖yǐng) 곧 잉허는 하남(河南)성에서 발원하여 안휘(安徽)성으로 흘러들어가는 회하(淮河)의 지류입니다. 이랑 경(頃), 빛날 경(熲), 홑옷 경(顈), 어저귀 경(䔛)자들은 이랑 경(頃)자가 들어 있어서 ‘경’으로 읽습니다. 얇은 비단 경(蘏)자도 이랑 경(頃)자가 들어 있어서 ‘경’으로 읽을 수 있습니다.
+
= 蘏
원추리 훤(蘐)자는 의부(義符)로 풀 초(艸,艹)자에 성부(聲符)로 속일 훤(諼)자를 했습니다. 속일 훤(諼)자는 의부(義符)로 말씀 언(言)자에 성부(聲符)로 이에 원(爰)자를 했습니다. 이에 원(爰)자는 손톱 조(爪)자를 위아래에 또 우(又)자를 해서 손을 표시하는 글자를 두 개 하고, 그 가운데에 물건을 나타내는 방패 간(干)자를 했습니다. 이에 원(爰)자는 지금 막 서로 물건을 차지하려고 다투는 모양입니다. 한탄할 훤(愋), 원추리 훤(蕿)자는 이에 원(爰)자가 들어 있어서 ‘훤’으로 읽습니다.
+
= 蘐
버섯 마(蘑)자는 의부(義符)로 풀 초(艸,艹)자에 성부(聲符)로 갈 마(磨)자를 했습니다. 갈 마(磨)자는 의부(義符)로 돌 석(石)자에 성부(聲符)로 삼 마(麻)자를 했습니다. 삼 마(麻)자는 집 엄(广)자 아래에 ‘𣏟’자를 했습니다. ‘𣏟’자는 삼베를 만드는 삼베 나무를 그린 상형(象形) 글자입니다.
+
+
= 蘑
차조기 소(蘓)자는 의부(義符)로 풀 초(艸,艹)자에 성부(聲符)로 긁어모을 소(穌)자를 했습니다. 긁어모을 소(穌)자는 의부(義符)로 벼 화(禾)자에 성부(聲符)로 물고기 어(魚)자를 했습니다. 물고기 어(魚)자는 물고기를 그린 상형(象形) 글자입니다. 깨어날 소(稣)자는 긁어모을 소(穌)자의 간체자(簡體字)입니다. 긁어모을 소(穌)자는 고기를 잡을 때 밑밥을 주어 고기를 모으는 모양을 나타냈습니다. 깨어날 소(蘇)자는 식물이 다시 살아나는 것을 표시한 글자입니다. 깨어날 소(稣)자는 긁어모을 소(穌)자와 깨어날 소(蘇)자와 관련을 가지고 있습니다.
+
+
= 蘓
베 이름 동(蘔)자는 풀 초(艸,艹)자에 이삭 영(穎)자를 했습니다. 동(蘔)이라는 이 베는 삼베를 어릴 때 베어 만든 베가 아닐까 상상해봅니다. 이삭 영(穎)자는 의부(義符)로 벼 화(禾)자에 성부(聲符)로 밭 넓이 단위 경(頃)자를 했습니다. 강 이름 영(潁)자도 밭 넓이 단위 경(頃)자가 들어 있어서 ‘영’으로 읽습니다. 이랑 경(頃)자는 밭의 넓이 단위를 나타내는 글자로도 사용합니다. 이랑 경(頃)자는 사람이 머리를 두는 곳이라는 표시를 했습니다. 농경 사회에서는 밭이 매우 중요한 곳이겠지요. 이랑 경(頃)자에서 비수 비(匕)자는 칼을 표시한 글자가 아니라, 사람을 표시한 글자입니다.
+
= 蘔
개여뀌 롱(蘢)자는 의부(義符)로 풀 초(艸,艹)자에 성부(聲符)로 용 룡(龍)자를 했습니다. 용 룡(龍)자는 상상의 짐승인 용(龍)을 그린 상형(象形) 글자입니다. 구멍 롱(竉), 비 올 롱(瀧), 흐릿할 롱(朧), 대그릇 롱(籠), 옥 소리 롱(瓏)자들은 용 룡(龍)자가 들어 있어서 ‘롱’으로 읽습니다.
蘢
국화 영(䕦)자는 의부(義符)로 풀 초(艸,艹)자에 성부(聲符)로 찰 영(嬴)자를 했습니다. 이런 모양의 글자들은 조개 패(貝)자를 한 바구니 영(籯), 영양 양(羊)자를 한 여윌 리(羸), 쌀 미(米)자를 한 곡식을 쌓을 라(䊨), 설 립(立)자를 한 약하게 서 있는 모습 라(䇔), 벌레 충(虫)자가 들어 있는 나나니벌 라(蠃), 과실 과(果)자가 들어 있는 벌거벗을 라(臝), 새 조(鳥)자가 들어 있는 되강오리 라(鸁)자가 있습니다.
+
= 䕦
뿌리 효(䕧)자는 의부(義符)로 풀 초(艸,艹)자에 성부(聲符)로 정강이 교(骹)자를 했습니다. 정강이 교(骹)자는 의부(義符)로 뼈 골(骨)자 변에 성부(聲符)로 사귈 교(交)자를 한 형성(形聲) 글자입니다. 사귈 교(交)자는 집을 뜻하는 돼지 해(亠)자 아래에 서로 사귐을 나타내는 효 효(爻)자를 했습니다. 다섯 오(㐅)자는 셈대를 엇갈리게 놓은 모양으로 서로 관계가 있음을 나타냅니다. 본받을 효(效), 형상할 효(効), 강이름 효(洨), 단소 효(筊), 부르짖을 효(詨)자들은 사귈 교(交)자가 들어 있어서 ‘효’로 읽습니다.
+
+
= 䕧
등나무 등(䕨)자는 의부(義符)로 풀 초(艸,艹)자에 성부(聲符)로 봉할 등(縢)자를 했습니다. 봉할 등(縢)자는 의부(義符)로 가는 실 사(糸,糹)자에 성부(聲符)로 달 월(月)자에 ‘𠔉’자를 한 글자를 했습니다. 오를 등(騰), 물 솟을 등(滕), 베낄 등(謄)자들은 달 월(月)자에 ‘𠔉’자를 한 글자가 들어 있어서 ‘등’으로 읽습니다. 여기서 말 마(馬), 물 수(水), 말씀 언(言)자들은 의부(義符)입니다.
+
= 䕨
말린 매실 료(䕩)자는 의부(義符)로 풀 초(艸,艹)자에 성부(聲符)로 서까래 료(橑)자를 했습니다. 서까래 료(橑)자는 의부(義符)로 나무 목(木)자 변에 성부(聲符)로 횃불 료(尞)자를 했습니다. 횃불 료(尞)자는 횃불을 그린 상형(象形) 글자입니다.
䕩
+
= 䕩
택사 택(䕪)자는 의부(義符)로 풀 초(艸,艹)자에 성부(聲符)로 못 택(澤)자를 했습니다. 못 택(澤)자는 의부(義符)로 물 수(水,氵)자 변에 성부(聲符)로 엿볼 역(睪)자를 했습니다. 엿볼 역(睪)자는 그물 망(罒)자 아래에 다행 행(幸)자를 해서 죄를 짓고 잡혀와 갇혀 있는 죄수를 몰래 엿보는 표시를 한 글자입니다. 여기서 그물 망(罒)자는 잡아온 죄인을 가두어 감추어 두었다는 뜻입니다. 못 택(澤), 소라 게 택(蠌), 뻐꾸기 택(鸅)자들은 엿볼 역(睪)자가 들어 있어서 ‘택’으로 읽습니다.
+
= 䕪
조심할 기(夔)자는 원숭이 노(夒)자에 공격무기인 뿔(艸,艹,䒑)을 그려서 조심해야 할 것을 표시했습니다. 원숭이 노(夒)자는 머리 혈(頁)자를 가운데 놓고 왼쪽에는 발 지(止)자를 하고 오른쪽에는 병부 절(㔾)자를 하고, 맨 아래에는 천천히 걸을 쇠(夊)자를 했습니다. 머리 혈(頁)자를 가운데 한 것은 원숭이를 표시한 것이고 왼쪽에 발 지(止)자, 오른쪽에 병부 절(㔾)자, 맨 아래에는 천천히 걸을 쇠(夊)자들은 모두 원숭이의 행동을 나타낸 글자들입니다. 원숭이의 다양하고 복잡한 행동을 나타낸 글자입니다. 원숭이는 사나운 짐승입니다. 원숭이 원(猿)자는 개 견(犬,犭)자 변에 나오는 글자입니다. 개 견(犬,犭)자 변에 나오는 글자들은 소 우(牛)자 변에 나오는 짐승들보다, 사나운 짐승들입니다.
夔
夒
생강 강(䕬)자는 의부(義符)로 풀 초(艸,艹)자에 성부(聲符)로 굳셀 강(彊)자를 했습니다. 굳셀 강(彊)자는 의부(義符)로 활 궁(弓)자에 성부(聲符)로 지경 강(畺)자를 했습니다. 형성(形聲) 글자입니다. 굳센 것을 활로 표시했습니다. 지경 강(疆)자는 굳셀 강(彊)자에 흙 토(土)자를 더했습니다.
䕬
겨자 섬(䕭)자는 의부(義符)로 풀 초(艸,艹)자에 성부(聲符)로 데칠 섬(燅)자를 했습니다. 데칠 섬(燅)자는 의부(義符)로 언덕 륙(坴자에 성부(聲符)로 불탈 염(炎)자를 했습니다. 날카로울 섬(剡), 펼 섬(掞), 번갯빛 섬(晱), 언뜻 볼 섬(睒), 언뜻 볼 섬(覢)자들은 불탈 염(炎)자가 들어 있어서 ‘섬’으로 읽습니다.
+
+
= 䕭
국화 국(䕮)자는 의부(義符)로 풀 초(艸,艹)자와 다행 행(幸)자에 성부(聲符)로 움켜 뜰 국(匊)자를 했습니다. 움켜 뜰 국(匊)자는 쌀 포(勹)자에 쌀 미(米)자를 한 회의(會意) 글자입니다.
+
+
= 䕮
개구리밥 표(䕯)자는 의부(義符)로 풀 초(艸,艹)자에 성부(聲符)로 박 표(瓢)자를 했습니다. 박 표(瓢)자는 의부(義符)로 오이 과(瓜)자에 성부(聲符)로 불똥 튈 표(票)자를 했습니다. 오이 과(瓜)자는 덩굴에 오이가 달린 r서을 그린 상형(象形) 글자입니다. 불똥 튈 표(票)자는 서녘 서(西)자에 보일 시(示,礻)자를 했습니다. 불똥 튈 표(票)자는 불이 나서 불똥이 튀는 모양을 나타낸 글자입니다. 서녘 서(西)자는 서쪽이라는 뜻이 아니라, 불똥을 손으로 잡는 모양이고, 보일 시(示)자는 보인다는 뜻이 아니라, 불 화(火)자의 변형입니다.
+
= 䕯
지모 번(䕰)자는 의부(義符)로 풀 초(艸,艹)자에 성부(聲符)로 구울 번(燔)자를 했습니다. 구울 번(燔)자는 의부(義符)로 불 화(火)자 변에 성부(聲符)로 갈마들 번(番)자를 했습니다. 갈마든다는 말은 일이나 일을 처리함에 있어서 차례대로 이루어진다는 말입니다. 분별할 변(釆)자 아래에 밭 전(田)자를 했습니다. 분별할 변(釆)자는 분별할 변(辨)자의 본자(本字)입니다. 갈마들 번(番)자는 농사를 지음에 있어 시기에 맞추어 잘 분별해서 일을 해야 추수를 제대로 할 수 있다는 뜻입니다. 지모(知母)는 백합과의 여러해살이풀입니다.
+
= 䕰
풀이름 두(䕱)자는 의부(義符)로 풀 초(艸,艹)자에 성부(聲符)로 머리 두(頭)자를 했습니다 머리 두(頭)자는 의부(義符)로 머리 혈(頁)자에 성부(聲符)로 제기 두(豆)자를 했습니다. 제기 두(豆)자는 제기를 그린 상형(象形) 글자입니다.
+
= 䕱
뺑때쑥 름(䕲)자는 의부(義符)로 풀 초(艸,艹)자에 성부(聲符)로 창고 름(廩)자를 했습니다. 창고 름(廩)자는 집 엄(广)자 변에 창고 름(㐭)자를 하고 아래에 벼 화(禾)자를 해서 벼를 창고에 쌓아 놓았음을 나타냈습니다. 찰 름(凜), 위태할 름(懍), 서늘할 름(澟)자들은 줄 품(稟)자가 들어 있어서 ‘름’으로 읽습니다.
+
+
= 䕲
쑥 봉(蘕)자는 의부(義符)로 풀 초(艸,艹)자에 성부(聲符)로 꿰맬 봉(縫)자를 했습니다. 꿰맬 봉(縫)자는 의부(義符)로 가는 실 사(糸,糹)자에 성부(聲符)로 만날 봉(逢)자를 했습니다. 만날 봉(逢)자는 의부(義符)로 쉬엄쉬엄 갈 착(辶)자변에 성부(聲符)로 끌 봉(夆)자를 했습니다. 끌 봉(夆)자는 의부(義符)로 뒤져서 올 치(夂)자 아래에 성부(聲符)로 예쁠 봉(丰)자를 했습니다.
+
= 蘕
그루터기 얼(蘖)자는 의부(義符)로 풀 초(艸,艹)자에 성부(聲符)로 그루터기 얼(櫱)자를 했습니다. 그루터기 얼(櫱)자는 의부(義符)로 나무 목(木)자에 성부(聲符)로 허물 설(辥)자를 했습니다. 허물 설(辥)자는 왼손 좌(屮)자에 ‘𠂤’자를 하고 매울 신(辛)자를 했습니다. 서자 얼(孼), 누룩 얼(糱), 누룩 얼(糵), 근심 얼(蠥)자들은 허물 설(辥)자가 들어 있어서 ‘얼’로 읽습니다.
+
= 蘖
황경나무 벽(蘗)자는 의부(義符)로 풀 초(艸,艹)자에 성부(聲符)로 황경나무 벽(檗)자를 했습니다. 황경나무 벽(檗)자는 의부(義符)로 나무 목(木)자에 성부(聲符)로 임금 벽(辟)자를 했습니다.
+
= 蘗
양화 양(蘘)자는 의부(義符)로 풀 초(艸,艹)자에 성부(聲符)로 도울 양(襄)자를 했습니다. 도울 양(襄)자는 품을 회(褱)자처럼 옷 의(衣)자를 상하(上下)로 나누고 그 사이에 입 구(口)자 두 개와 물건을 표시하는 글자(𠀎)를 써서 옷이 주머니 등으로도 사용되어 사람에게 많은 도움이 되는 표시를 했습니다. 양하(蘘荷)는 생강과에 속하는 숙근초(宿根草)입니다.
蘘
+
= 蘘
무성한 모양 예(蘙)자는 의부(義符)로 풀 초(艸,艹)자에 성부(聲符)로 일산 예(翳)자를 했습니다. 일산 예(翳)자는 성부(聲符)로 앓는 소리 예(殹)자에 의부(義符)로 깃 우(羽)자를 했습니다. 일산 예(翳)자는 새의 깃털로 만들어서 햇빛 가리개로 쓰는 일산을 가리키는 글자입니다.
+
= 蘙
이끼 선(蘚)자는 의부(義符)로 풀 초(艸,艹)자에 성부(聲符)로 고울 선(鮮)자를 했습니다. 고울 선(鮮)자는 물고기 어(魚)자와 양 양(羊)자를 합해놓은 회의(會意) 글자입니다. 물고기도 신선해야 하고, 양 고기도 신선해야 합니다. 질 좋은 먹을거리이니 얼마나 곱게 보이겠습니까? 고울 선(鮮)자는 신선할 선(鮮)자로 전주(轉注) 되었습니다.
+
= 蘚
무성할 육(蘛)자는 의부(義符)로 풀 초(艸,艹)자와 심할 심(甚)자에 성부(聲符)로 기를 육(育)자를 했습니다. 심할 심(甚)자는 그 기(其)자 아래에 ‘ㄴ’자를 했습니다. 그것이 심함을 ‘ㄴ’자로 표시했습니다. 그러나 옛 글자를 보면 입에 넣어 맛을 본다는 뜻으로 가로 왈(曰)자에 짝을 이룬 두 사람이 맛본다는 뜻에서 필 필(匹)자를 했습니다. 혼자 먹거나 단 둘이 먹는다는 뜻으로 오직 자기 입만 생각하는 그 마음이 너무나 심하다는 뜻입니다. 기를 육(育)자는 이를 운(云)자 아래에 고기 육(月,肉)자를 했습니다. 여기서 이를 운(云)자는 말한다는 뜻이 아니라, 태어나는 아기의 모양을 그린 글자입니다. 아기 태어날 때에는 머리부터 세상에 나옵니다. 이를 운(云)자처럼.....이를 운(云)자는 아기가 탄생할 때 머리부터 나오는 것을 그린 글자입니다. 태어난 아기는 길러야 합니다. 기를 육(育)자는 아기의 탄생부터 책임지는 부모의 역할이 중요합니다. 인류의 번성의 기본을 나타낸 글자입니다.
+
+
= 蘛
국화 국(蘜)자는 의부(義符)로 풀 초(艸,艹)자에 성부(聲符)로 공 국(鞠)자를 했습니다. 공 국(鞠)자는 가죽 혁(革)자에 움켜 뜰 국(匊)자를 했습니다. 공은 털을 뭉쳐서 만들기도 하지만 (공 국(毱)자는 의부(義符)로 털 모(毛)자에 성부(聲符)로 움켜 뜰 국(匊)자를 했습니다. 움켜 뜰 국(匊)자는 쌀 미(米)자에 쌀 포(勹)자를 했습니다. 움켜 뜰 국(匊)자는 손으로 국자 모양을 해서 쌀을 움켜 내는 그림입니다.) 공 국(鞠)자처럼 가죽을 뭉쳐서 만들기도 합니다.
+
= 蘜
덩굴풀 렴(蘝)자는 의부(義符)로 풀 초(艸,艹)자에 성부(聲符)로 바랄 감(歛)자를 했습니다. 바랄 감(歛)자는 새 둥지 새끼들이 어미 새가 먹이를 물고 날아오면 입을 벌리고 먹이를 달라고 조르는 모양을 한 글자입니다. 바랄 감(歛)자는 다 첨(僉)자에 하품 흠(欠)자를 했습니다. 다 첨(僉)자는 여럿이 있다는 뜻이고, 하품 흠(欠)자는 입을 벌리고 먹이를 바라는 새끼 새의 모습입니다. 경대 렴(籢,籨)자는 다 첨(僉)자가 들어 있어서 ‘렴’으로 읽습니다. 염할 렴(殮), 물 벌창할 렴(澰), 양 뿔 비틀 렴(羷), 가위톱 렴(薟)자들은 다 첨(僉)자가 들어 있어서 ‘렴’으로 읽습니다.
+
+
= 蘝
거지덩굴 렴(蘞)자는 의부(義符)로 풀 초(艸,艹)자에 성부(聲符)로 거둘 렴(斂)자를 했습니다. 거둘 렴(斂)자는 다 첨(僉)자에 칠 복(攵)자를 했습니다. 다 첨(僉)자는 사람이 여럿 모여서 추수한 곡식의 알곡을 터는 모양을 나타낸 글자입니다.
+
= 蘞
은총 은(蘟)자는 의부(義符)로 풀 초(艸,艹)자에 성부(聲符)로 숨을 은(隱)자를 했습니다. 숨을 은(隱)자는 언덕(阜,阝) 밑에도 숨었습니다. 손톱 조(爪)자와 손을 표시하는 글자를 해서 가리고 숨긴 것을 나타냈습니다. 마음 심(心)자는 가리고 숨긴 마음이라는 뜻입니다.
+
= 蘟
장미 장(蘠)자는 의부(義符)로 풀 초(艸,艹)자에 성부(聲符)로 담 장(牆)자를 했습니다. 담 장(牆)자는 의부(義符)로 나뭇조각 장(爿)자에 성부(聲符)로 아낄 색(嗇)자를 했습니다. 아낄 색(嗇)자는 큰 입 구(囗)자 안에 작은 입 구(口)자를 해서 밭 전(田)자를 표시했습니다. 여기서 큰 입 구(囗)자 안에 작은 입 구(口)자를 한 글자는 밭 전(田)자의 변형입니다. 바로 밭 전(田)자 위에 벼 화(禾)자를 해서, 곡식을 표시했습니다. 곡식은 아껴야 하는 중요한 생활수단이지요. 돛대 장(艢), 담 장(墻), 돛대 장(檣), 담장 장(牆), 궁녀 장(嬙), 담 장(廧)자들은 아낄 색(嗇)자가 들어 있어서 ‘장’으로 읽습니다.
蘠
까마귀 머루 영(蘡)자는 의부(義符)로 풀 초(艸,艹)자에 성부(聲符)로 갓난아기 영(嬰)자를 했습니다. 갓난 아이 영(嬰)자는 엄마가 안고 있는 강보에 싸인 아기를 표시한 글자입니다. 아니는 엄마에게 조개 패(貝)자 두 개로 표시할 수 있는 가치보다 훨씬 더 중요한 것이겠지요. 조개 패(貝)자는 돈을 뜻한다고 보기 보다는 아기를 보자기에 싼 모습이라고 보면 좋을 것 같습니다. 갓난 아이 영(嬰)자는 바로 ‘금쪽같은 내 새끼’라는 뜻을 나타내는 글자입니다.
+
= 蘡
벼 싹 팰 투(蘣)자는 풀 초(艸,艹)자에 누른빛 주(黈)자를 했습니다. 누른 빛 주(黈)자는 의부(義符)로 누를 황(黃)자에 성부(聲符)로 주인 주(主)자를 했습니다. 벼가 싹이 팰 때에는 누른 볍씨도 누렇고 나오는 삭도 약간 누른빛을 띱니다. 주인 주(主)자는 볍씨에서 삭이 패는 모양을 나타냈습니다.
+
+
= 蘣
귀리 약(蘥)자는 의부(義符)로 풀 초(艸,艹)자에 성부(聲符)로 피리 약(龠)자를 했습니다. 피리 약(龠)자는 입에 대고 부는 퉁소 같은 피리를 여러 개 묶어놓은 글자입니다.
蘥
감초 령(蘦)자는 의부(義符)로 풀 초(艸,艹)자에 성부(聲符)로 비 올 령(霝)자를 했습니다. 비올 령(霝)자는 비가 내리는 모양을 그린 비 우(雨)자 아래에 물방울을 그려서 입 구(口)자 세 개로 표시했습니다. 또는 비올 령(霝)자는 비가 내리는 모양을 그린 비 우(雨)자 아래에 입 구(口)자를 세 개 해서 빗소리를 표시했다고 볼 수도 있을 것입니다. 신령 령(靈), 격자창 령(櫺)자들은 비올 령(霝)자가 들어 있어서 ‘령’으로 읽습니다.
蘦
패랭이꽃 거(蘧)자는 의부(義符)로 풀 초(艸,艹)자에 성부(聲符)로 갑자기 거(遽)자를 했습니다. 갑자기 거(遽)자는 쉬엄쉬엄 갈 착(辶)자 변에 원숭이 거(豦)자를 했습니다. 원숭이 거(豦)자는 얼굴은 호랑이처럼 무섭게 생겼고 몸은 돼지처럼 살진 모양일 듯싶습니다. 원숭이 거(豦)자는 상형(象形) 글자입니다.
蘧
풀이 우거진 모양 요(蘨)자는 의부(義符)로 풀 초(艸,艹)자에 성부(聲符)로 부역 요(繇)자를 했습니다. 부역 요(繇)자는 의부(義符)로 이을 계(系)자에 성부(聲符)로 질그릇 요(䍃)자를 했습니다. 질그릇 요(䍃)자는 달 월(月)자 아래에 장군 부(缶)자를 했습니다. 여기서 달 월(月)자는 손톱 조(爪)자의 변형으로 질그릇을 빚는 손을 표시한 글자입니다.
+
= 蘨
산 흰 쑥 번(蘩)자는 의부(義符)로 풀 초(艸,艹)자에 성부(聲符)로 많을 번(繁)자를 했습니다. 많을 번(䋣,緐,䋦,繁)자는 의부(義符)로 가는 실 사(糸,糹)자에 성부(聲符)로 매양 매(每)자나 재빠를 민(敏)자를 했습니다. 재빠를 민(敏)자는 재빠른 것은 손으로 하는 일이니, 손이 하는 일을 표시하는 칠 복(攴,攵)자에 재빠르려면 반복해서 훈련을 해야 하니, 매양 매(每)자를 했습니다. 매양 매(每)자는 ‘𠂉’ 글자에 어미 모(母)자를 했습니다. 어머니가 집안에서 늘 자녀를 돌보는 일을 표시한 글자입니다. 그런데 옛 글자를 보면 여자가 머리를 매만지는 표시를 했습니다. 여자가 머리를 재빠르게 고친다는 의미인 것도 같습니다. 또 여자는 날마다 머리를 매만져야 한다는 말과도 같습니다. 물 이름 번(瀪), 많을 번(繁)자들은 재빠를 민(敏)자가 들어 있어서 ‘번’으로 읽습니다.
蘩
천궁 미(蘪)자는 의부(義符)로 풀 초(艸,艹)자에 성부(聲符)로 큰 사슴 미(麋)자를 했습니다. 큰 사슴 미(麋)자는 의부(義符)로 사슴을 그린 상형(象形) 글자인 사슴 록(鹿)자 아래에 성부(聲符)로 쌀 미(米)자를 했습니다. 쌀 미(米)자는 쌀 이삭을 그린 상형(象形) 글자입니다.
蘪
오이김치 람(蘫)자는 의부(義符)로 풀 초(艸,艹)자에 성부(聲符)로 퍼질 람(濫)자를 했습니다. 퍼질 람(濫)자는 물 수(水,氵)자 변에 볼 감(監)자를 했습니다. 볼 감(監)자는 눈을 뜻하는 신하 신(臣)자 옆에 손을 표시한 또 우(又)자를 하고 그릇 명(皿)자는 했습니다. 제사상을 살피는 모양을 뜻하는 글자입니다. 또는 세수 대야에 물을 담아 놓고 세수하려다가 물에 비친 얼굴을 바라본다는 뜻으로 해석하기도 합니다. 다분히 나르시스(自己愛)적인 글자입니다. 퍼질 람(濫), 쪽 람(藍), 누더기 람(襤), 바구니 람(籃), 잡을 람(擥), 그르칠 람(㜮)자들은 닻줄 람(䌫,纜)자가 들어 있어서 ‘람’으로 읽습니다.
蘫
+
= 蘫
털 여뀌 귀(蘬)자는 의부(義符)로 풀 초(艸,艹)자에 성부(聲符)로 돌아갈 귀(歸)자를 했습니다. 돌아갈 귀(歸)자는 고향으로 돌아간다는 뜻을 표시한 글자입니다. 발 지(止)자는 돌아가는 것은 발로 걸어서 가기에 발 지(止)자를 한 것입니다. 돌아갈 귀(㱕)자에 ‘𠂤’자를 더했습니다. ‘𠂤’자는 언덕을 그린 글자입니다. 스승 사(師)자에서는 신하 신(臣)자와 비슷하게 눈을 두 개 그린 글자입니다. 언덕은 고향을 뜻하는 글자입니다. 수구초심(首丘初心)이라고 해서 죽을 때에 머리를 고향 쪽을 향해서 두고 죽는다는 말은 언덕이 고향임을 나타내는 말입니다. 비 추(帚)자는 빗자루를 표시한 글자입니다. 고슴도치 머리 계(彐)자는 비에서 바닥에 닿아 쓰레기를 모으는 곳이고 덮을 멱(冖)자와 수건 건(巾)자는 빗자루 부분을 나타냈습니다. 비 추(帚)자의 전서(篆書)를 보면 빗자루를 그린 글자임을 알 수 있습니다. 돌아갈 귀(歸)자에서 비 추(帚)자가 들어 있는 것은 쓸고 닦아 정성을 기울인 장소가 고향임을 나타냈습니다.
蘬
난초 란(蘭)자는 의부(義符)로 풀 초(艸,艹)자에 성부(聲符)로 가로 막을 란(闌)자를 했습니다. 가로 막을 란(闌)자는 의부(義符)로 문 문(門)자 안에 성부(聲符)로 가릴 간(柬)자를 했습니다. 가릴 간(柬)자는 나무 목(木)자에 가렸다는 표시로 입 구(口)자 안에 점을 좌우(左右)로 찍은 글자를 했습니다.
蘭
찰 풀 계(蘮)자는 의부(義符)로 풀 초(艸,艹)자에 성부(聲符)로 물고기 그물 계(罽)자를 했습니다. 물고기 그물 계(罽)자는 그물 망(罒)자 아래에 기슭 엄(厂)자를 하고 불탈 염(炎)자를 하고 칼 도(刀,刂)자를 했습니다. 그물 계(罽)자는 바로 그물(罒)이라는 것입니다. 여기서 기슭 엄(厂)자를 하고 불탈 염(炎)자를 하고 칼 도(刀,刂)자를 한 것은 그 궐(厥)자의 모사(模寫)입니다.
+
= 蘮
쓸어버릴 탕(蘯)자는 의부(義符)로 풀 초(艸,艹)자와 그릇 명(皿)자에 성부(聲符)로 넘어질 탕(湯)자를 했습니다. 넘어질 탕(湯)자는 의부(義符)로 물 수(水,氵)자에 성부(聲符)로 볕 양(昜)자를 했습니다. 음탕할 탕(婸), 무늬 있는 돌 탕(碭), 땅거미 탕(蝪)자들은 볕 양(昜)자가 들어 있어서 ‘탕’으로 읽습니다.
+
+
= 蘯
가쓰라 만(蘰)자는 의부(義符)로 풀 초(艸,艹)자에 성부(聲符)로 무늬 없는 비단 만(縵)자를 했습니다. 무늬 없는 비단 만(縵)자는 의부(義符)로 실 사(糸)자 변에 성부(聲符)로 끌 만(曼)자를 했습니다. 끌 만(曼)자는 빛을 뜻하는 날 일(日)자 아래에 그물 망(罒)자를 하고, 또 우(又)자를 했습니다. 여기서 그물 망(罒)자는 눈 목(目)자의 변형입니다. 끌 만(曼)자에서 날 일(日)자를 한 것은 빛이 있어야 보이기 때문입니다. 끌 만(曼)자는 눈길을 끈다는 만(曼)자입니다. 가쓰라는 일본 성씨입니다.
+
= 蘰
풀이름 미(䕳)자는 의부(義符)로 풀 초(艸,艹)자에 성부(聲符)로 두루 미(彌)자를 했습니다. 두루 미(彌)자는 의부(義符)로 활 궁(弓)자에 성부(聲符)로 너 이(爾)자를 했습니다. 너 이(爾)자는 화살을 그린 글자입니다. 상대방 즉 과녁을 형해 날아가는 화살을 그린 글자지요. 화살을 그려서 내가 아니 상대방을 표시했습니다. 너 이(爾)자에서 'X'표가 있는 것은 화살의 날개를 그린 것입니다. 치렁치렁할 미(濔), 대껍질 미(䉲)자도 너 이(爾)자가 들어 있어서 ‘미’로 읽습니다.
+
= 䕳
부자 착(䕴)자는 의부(義符)로 풀 초(艸,艹)자에 성부(聲符)로 풋바심할 착(穛)자를 했습니다. 풋바심할 착(穛)자는 벼 화(禾)자에 그을릴 초(焦)자를 했습니다. 195,60년대 가난할 때에는 먹을 것이 없어서 벼를 아직 충분히 익기도 전에 쌀을 만들어 먹을 요량으로 미리 쌀알을 거두어 불로 볶아서 익혀서 밥을 지어 먹습니다. 그을릴 초(焦)자는 새 추(隹)자 아래에 불을 붙여서 새를 굽는 모양을 한 회의(會意) 글자입니다. 부자(附子)는 바꽃의 어린뿌리입니다.
+
= 䕴
말여뀌 혈(䕵)자는 풀 초(艸,艹)자에 뻐꾹새 알(鴶)자를 했습니다. 뻐꾹새 알(鴶)자는 의부(義符)로 새 조(鳥)자에 성부(聲符)로 길할 길(吉)자를 했습니다. 멍청이 알(聐)자도 길할 길(吉)자가 들어 있어서 ‘알’로 읽습니다.
+
+
= 䕵
도울 호(䕶)자는 보호할 호(護)자와 같은 글자입니다. 보호할 호(護)자는 의부(義符)로 말씀 언(言)자 변에 성부(聲符)로 자 확(蒦)자를 했습니다. 자 확(蒦)자는 풀 초(艸,艹)자 아래에 새 추(隹)자를 하고 또 우(又)자를 했습니다. 풀밭에서 새 새끼를 잡으려고 하면 깡총 뛰어 조금 떨어져 도망가고 또 잡으려고 하면 깡총 뛰어 또 적절한 거리를 두고 도망을 칩니다. 풀밭에 새끼 새가 깡총 뛰어 도망가는 것을 마치 자로 재는 일에 비유한 말입니다. 보호할 호(護), 구할 호(頀)자는 자 확(蒦)자가 들어 있어서 ‘호’로 읽습니다.
護
맥문동 미(䕷)자는 의부(義符)로 풀 초(艸,艹)자에 성부(聲符)로 고삐 미(縻)자를 했습니다. 고삐 미(縻)자는 삼 마(麻)자에 실 사(糸)자를 했습니다. 고삐는 삼끈을 고아서 튼튼하고 굵게 만듭니다.
+
= 䕷
삼태기 류(蘲)자는 의부(義符)로 풀 초(艸,艹)자에 성부(聲符)로 진 루(壘)자를 했습니다. 진 루(壘)자는 밭 전(田)자 세 개에 흙 토(土)자를 했습니다. 여기서 밭 전(田) 세 개를 하고 아래에 흙 토(土)자를 한 것은 진을 만들 때 방어의 목적으로 흙으로 성을 쌓은 모양을 나타냈습니다. 강이름 류(灅), 등나무 덩굴 류(藟)자는 진 루(壘)자가 들어 있어서 ‘류’로 읽습니다.
+
= 蘲
노란꽃 휴(蘳)자는 의부(義符)로 풀 초(艸,艹)자와 누를 황(黃)자를 하고 성부(聲符)로 홀 규(圭)자를 했습니다. 밭두둑 휴(畦), 움펑눈 휴(眭)자는 홀 규(圭)자가 들어 있어서 ‘휴’로 읽습니다.
蘳
순무 풍(蘴)자는 의부(義符)로 풀 초(艸,艹)자에 성부(聲符)로 풍년 풍(豊)자를 했습니다. 풍년 풍(豐)자는 풍년 풍(豊)자와 동자(同字)입니다. 입 벌릴 감(凵)자를 가운데를 막아서 두 칸을 만들고 예쁠 봉(丰)자를 좌우(左右)에 두 개 한 글자가 바로 풍성할 풍(豐)자이 윗부분입니다. 바로 농사를 지어 수확이 많음을 표시한 글자입니다. 아래에 제기 두(豆)자를 해서 풍년이 들면 제사상 차림이 풍성해지는 것을 나타냈습니다.
+
= 蘴
까마종이 직(蘵)자는 의부(義符)로 풀 초(艸,艹)자에 성부(聲符)로 벼슬 직(職)자를 했습니다. 벼슬 직(職)자는 의부(義符)로 귀 이(耳)자에 성부로 찰진 흙 시(戠)자를 했습니다. 이름 직(嬂), 말뚝 직(樴), 벼슬 직(職), 박쥐 직(蟙)자도 찰진 흙 시(戠)자가 들어 있어서 ‘직’으로 읽습니다.
+
+
= 蘵
풀 돋아날 위(蘶)자는 의부(義符)로 풀 초(艸,艹)자에 성부(聲符)로 대궐 위(魏)자를 했습니다. 대궐 위(魏)자는 성부(聲符)로 맡길 위(委)자에 의부(義符)로 귀신 귀(鬼)자를 했습니다. 맡길 위(委)자는 벼 화(禾)자 아래에 여자 여(女)자를 했습니다. 밥을 짓는 등의 집안일을 여자에게 맡긴다는 뜻입니다. 양식 곧 먹는 것을 여자에게 맡긴다는 뜻이지요. 생활의 바탕은 먹는 일입니다. 예로부터 여자는 생활의 기본적인 모든 일을 도맡아 행사했던 것입니다. 귀신 귀(鬼)자는 머리는 크고, 발은 없어 스르르 날듯이 다니는 귀신의 특징을 나타낸 것입니다. 보이지는 않지만 이런 귀신의 특징을 상상해서 잘 그린 상형(象形) 글자입니다.
+
= 蘶
조심할 기(蘷)자는 풀섶을 조심해야 하기에, 풀 초(艸,艹,䒑)자에 원숭이도 조심해야할 짐승이니까, 원숭이 노(夒)자를 했습니다. 조심할 기(蘷)자는 회의(會意) 글자입니다. 원숭이 노(夒)자는 머리 혈(頁)자를 가운데 놓고 왼쪽에는 발 지(止)자를 하고 오른쪽에는 병부 절(㔾)자를 하고, 맨 아래에는 천천히 걸을 쇠(夊)자를 했습니다. 머리 혈(頁)자를 가운데 한 것은 원숭이를 표시한 것이고 왼쪽에 발 지(止)자, 오른쪽에 병부 절(㔾)자, 맨 아래에는 천천히 걸을 쇠(夊)자들은 모두 원숭이의 행동을 나타낸 글자들입니다. 원숭이의 다양하고 복잡한 행동을 나타낸 글자입니다. 원숭이는 사나운 짐승입니다. 원숭이 원(猿)자는 개 견(犬,犭)자 변에 나오는 글자입니다. 개 견(犬,犭)자 변에 나오는 글자들은 소 우(牛)자 변에 나오는 짐승들보다, 사나운 짐승들입니다.
蘷
夒
삼줄기 할(䕸)자는 의부(義符)로 풀 초(艸,艹)자에 성부(聲符)로 교활할 할(黠)자를 했습니다. 교활할 할(黠)자는 의부(義符)로 검을 흑(黑)자에 성부(聲符)로 길할 길(吉)자를 했습니다. 삼갈 할(劼), 견고할 할(硈)자는 길할 길(吉)자가 들어 있어서 ‘할’로 읽습니다.
+
+
= 䕸
지게문발 잡(䕹)자는 의부(義符)로 풀 초(艸,艹)자에 성부(聲符)로 섞일 잡(雜)자를 했습니다. 섞일 잡(雜)자는 ‘𠅃’자 아래에 나무 목(木)자를 하고 새 추(隹)자를 했습니다. 여기서 ‘𠅃’자는 옷의(衣)자의 변형(變形)입니다. 여기서 옷 의(衣)자는 새의 옷인 털의 색깔이 여러 가지인 것을 나타냈습니다. 나무 목(木)자에 새 추(隹)자를 한 것은 새가 나무에 앉아 잇다는 뜻입니다. 나무에 앉아 있는 새들이 모두 새가 입은 옷 곧, 새의 털빛이 모두 다르다는 뜻입니다. 여러 가지 색깔을 가진 새들이 섞여 있다는 글자입니다.
+
= 䕹
떨기 총(䕺)자는 의부(義符)로 풀 초(艸,艹)자에 성부(聲符)로 모일 총(叢)자를 했습니다. 모일 총(叢)자는 풀 무성할 착(丵)자 아래에 취할 취(取)자를 했습니다. 무성한 풀을 모두 취했다는 뜻입니다.
䕺
물고랭이 류(蘱)자는 의부(義符)로 풀 초(艸,艹)자에 성부(聲符)로 무리 류(類)자를 했습니다. 무리 류(類)자는 쌀 미(米)자 아래에 개 견(犬)자를 하고 머리 혈(頁)자를 했습니다. 무리 류(類)자는 개가 떼로 몰려 다니는 모습을 나타냈습니다. 여기서 쌀 미(米)자는 개가 먹는 먹이가 사람처럼 쌀도 된다는 뜻입니다. 또 여기서 머리 혈(頁)자는 개의 숫자를 표시한 글자입니다. 개가 머리 수가 많다는 뜻이지요.
+
= 蘱
담글 잠(蘸)자는 풀 초(艸,艹)자에 초례 초(醮)자를 했습니다. 여기서 담근다는 말은 김치를 담그거나, 장아찌를 담근다는 말입니다. 여기서 술독 유(酉)자는 젖을 담글 때 발효한다는 뜻입니다. 초례 초(醮)자는 의부(義符)로 술독 유(酉)자에 성부(聲符)로 그을릴 초(焦)자를 했습니다. 초례는 도가에서 행하는 예식을 뜻합니다. 지금까지 남아 있는 도가(道家)의 예식은 초례(醮禮)라고 하는 전통(傳統) 혼례식(婚禮式)입니다.
蘸
회향 회(蘹)자는 의부(義符)로 풀 초(艸,艹)자에 성부(聲符)로 품을 회(懷)자를 했습니다. 품을 회(懷)자는 마음 심(心,忄)자 변에 품을 회(褱)자를 했습니다. 품을 회(褱)자는 옷 의(衣)자는 상의(上衣)와 하의(下衣)로 나누고 그 사이에 그물 망(罒)자와 두 이(二)자를 좌우(左右)로 나누어 해서, 옷으로 물건을 품은 모양을 나타냈습니다. 회향(茴香)은 산형과의 여러해살이풀입니다.
+
= 蘹
천궁 리(蘺)자는 의부(義符)로 풀 초(艸,艹)자에 성부(聲符)로 떼놓을 리(離)자를 했습니다. 떼놓을 리(離)자는 성부(聲符)로 산신 리(离)자에 의부(義符)로 새 추(隹)자를 했습니다. 새가 날아가 헤어진다는 뜻입니다.
蘺
풀 연접할 계(蘻)자는 의부(義符)로 풀 초(艸,艹)자에 성부(聲符)로 맬 계(繫)자를 했습니다. 맬 계(繫)자는 의부(義符)로 가는 실 사(糸,糹)자에 성부(聲符)로 부딪칠 격(毄)자를 했습니다. 부딪칠 격(毄)자는 수레 거(車)자 아래에 입 구(口)자를 하고 창 수(殳)자를 했습니다. 여기서 수거 차(車)자나 창 수(殳)자는 전쟁 때 사용하는 무기입니다. 입 구(口)자는 서로 부딪칠 때 나는 소리를 표시한 글자입니다. 두레박 틀 계(檕), 그릇 속 빌 계(罊), 방아깨비 계(蟿)자들은 부딪칠 격(毄)자가 들어 있어서 ‘계’로 읽습니다.
蘻
장미 미(蘼)자는 의부(義符)로 풀 초(艸,艹)자에 성부(聲符)로 쓰러질 미(靡)자를 했습니다. 쓰러질 미(靡)자는 의부(義符)로 아닐 비(非)자에 성부(聲符)로 삼 마(麻)자를 했습니다. 기장 미(穈)자도 삼 마(麻)자가 들어 있어서 ‘미’로 읽습니다.
= 蘼
덩굴 풀 류(蘽)자는 의부(義符)로 풀 초(艸,艹)자에 성부(聲符)로 덩굴 풀 루(櫐)자를 했습니다. 덩굴 풀 루(櫐)자는 성부(聲符)로 밭갈피 뢰(畾)자에 의부(義符)로 나무 목(木)자를 했습니다. 갇힐 류(纍), 등나무 덩굴 류(藟)자는 밭갈피 뢰(畾)자가 들어 있어서 ‘류’로 읽습니다.
+
+
= 蘽
회양 괴(蘾)자는 의부(義符)로 풀 초(艸,艹)자에 성부(聲符)로 무너질 괴(壞)자를 했습니다. 품을 회(褱)자는 옷 의(衣)자를 상하(上下)로 나누고 그 사이에 눈으로 뒤따를 답(眔)자를 했습니다. 옷 속에 품었다는 뜻을 표시한 글자입니다. 무너질 괴(壞)자도 품을 회(褱)자가 들어 있어서 ‘괴’로 읽습니다.
+
= 蘾
무 라(蘿)자는 의부(義符)로 풀 초(艸,艹)자에 성부(聲符)로 새 그물 라(羅)자를 했습니다. 새 그물 라(羅)자는 그물 망(罒)자에 밧줄 유(維)자를 했습니다. 여기서 밧줄 유(維)자는 그물의 벼리를 뜻하는 글자입니다. 벼리는 그물에 있는 굵은 밧줄을 뜻합니다. 그 굵은 밧줄만 잡아당기면 모든 그물이 딸려 옵니다. 밧줄 유(維)자는 의부(義符)로 가는 실 사(糸,糹)자에 성부(聲符)로 새 추(隹)자를 했습니다. 새 추(隹)자는 꼬리가 짧은 새를 그린 상형(象形) 글자입니다.
蘿
+
= 蘿
버무릴 제(虀)자는 의부(義符)로 풀 초(艸,艹)자에 성부(聲符)로 회 제(韲)자를 했습니다. 회 제(韲)자는 성부(聲符)로 가지런할 제(齊)자 아래에 의부(義符)로 부추 구(韭)자를 했습니다. 여기서 부추 구(韭)자는 회를 가늘게 설어놓은 모양이 부추 이파리와 같다는 뜻입니다.
+
= 虀
조심할 기(虁)자는 의부(義符)로 풀 초(艸,艹)자에 성부(聲符)로 조심할 기(夔)자를 했습니다. 조심할 기(夔)자는 원숭이 노(夒)자에 공격무기인 뿔(艸,艹,䒑)을 그려서 조심해야 할 것을 표시했습니다. 원숭이 노(夒)자는 머리 혈(頁)자를 가운데 놓고 왼쪽에는 발 지(止)자를 하고 오른쪽에는 병부 절(㔾)자를 하고, 맨 아래에는 천천히 걸을 쇠(夊)자를 했습니다. 머리 혈(頁)자를 가운데 한 것은 원숭이를 표시한 것이고 왼쪽에 발 지(止)자, 오른쪽에 병부 절(㔾)자, 맨 아래에는 천천히 걸을 쇠(夊)자들은 모두 원숭이의 행동을 나타낸 글자들입니다. 원숭이의 다양하고 복잡한 행동을 나타낸 글자입니다. 원숭이는 사나운 짐승입니다. 원숭이 원(猿)자는 개 견(犬,犭)자 변에 나오는 글자입니다. 개 견(犬,犭)자 변에 나오는 글자들은 소 우(牛)자 변에 나오는 짐승들보다, 사나운 짐승들입니다.
虁
夒
달라붙을 려(䕻)자는 의부(義符)로 풀 초(艸,艹)자에 성부(聲符)로 고울 려(麗)자를 했습니다. 고울 려(麗)자는 사슴 록(鹿)자 위에 사슴의 뿔을 아름답게 표시한 글자입니다. 고울 려(麗)자는 사슴의 뿔을 그린 상형(象形)글자와 사슴을 그린 사슴 록(鹿)자가 합하여 만들어진 회의(會意) 글자입니다.
䕻
풀이름 연(䕼)자는 풀 초(艸,艹)자에 어려울 난(難)자를 했습니다. 어려울 난(難)자는 성부(聲符)로만 사용 되는 ‘𦰩’자에 새 추(隹)자를 했습니다. 새는 흔히 사람에 상징됩니다. “아침에 우는 새는 배가 고파 울고요, 저녁에 우는 새는 님이 그리워 운다네.” 라는 민요는 바로 새에 빗대어 내 감정을 표출한 것입니다. 내가 어려운 삶을 사니, 새도 어려운 삶을 삽니다. 어려울 간(艱)자에도 ‘𦰩’자가 들어 있는데 어렵다는 뜻이니까 어긋날 간(艮)자를 했고, 한수 한(漢)자에도 ‘𦰩’자가 들어 있는데 물 이름이니까 물 수(水,氵)자를 했고 탄식할 탄(嘆)자에도 ‘𦰩’자가 들어 있는데 탄식은 입으로 하니까, 입 구(口)자가 들어 있습니다. ‘𦰩’자가 들어 있는 글자는 ‘간’ ‘한’ ‘탄’ ‘난’ 등으로 읽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䕼
철쭉나무 촉(䕽)자는 의부(義符)로 풀 초(艸,艹)자에 성부(聲符)로 머뭇거릴 촉(躅)자를 했습니다. 머뭇거릴 촉(躅)자는 의부(義符)로 발 족(足)자에 성부(聲符)로 촉나라 촉(蜀)자를 했습니다.
+
= 䕽
번로 로(虂)자는 의부(義符)로 풀 초(艸,艹)자에 성부(聲符)로 이슬 로(露)자를 했습니다. 이슬 로(露)자는 의부(義符)로 비 우(雨)자에 성부(聲符)로 길 로(路)자를 했습니다. 비 우(雨)자는 비가 내리는 모양을 그린 상형(象形) 글자이고, 길 로(路)자는 발 족(足)자에 각 각 각(各)자를 한 회의(會意) 글자입니다. 발 족(足)자는 발을 그린 상형(象形) 글자이고, 각각 각(各)자는 걷는다는 뜻을 가진 뒤져서 올 치(夂)자 아래에 입 구(口)자를 한 회의(會意) 글자입니다. 길 로(路)자는 사람이 걸어 다닌다는 뜻을 나타냈습니다.
+
= 虂
산부추 첨(虃)자는 의부(義符)로 풀 초(艸,艹)자에 성부(聲符)로 적실 첨(瀸)자를 했습니다. 적실 첨(瀸)자는 의부(義符)로 물 수(水,氵)자 변에 성부(聲符)로 산부추 섬(韱)자를 했습니다. 산부추 섬(韱)자는 다할 첨(㦰)자 아래에 부추 구(韭)자를 했습니다. 적실 첨(瀸)자를 ‘첨’으로 읽는 것은 다할 첨(㦰)자가 들어 있기 때문입니다.
+
= 虃
화살 살(虄)자는 의부(義符)로 풀 초(艸,艹)자와 벌레 충(虫)자에 성부(聲符)로 칠 복(攵)자에 낳을 산(産)자를 했습니다. 보살 살(薩)자는 낳을 산(産)자가 들어 있어서 ‘살’로 읽습니다.
+
+
+
= 虄
등나무 등(虅)자는 의부(義符)로 풀 초(艸,艹)자에 성부(聲符)로 오를 등(騰)자를 했습니다. 오를 등(腾,騰)자는 의부(義符)로 고기 육(肉,月)자에 성부(聲符)로 오를 등(駦)자를 했습니다. 여기서 고기 육(肉,月)자는 배를 그린 글자입니다. 오를 등(駦)자는 ‘𠔉’자 아래에 말 마(馬)자를 했습니다. ‘𠔉’자는 성부(聲符)로 ‘등’으로 읽습니다. 봉할 등(縢), 오를 등(騰), 신령한 뱀 등(螣)자들은 ‘𠔉’자가 들어 있어서 ‘등’으로 읽습니다. 봉할 등(縢), 오를 등(騰), 신령한 뱀 등(螣)자들에서 봉할 등(縢)자는 실 사(糸)로 묶어 봉한다는 뜻에서 실 사(糸)자를 하고, 오를 등(騰)자는 말에 오른다는 뜻에서 말 마(馬)자를 하고, 신령한 뱀 등(螣)자는 뱀의 상형(象形) 글자인 벌레 충(虫)자가 들어 있어서, 각각 의부(義符)입니다.
+
= 虅
풀이름 엄(䕾)자는 의부(義符)로 풀 초(艸,艹)자에 성부(聲符)로 엄할 엄(嚴)자를 했습니다. 엄할 엄(嚴)자는 입 구(口)자 두 개 아래에 기슭 엄(厂)자를 하고 감히 감(敢)자를 했습니다. 입 구자 두 새는 눈을 둥그렇게 뜨고 긴장한 모습이고, 기슭 엄(厂)자는 의부(義符)와 성부(聲符)를 분리해 놓은 표시입니다. 엄할 엄(嚴)자의 성부(聲符)는 감히 감(敢)자입니다. ‘엄’과 ‘감’은 통운(通韻)이기 때문입니다. 감히 감(敢)자는 귀 이(耳)자 위에 장인 공(工)자를 했지만 귀를 뜻하는 글자에 칠 복(攵)자를 했습니다. 여기서 칠 복(攵)자는 때린다는 듯으로 보아도 무방하지마는 귀를 잡아당기는 표시라고 볼 수도 있습니다. 사람을 얕보고 감히 따귀도 때리고 귀도 잡아당기고 입도 쥐어뜯고 하는 것을 표시한 글자입니다.
+
= 䕾
덩굴 류(虆)자는 의부(義符)로 풀 초(艸,艹)자에 성부(聲符)로 맬 류(纍)자를 했습니다. 맬 류(纍)자는 성부(聲符)로 밭갈피 뢰(畾)자에 의부(義符)로 실 사(糸)자를 했습니다. 등나무 덩굴 류(藟), 강이름 류(灅)자는 밭갈피 뢰(畾)자가 들어 있어서 ‘류’로 읽습니다.
+
= 虆
갈대순 권(虇)자는 의부(義符)로 풀 초(艸,艹)자와 활 궁(弓)자에 성부(聲符)로 황새 관(雚)자를 했습니다. 황새 관(雚)자는 목을 길게 뽑고 긴 다리를 가지고 눈을 둥그렇게 뜨고 사방을 살피는 황새의 모양을 그린 상형(象形) 글자입니다.
+
+
= 虇
백지 효(虈,䖀)자는 의부(義符)로 풀 초(艸,艹)자에 성부(聲符)로 왁자지껄할 효(囂)자를 했습니다. 왁자지껄할 효(囂)자는 사람의 개체를 뜻하는 머리 혈(頁)자에 시그러운 소리를 낸다는 뜻으로 입 구(口)자를 네 개를 했습니다.
虈
인끈 같은 풀 역(虉)자는 의부(義符)로 풀 초(艸,艹)자에 성부(聲符)로 칠면조 역(鷊)자를 했습니다. 칠면조 역(鷊)자는 성부(聲符)로 솥 력(鬲)자에 의부(義符)로 새 조(鳥)자를 했습니다. 산마늘 역(蒚), 다리 굽은 솥 역(鎘)자는 솥 력(鬲)자가 들어 있어서 ‘역’으로 읽습니다.
+
= 虉
풀 한(䕿)자는 의부(義符)로 풀 초(艸,艹)자와 새 조(鳥)자에 성부(聲符)로 ‘𦰩’자를 했습니다. 한수 한(漢), 할미 한(嫨), 말릴 한(暵), 말릴 한(熯)자들은 ‘𦰩’자가 들어 있어서 ‘한’으로 읽습니다.
䕿
+
+
= 䕿
억 억(䖁)자는 일만 만(萬)자에 뜻 의(意)자를 했습니다. 일만 만(萬)자는 전갈을 그린 상형(象形) 글자입니다. 일만이라는 수가 전갈처럼 무섭다는 말입니다. 일만 만(萬)자의 갑골문자는 꼬리를 치켜든 것까지 전갈을 꼭 닮은 글자입니다. 뜻 의(意)자는 설 립(立)자 아래에 날 일(日)을 했고, 마음 심(心)자를 더 했습니다. 날(日)마다 세우는(立) 마음(心)이 뜻(意)입니다. 사람의 마음이 그렇게 수가 많아 서로 다르다는 표시입니다. 억(䖁)자는 일만(萬) 가지 사람의 뜻(意)을 나타냈습니다.
+
䖁
순채 란(虊,䖂)자는 의부(義符)로 풀 초(艸,艹)자에 성부(聲符)로 가름대 란(欒)자나 걸릴 련(攣)자를 했습니다. 가름대 란(欒)자나 걸릴 련(攣)자 두 글자 모두에 성부(聲符)로 어지러울 련(䜌)자가 들어 있습니다. 난새 란(鸞), 둥글 란(圝), 땅거미 질 란(曫), 산돼지 그물 란(羉), 방울 란(鑾)자들은 어지러울 련(䜌)자가 들어 있어서 ‘란’으로 읽습니다.
䖂
바람이 물을 치는 모양 약(䖃)자는 같을 약(若)자를 세 개 배열(配列,排列)한 글자입니다. 같을 약(若)자는 풀 초(艸,艹)자에 오른쪽 우(右)자를 했습니다. 이는 풀을 뽑는 동작을 표시한 글자입니다. 풀은 아무리 뽑아도 늘 같은 모양으로 풀이 자라 있습니다. 풀과의 전쟁이지요. 여기서 오른쪽 우(右)자는 듣는 손을 뜻하며 일을 한다는 뜻입니다. 오른쪽 우(右)자는 입 구(口)자 오른쪽에 손 수(手)자를 해서 오른쪽을 표시한 지사(指事) 글자입니다. 왼 좌(左)자는 왼손을 표시하는 글자(𠂇)를 장인 공(工)자 왼쪽에 했습니다. 입 구(口)자와 장인 공(工)자는 좌우(左右)를 표시하는 기준을 표시한 것입니다. 그래서 장인 공(工)자의 왼쪽이니 왼손 좌(左)자이고 입 구(口)자의 오른쪽이니 오른손 우(右)자입니다. 왼 손은 오른 손에 비하여 잘 듣지 않는 손입니다. 왼 좌(左)자는 지사(指事) 글자입니다.
+
+
= 䖃
불 탈 연(䖄)자는 풀 초(艸,艹)자에 ‘𦰩’자를 하고 그을릴 초(焦)자를 했습니다. 여기서 풀 초(艸,艹)자에 ‘𦰩’자를 하고 그을릴 초(焦)자는 모두 불이 붙어 타는 것을 나타냈습니다. 불 탈 연(燃)자는 의부(義符)로 불 화(火)자를 하고 성부(聲符)로 그럴 연(然)자를 했습니다. 불 탈 연(䖄)자와 불탈 연(燃)자는 동자(同字)입니다.
+
+
= 䖄
당 아욱 령(䖅)자는 의부(義符)로 풀 초(艸,艹)자에 성부(聲符)로 신령 령(靈)자를 했습니다. 신령 령(靈)자는 비 우(雨)자 아래에 입 구(口)자를 나란히 세 개를 하고 그 아래에 무당 무(巫)자를 했습니다. 귀신은 음습(陰濕)한 기운이기에 비 우(雨)자에 입 구(口)자를 한 것입니다. 신령 령(靈)자에 무당 무(巫)자가 들어 있는 것은 무당이 신령한 귀신과 통하는 사람이었기 때문입니다. 이상과 같이 생각하면 그런데 또 다르게 생각할 수도 있습니다. 신령 령(靈)자는 의부(義符)로 비올 령(霝)자에 의부(義符)로 무당 무(巫)자를 했습니다. 이렇게 생각하면 신령 령(靈)자는 형성(形聲) 글자가 됩니다.
+
= 䖅
향유 양(䖆)자는 의부(義符)로 풀 초(艸,艹)자에 성부(聲符)로 빚을 양(釀)자를 했습니다. 빚을 양(釀)자는 의부(義符)로 술독 유(酉)자에 성부(聲符)로 도울 양(襄)자를 했습니다. 술독 유(酉)자는 술독을 그린 상형(象形) 글자이고, 도울 양(襄)자는 품을 회(褱)자처럼 옷 의(衣)자를 상하(上下)로 나누고 그 사이에 입 구(口)자 두 개와 물건을 표시하는 글자(𠀎)를 써서 옷에 주머니를 달아 매우 유용하게 사용되어 사람들에게 많은 도움이 되는 표시를 했습니다.
䖆
차조 문(虋)자는 풀 초(艸,艹)자에 피 바를 흔(釁)자를 했습니다. 차조의 찰기와 차조의 색깔이 피를 바른 듯한 것을 나타낸 글자입니다. 피 바를 흔(釁)자는 일어날 흥(興)자 아래에 술독 유(酉)자를 하고 나눌 분(分)자를 했습니다. 여기서 일어날 흥(興)자는 성부(聲符)이고, 술독 유(酉)자와 나눌 분(分)자는 의부(義符)로 칼로 그어(分) 피를 내서 그릇(酉)에 담아놓은 피를 나타냈습니다. 틈 흔(舋)자도 일어날 흥(興)자가 들어 있어서 ‘흔'으로 읽습니다.
虋
고사리 별(虌)자는 의부(義符)로 풀 초(艸,艹)자에 성부(聲符)로 자라 별(鼈)자를 했습니다. 자라 별(鼈)자는 성부(聲符)로 해질 폐(敝)자에 의부(義符)로 맹꽁이 민(黽)자를 했습니다. 맹공이 민(黽)자는 맹꽁이를 그린 상형(象形) 글자입니다. 여기서 맹공이 민(黽)자는 자라(鼈의 모양을 나타냈습니다.
+
= 虌
향풀 울(䖇)자는 의부(義符)로 풀 초(艸,艹)자에 성부(聲符)로 막힐 울(鬱)자를 했습니다. 막힐 울(鬱)자는 나무 목(木)자 두 개 사이에 다섯 오(㐅)자를 상하(上下)로 두 개 배열했습니다. 덮을 멱(冖)자를 하고 울창주 창(鬯)자를 하고 털 삼(彡)자를 했습니다. 매우 복잡한 글자입니다. 장애물이 많아서 이리 막히고 저리 막힌 상황을 나타냅니다. 울창주鬯)는 높은 신에게 제사를 올릴 때 사용하는 향기가 좋은 고급 술입니다. 향풀의 향기도 좋을 것입니다. 향풀이나 울창주는 모두 향기가 납니다.
+
= 䖇